$\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 접경지역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Landscape Analysis of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6, 2012년, pp.952 - 959  

성찬용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내 남북한 접경지역인 파주시와 연천군에서 1990년부터 2007년까지 17년 동안 진행된 서식지 파편화를 경관지수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1990년과 2007년에 수집된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와 산림 서식지를 분류한 후 각 시기별 서식지 면적비, 패치밀도, 평균 패치면적,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에 대한 패치밀도는 47% 증가, 평균 패치면적은 42% 감소하였고 산림 서식지의 패치밀도와 평균 패치면적도 각각 36% 증가, 28.7%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어 두 유형의 서식지 모두 지난 17년간 급격히 파편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는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는 7%, 산림 서식지는 5% 감소하여 남아있는 서식지라 하더라도 서식지 주변지역의 경계효과에 영향을 받아 서식지 내부종이 서식할 수 없는 지역이 많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늘어날 접경지역에 대한 개발에 대비해 서식지 파편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보전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abitat fragmentation that has occurred in Paju and Yeoncheon, the two border municipal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Gyeonggi-do (province) during the last 17 years using various landscape metrics. We 1) classified grass and agricultural habitats and forest habitats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지와 경작지를 같은 유형의 서식지로 분류하여 경관지수를 계산하였는데, 이는 두 토지피복유형의 분광 스펙트럼이 비슷하여 위성영상으로부터 쉽게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대상지 내 대부분의 초지가 두루미나 재두루미, 독수리 등의 주요 서식지인 임진강 유역의 습지이고 경작지는 낙곡이나 지역주민들이 주는 먹이를 먹으로 오는 종들의 서식지이기 때문에(Kim and Lee, 2008), 같은 유형의 서식지로 간주하여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접경지역에서 일어난 서식지 파편화를 인공위성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해 분석함으로서 접경지역의 파면화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두 접경지역인 파주시와 연천군을 대상으로 1990년과 2007년에 촬영된 Landsat Thematic Mapper(TM) 영상으로부터 서식지의 공간 분포를 추출한 후 서식지 분포를 여러 경관지수들을 이용하여 계량함으로서 지난 17년 동안 진행된 서식지 파편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접경지역에서 일어난 서식지 파편화를 인공위성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해 분석함으로서 접경지역의 파면화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두 접경지역인 파주시와 연천군을 대상으로 1990년과 2007년에 촬영된 Landsat Thematic Mapper(TM) 영상으로부터 서식지의 공간 분포를 추출한 후 서식지 분포를 여러 경관지수들을 이용하여 계량함으로서 지난 17년 동안 진행된 서식지 파편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는 개별 서식지의 둘레길이를 면적으로 나눈 값들을 평균한 지수로 서식지 파편화가 진행되면 경계지역이 늘어나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도 증가하게 된다. 서식지 패치는 주변 8개 픽셀을 인접해 있다고 가정하여 구획하였다. 경관지수는 분석대상지 경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경계를 임의로 결정해서 생기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와 평균 최근린지수는 연구대상지 밖에 있는 서식지도 포함하여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북한 접경지역 어떤 지역인가? 이러한 군사대립 상황은 역설적으로 이 지역의 생태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다. 남북한 접경지역은 동부지역의 울창한 산림과 산림 습지, 중부 평야지대의 농지와 내륙습지, 서부지역의 하구 습지와 갯벌 등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되어 있어 두루미와 산양, 삵, 수달, 장수하늘소와 같은 멸종위기종들을 포함한 많은 야생동식물의 서식지가 되어 왔다(Jeon, 2002). 접경지역의 생태적 가치는 여러 연구로 밝혀져 왔다.
서식지 파편화 문제란? 인간에 의한 개발은 서식지를 파괴시켜 서식지 절대 면적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기존 서식지들을 작은 조각들로 분절시키는 서식지 파편화 문제를 불러온다. 경관생태학 이론에 따르면 서식지가 파편화되면 인근 서식지와의 연결성이 약해져 야생동식물간의 유전자 교류가 감소할 뿐 아니라 대규모 교란이 발생했을 때 야생동물이 교란을 피해 다른 서식지로 대피할 수 없어 개별 서식지 내 야생동식물의 멸종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Wilcox and Murphy, 1985). 또한 파편화된 서식지에는 서식지 주변의 경계효과에 영향을 받는 지역이 많기 때문에 서식지 내부에서만 서식할 수 있는 서식지 내부종들의 서식가능성이 낮아진다(Forman and Alexander, 1998).
경관지수의 계산법은?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에서 분류한 토지피복유형 중 두루미, 재두루미, 독수리 등의 주요 서식지인 초지 및 경작지와 삵, 고라니 등의 주요 서식지인 산림에 대한 경관지수를 계산하여 서식지 파편화를 분석하였다. 경관지수는 서식지의 형태, 경계지역, 고립도 등을 계량화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로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경관지수 중 서식지 면적비 (Percentage of class area), 패치밀도(Patch Density), 평균 패치면적(Mean Patch Area),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Mean Perimeter Area Ratio), 평균 최근린지수(Mean Euclidean Nearest Neighbor)를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컴퓨터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McGarigal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orman, R.T.T. and L.E. Alexander(1998) Roads and their major ecological effec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9: 207-231. 

  2. Higuchi, H., K. Ozaki, G. Fujita, J. Minton, M. Ueta, M. Soma and N. Mita(1996) Satellite tracking of white-naped crane migr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Conservation Biology 10: 806-812. 

  3. Jeon, Y.J.(2002) The Living Mysteries in Korean DMZ. Soomoon Publishers, Seoul, 240pp. (in Korean) 

  4. John, K.H., Y.C. Youn and J.H. Shin(2003) Resolving conflicting ecological and economic interests in the Korean DMZ: a valuation based approach. Ecological Economics 46: 173-179. 

  5. Kim, G.G.(2000) Status of Wildlife in DMZ and CCZ: Paju A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Seoul, 191pp. (in Korean) 

  6. Kim, J.-O., F. Steiner and E. Mueller(2011) Cranes, crops and conservation: understanding human perceptions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South Korea's Civilian Control Zone. Environmental Management 47: 1-10. 

  7. Kim, S.-O. and S.-D. Lee(2008) Comparison of white-naped crane habitat use pattern with land-coverage map in the Han-River estuary and DMZ.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7: 255-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C.-K. and J.W. Mjelde(2007) Valuation of ecotourism resources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case of the Korean DMZ 63: 511-520. 

  9. McGarigal, K., S.A. Cushman and E. Ene(2012) FRAGSTATS v4: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ategorical Maps. Computer software program produced by the author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Available at http:// www.umass.edu/landeco/research/fragstats/fragstats.html. 

  10. Park, K.-H., S.-G. Jung, H.-T. Lee, J.-H. Oh and K.-T. Kim(2004) An analysis on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of the Geumho River watershed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 2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Sung, C.Y. and M.-H. Li(2010)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stream hydrology in hillslope watersheds in central Texas. Hydrological Processes 24: 3,706-3,717. 

  12. Sung, C.Y. and M-H. Li(2012) Considering plant phenology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urban impervious surface mapping in a subtropical climate reg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3: 261-275. 

  13. Sungchun Institute(1996) DMZ: Repository of Wildlife. Hyeonamsa, Seoul, 612pp. (in Korean) 

  14. Wilcox, B.A. and D.D. Murphy(1985) Conservation strategy: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on extinction. The American Naturalist 125: 879-887. 

  15. Yoo, S.-H., H.-S. Kwon, J.-J. Park and C.-H. Park(2011)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 516-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Yoo, S.-H., I.-K. Kim, H.-S. Lee and K.-S. Lee(2009) Micro feeding site preference of wintering cranes by topography and vegetation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 418-4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Yoo, S.-H., K.-S. Lee and J.-C. Yoo(2007) Reaction to the vehicle and trade-off between vehicular interruption and food resources of cran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526-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Yoon, S.-i., M.C. Gye and H.S. Lee(2007) Mammalian fauna in DMZ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5: 215-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