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개인적인 소통 활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Communication Activities using Smart Phone Instant Messenger on Job Performance 원문보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13 no.6, 2012년, pp.17 - 24  

이종만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e-비즈니스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장인들이 정상근무시간 동안에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개인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여기서 얻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의 설계는 직장외부 지인 및 직장동료와의 인스턴트 메시징을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업무 특성은 직장 동료 및 직장 외부 지인과의 인스턴트 메시징과 직무성과간의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직장외부 지인과의 인스턴트 메시징 활동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정도는 상호의존성이 높은 업무에 있어서 더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직장동료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활동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personal communication activities using smart phone instant messenger during normal office hours on job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To do thi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field survey of smart phone users, and structural equ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의 업무 중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개인적인 소통활동을 직장외부 지인 및 직장내부동료로 구분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볼 것이다. 더불어 개념적인 연구가설 제시와 함께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을 검증해 봄으로써, 본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을 중심으로 그들이 스마트폰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직장외부 지인 및 직장동료와 갖는 개인적인 소통 시간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업무 특성의 역할에 대해서도 파악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 가설 검증은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들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모형의 근간이 되는 연구가설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이론적 배경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 본 연구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을 중심으로 그들이 스마트폰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직장외부 지인 및 직장동료와 갖는 개인적인 소통 시간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업무 특성의 역할에 대해서도 파악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업무 중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개인적인 소통 활동(personal communication activity)과 직무성과(job performance)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기 위하여 유사한 선행연구 결과를 조사하였다. 1982년Crawford의 연구[19]에 따르면, 관리자는 이메일의 사용으로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서 개인 생산성이 5-15%정도 향상됐다고 보고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직장인들이 정상근무시간 중에 하는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개인적인 소통 활동이 그들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의 업무 중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개인적인 소통활동을 직장외부 지인 및 직장내부동료로 구분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볼 것이다.
  • 본 연구는 정상근무시간에 직장인들이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개인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근무시간 중 개인적인 온라인 의사소통 활동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연구모형의 유효성을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델 검증용 통계 프로그램 중에서 SmartPLS 2.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들이 근무시간에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직장외부 지인 및 직장동료와 나누는 개인적인 의사소통 활동시간이 그들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통계적으로 평가하는데 있었다.
  • 연구문제: 직장에서 정상근무시간 동안에 직장인들이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개인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은 직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충전인가? 아니면 직무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주범인가?
  • 하지만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동기 연구도 2012년에 보고되었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과 성과간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표 1)에 정리된 최근의 직무외 컴퓨팅(Non-Work Related Computing: NWRC) 연구결과를 전절에서 살펴본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에 적용하여 그 행동과 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의미 있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은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의 스마트폰 관련 연구 및 NWRC 최근 연구들을 연도별 주제별로 분류한 것이다.
  • 본 연구 가설 검증은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들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모형의 근간이 되는 연구가설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이론적 배경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가설 설정

  • H1 :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직장외부 지인과의 개인적인 소통시간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직장동료와의 개인적인 소통시간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직장 동료 및 외부 지인과의 개인적인 소통시간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는 업무 특성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첫째,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직장외부 지인과의 개인적인 소통시간이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H1)하였는데, 분석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직장동료와의 개인적인 소통시간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H2)하였는데, 이 가설도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직장외부 지인과의 개인적인 소통시간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는 업무특성에 의하여 조절될 것으로 가정(H3)하였는데, 분석 결과 직장외부 지인과의 개인적인 소통 활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상호의존성이 높은 업무일수록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인들이 정상근무시간 동안에 스마트폰 인스턴트 메신저를 개인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해본 결과는? 또한 업무 특성은 직장 동료 및 직장 외부 지인과의 인스턴트 메시징과 직무성과간의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직장외부 지인과의 인스턴트 메시징 활동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정도는 상호의존성이 높은 업무에 있어서 더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직장동료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활동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 시기는?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수는 아이폰이 도입된 2009년 11월에 47만명을 기록한 이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1년 3월에 1,000만 명을 넘어서더니, 8개월 만인 같은해 10월에 2,0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2012년에는 2,700만 명에 이르고 있다[28].
인스턴트 메신저란 무엇인가?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IM)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두 명 이상이 컴퓨터 작업을 하면서도 이메일보다 빠른 속도 즉, 실시간으로 텍스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수단이다. 이 서비스는 미국의 AOL(American online)이 1996년에 회원의 접속상태를 보여 주는 버디리스트 및 1997년에 실시간 대화기능을 추가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young Kim, DongHo Kang, "Smartphone Security Technology in Open Mobil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 Vol.19, No.5, pp.21-28, 2009. 

  2. Soo-Hyun Kim, "Effects of Perceived Attribut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Phon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0, No.9, pp.318-326, 2010. 

  3. Young-Ju Kim, Jaemin Jung, Eun-Ju Lee, "What Drives the Adoption and Usage of Smartphone Applications? Factors Affecting Degree of Use, Continuous Use, and Recommend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55, No.6, pp.227-252, 2011. 

  4. Yong Kim, Jin Gon Shon, "A Study on Design of K-12 e-Learning System for Utilization Smartphon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2, No.4, pp.135-143, 2011. 

  5. C.S. Kim, C.W. Lee, C. Lee, "An advanced contrast ehhancement for Smartphone",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ol.29, No.4, pp.30-36, 2012. 

  6. H.J. Kim, D.Y. Kim, "Perceptions and Usages of Smartphone Users in the Different Phases of Adop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55, No.4, pp.382-405, 2011. 

  7. Wooguil Pak, Sung-Man Lim, Han-joon Oh, Kwanghyun Yu, Minyoung Kwon, Heeseung Lee, Young-June Choi, "Developing Advanced Location-Based Route-Search Service for Smart-phon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2, No.4, pp.173-180, 2011. 

  8. Jae Kwon Bae, Hwa-Min Jeong,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Factors by including Functional Attributes of Smart Phone Adoption", The e-Business Studies, Vol.9, No.4, pp.337-361, 2008. 

  9. Seunghye Sohn, Yoon-Jung Choi, Ha Sung Hwang, "Understanding Acceptance of Smartphone among Early Adopters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55, No.2, pp.227-251, 2011. 

  10. Jong Man Lee, "The Empirical Study on the Motivations for e-Learning Service Usage of Smart Device Us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3, No.2, pp.119-126, 2012. 

  11. Ji-Eun Lee, Minsoo Shin,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based Mobile Banking : On User's Technology Readiness and Expertise", Journal of the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16, No.4, pp.155-172, 2011. 

  12. Woo-Soo Jeong, Sa-Hyuk Kim,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n the Project to Construct Smart Net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2, No.4, pp.61-71, 2011. 

  13. Mei-Hua Zhao, Chang-Wo Seo, Young-Hwan Lim, "A Smart Mobile Mail System Based on MPEG21-DIDL for Any Mobile De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1, No.3, pp.1-13, 2010. 

  14. Hae Sook Hong, In Keun Lee, Hune Cho, Hwa Sun Kim,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2, No.3, pp.49-56, 2011. 

  15. Bock G. W. and Ho S. L., "Non-Work Related Computing(NWRC)",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2, No.4, pp.124-128, 2009. 

  16. Bock G. W., Park S. C. and Zhang Y., "Why Employees Do Non-Work Related Computing In The Workplace",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Vol.50, No.3, pp.150-163, 2010. 

  17. Bock G. W., Shin Y., Liu P. and Sun H., "The Role of Task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Non-Work Related Computing: A Fit Perspective", The DATA BASE for Advances in Information Systems, Vol.41, No.2, pp.132-152, 2010. 

  18. Chun Z. Y. and Bock G. W., "Why Employees Do Non-Work-Related Computing: An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NWRC in a Workplace", Pacific Asia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PACIS) 2006 Proceedings, pp.1259-1273, 2006. 

  19. Crawford, A. B., "Corporate Electronic Mail - A Communication-Intensiv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6, No.3, pp.1-13, 1982. 

  20.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21. Lee O. K. , Lim K. H. and Wong W. M., "Why Employees Do Non-Work-Related Computing: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through Multiple Theoretical Perspectives", Proceedings of the 38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HICSS), Vol.7, pp.185c, 2005. 

  22. Pee L. G., Woon I. M. Y. and Kankanhalli A.,"Explaining Non-Work-Related Computing in the Workpla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5, No.2, pp.120-130, 2008. 

  23. Umanath N. S. and Kim, K. K., "Task-Structure Relationship of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Subunit: A Congruence Perspective", Decision Sciences, Vol.23, No.4, pp.819-838, 1992. 

  24. Ven A. H. V. D., Delbecq A. L. and Koenig R., "Determinants of Coordination Modes within Organizatio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1, No.2, pp.322-338, 1976. 

  25. The kukmin Ilbo (access to 2012/06/08). 

  26. BetaNews, (access to 2012/06/05). 

  27. The Seoul Shinmun, (access to 2012/02/09). 

  28. The Chosun Ilbo, (access to 2011/10/30). 

  29. http://www.smartpls.de/forum/release.ph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