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과 부모-자녀 응집성이 자아존중감 및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Proficiency and Parent-child Cohesion on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6, 2012년, pp.879 - 888  

김미예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임지영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아동가족학과) ,  그레이스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re is evidence that parent-child cohesion is a potentially influential factor in children's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However, no research to date has examined cohesion with parents as a potential pathway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self-esteem or acculturation among children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과 대구·경북 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이를 확대하여 전국적 규모의 연구를 시도해 볼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에 있어 언어능력과 부모와의 응집성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문화적응에만 국한시켜 연구를 수행하였고, 설명 변수로 언어능력과 부모와의 응집성의 역할에만 집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동의 심리사회적 변수들을 함께 고려하여 연구해 볼 것을 제안하고 자아존중감과 문화적응을 넘어서 적응을 대표하는 다양한 지표들에 대해 연구해 보기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과 한국문화적응은 발달시기별로 서로 상이한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아동기를 넘어서 청소년기 또는 유아기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이나 한국문화적응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요인들을 확인해야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 및 한국 문화적응 간의 관계에 있어 부모와의 응집성(아버지-자녀 응집성, 어머니-자녀 응집성)의 매개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횡단적 설계를 통해 수행된 다중회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와의 응집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언어능력, 아버지와의 응집성, 한국문화적응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언어능력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아버지와의 응집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된 반면, 언어능력, 어머니와의 응집성, 한국문화적응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모델에서는 언어능력이 직접적으로 한국문화적응을 설명하지는 못하였고 어머니와의 응집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문화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한국문화적응을 이해하는데 있어 언어능력과의 관계 파악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국내에서 연구가 부족했던 보호요인, 특히 부모와의 응집성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탐색적 조사연구로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한국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다중회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한국문화 적응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에 있어 부모-자녀 간 응집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Figure 1).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그동안 다문화가정의 아동과 관련되어 수행된 연구들은 그들이 겪는 어려움의 중심에 사회·경제적 환경이외에 언어의 문제가 깊이 개입되어 있다고 보고 언어능력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 또한 자녀의 적응에 있어 부모-자녀 간 관계가 갖는 중요한 의미를 감안할 때,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한국문화적응을 연구하는데 있어 어머니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아버지와의 관계가 매개요인으로서 작용하는가를 보는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과 그들의 자아존중감 및 한국문화적응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와의 응집성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이 자아존중감과 한국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수행된 국내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언어능력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어왔다는 제한점을 보완하는데 그 첫 번째 의의가 있다. 또한 그나마 수행되었던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에 관한 연구들도 다문화가정 아동의 특성을 일반 한국 가정의 아동들과 단순 비교하여 그 차이를 보았을 뿐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적응 기제를 설명하려 한 시도는 부족하였다는 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이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한국문화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국외연구에서 주목받아왔던 부모-자녀 간 응집성이라는 매개요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해 보는데 두 번째 의의가 있다.
  •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에서 수행된 대부분의 관련 연구가 기본적으로 기술적 측면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사례 또는 상대적으로그 수가 많은 유아기 자녀에 대한 연구 등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3-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에 대한 체계적 접근을 통해 초등학교 상담교사 및 보건교사 등이 가족교육프로그램이나 개입프로그램 개발 시 부모-자녀관계에 따른 적절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응은 무엇인가? 문화적응 또한 자아존중감과 더불어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다. 문화적응은 문화적 근원이다른 사람들 간의 장기간 접촉으로 인해 겪게 되는 심리적 그리고 행동적 변화 혹은 변화과정이며, 문화에 대한 통합과 차별화의 과정을 통해 가치체계의 선택적 수용이 일어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Berry, 1997).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언어 및 문화적 배경이 다른 어머니와 아버지 밑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문화적응(acculturation)은 그들이 해결해야 하는 매우 특수하고도 필수적인 과제라고 볼 수 있으며(Shin & Youn, 2010), 그들의 낮은 언어능력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Nho & Hong, 2006).
가족 응집성 혹은 부모와의 친밀한 관계는 이민자 가정 아동의 적응을 어떻게 돕는가? , 2006에 인용됨) 등 국외 연구들에서는 가족 응집성 혹은 부모와의 친밀한 관계가 이민자 가정 아동의 적응을 돕는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왔다. 즉, 가족과의 긴밀한 관계는 아동에게 정서적 안전기지로 작용하여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면서(Kwak, 2008) 그들의 적응을 돕게 된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수행된 한국가정 아동 관련 연구들의 경우에도 부모와의 친밀한 관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Park, Moon, & Yang, 2002), 이러한 부모-자녀 간의 관계 특성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에도 그들의 자아존중감 및 한국문화적응을 돕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은 간과되어 왔다.
다문화가정 관련 연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은 무엇인가? 이처럼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도 부모와의 응집성은 주요 보호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상 언급한 소수의 선행연구들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부모-자녀 간의 관계 특성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한국문화적응을 돕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은 간과되어 왔으며, 특히 아버지-자녀 혹은 어머니-자녀 관계의 질적 특성이 자녀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아 왔다. 이는 현재 다문화가정 관련 연구가 갖고 있는 중요한 제한점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2.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 5-34. http://dx.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7.x 

  3. Cauce, A., Reid, M., Ramey, S., & Gonzales, N. (1990). Social support in young children: Measurement, description, and behavioral impact. In B. R. Sarason, I. G. Sarason, & G. R. Pierce, (Eds.), Social support: An interactional view (pp. 64-94). New York: John Wiley & Sons. 

  4. Fujiki, M., Spackman, M. P., Brinton, B., & Hall, A. (2004).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and emotion regulation skills to reticence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 637-646. http://dx.doi.org/10.1044/1092-4388(2004/049) 

  5.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6. Jeong, H. S. (2009). Issues and policy tasks of Korean juveniles' socialization proces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11), 279-296. 

  7. Kim, E. J., Cain, K., & McCubbin, M. (2006).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acculturation, and young adolesc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in Kore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19(3), 112-129. 

  8. Kim, Y. R., & Kim, Y. T. (2011). Linguistic performance of Korean children from low SES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0(3), 73-88. 

  9. Koh, M. S. (2010). Influence of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on family cohe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3), 195-202.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3.195 

  10. Koo, H. J. (2009).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influence of language, cognitive, an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n the children with aggressive behavior at multi-cultural families in agricultural & fishing area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9(3), 1-21. 

  11. Kwak, K. J. (2008).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Focus on pattern and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oul. 

  12. Kweon, H. Y., Lee, M. S., & Jeon, B. U. (2010). The literature analysi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53(4), 283-306. 

  13. Lee, Y. J. (2008). Adjustment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e families: A study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1), 79-101. 

  14. McCabe, P. C., & Meller, P. 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al competence: How language impairment affects social growth. Psychology in the Schools, 41, 313-321. http://dx.doi.org/10.1002/pits.10161 

  15.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1). 2011 status of foreign residents in local government. Seoul: Author. 

  16. Nam, S. A., & Baik, J. S. (2011).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f child and early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9(1), 3-12. 

  17. Nho, C. R., & Hong, J. J. (2006). Adaptation of migrant workers' children to Korean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2, 127-159. 

  18. Oh, J. Y., & Song, M. S. (2009).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the adaptive behavior in kindergarten of children from foreign mother's famil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1), 251-269. 

  19. Olson, D. H., Sprenkle, D. H., & Russell, C. S. (1979).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amily Process, 18, 3-28. http://dx.doi.org/10.1111/j.1545-5300.1979.00003.x 

  20. Pae, S. Y., Kwak, K. J., Kim, K. Y., Jung, K. H., & Kim, H. J. (2009). 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18(4), 165-184. 

  21. Park, H. M., Moon, S. T., & Yang, J. H. (2002).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ttachment on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5(3), 113-125. 

  22. Park, J. H. (2003). Influence of the adolescent-parent relationship on the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23. Park, M. S. (2010).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children's self-esteem in multi-cultural famil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0(2), 193-218. 

  24. Rumbaut, R. G. (1997). Ties that bind. In Booth, A., Crouter, A. C., & Landale N. (Eds.), Immigration and the family: Research and policy on U.S. immigrant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Shin, Y. J., & Youn, C. Y. (2010). Bicultural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4(2), 1-14. 

  26. Won, J. S. (2009).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40, 158-187. 

  27. Yang, J. H., Park, H. J., Kim, S. S., Kang, E. J., Byun, S. H., & Bang, J. S. (2012). Adaptation experience to family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36-4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36 

  28. Yoo, H. J., Kim, H. H., Kim, W. S., & Shin, J. C. (2008).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5(3), 133-144. 

  29. Yoon, S. G. (2011). Relationship among family function,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self-efficacy of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