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리터러시가 건강정보추구행동과 건강관련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Attitudes to Internet Health Information, e-health Literacy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Health-related Behavioral Inten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357 - 367  

김미나 (가톨릭대학교)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황경혜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조옥희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정보 추구행동과 건강관련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서울, 경기도, 충청도 거주하고 있는 직장인 152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정보 추구행동 영향요인으로는 e-헬스 리터러시(${\beta}=.33$, p<.011)와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beta}=.28$, p=.002)이, 건강관련 행위의도 영향요인으로는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beta}=.33$, p=.001)과 정보활용도(${\beta}=.24$, p=.003), e-헬스리터러시(${\beta}=.18$, p=.002)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e-헬스 리터러시를 고려하여 정보활용도를 높이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전달시스템 구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ers' attitudes to internet health information(AIHI), e-health literacy(eHL) o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IHISB) and health-related behavioral intention(HBI). 152 workers conduc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ly 2017....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동과 건강관련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와 건강관련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인들은 인터넷 건강정보가 유용하다고 생각할수록,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건강정보를 추구하고 건강관련 행위를 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정보의 활용성 또한 건강관련 행위의도를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동과 건강관련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이 건강정보 생산과 유통에 중요한 매체로 부각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직장인들이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와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정보 추구행동과 건강관련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와 건강관련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와 건강관련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인들은 인터넷 건강정보가 유용하다고 생각할수록,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건강정보를 추구하고 건강관련 행위를 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정보의 활용성 또한 건강관련 행위의도를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를 편의추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적이다.
e-헬스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e-헬스 리터러시는 인터넷으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건강 정보를 찾고,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은 물론 인터넷에서 얻은 건강정보를 건강 문제에 적용시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Norman과 Skinner [27]가 개발한 도구를 Park, Kwon, Choi [23]가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건강정보 이용자들이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어떤 요인으로 작용하는가? 건강정보 이용자들이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해 정보의 사용용이성과 다양성, 유용성, 편리성으로 인식하는 긍정적인 태도는 지속적인 건강정보 추구의 동기가 되며, 실제 건강행위로 실천하고자 하는 의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9-11]. 그러나 과도한 정보에 노출되면 인터넷 건강정보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건강정보를 혼동하여 불신하게 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 Park & S. Lee. (2011). Exploring categories of health information users on the basis of illness attitude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4), 105-133. 

  2. G. Bae, J. H. Moon & M. Kang.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precarious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37(4), 146-178. 

  3. S. Y. Kye, M. H. Lee, J. Y. Yoo, K. H. Oh & J. K. Jun. (2017).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cancer information provided throughly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s of the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 Korea. Epidemiology and Health, 39, 1-7. 

  4. K. W. Cho. (2006). An investigation of internet usage and health information acquisition by internet of domestic adults.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4(2), 721-724. 

  5. Y. C. Chung et al. (2010). A study of user-centered oersonal health information model and its utilization.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T. M. Song, D. R. Jin, J. M. Lee, J. Ahn & D. S. Park. (2013). 2013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ateway system for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oul :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7. S. Y. Kye & K. Park. (2018). Factors affect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y channel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35(2), 1-11. DOI : 10.14367/kjhep.2018.35.2.1 

  8. K. H. Kim. (2016).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sumer convergence preferences for healthcare information service in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181-188. DOI : 10.15207/JKCS.2016.7.5.181 

  9. S. Fox, J. Horrigan, A. Lenhart, T. Spooner, M. Burke, O. Lewis & C. Carter. (2000). The online health care revolution: How the web helps Americans take better care of themselves. Washington, DC. : The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The Institute for Health Care Research and Policy. http://www.healthprivacy.org/ 

  10. G. Y. Noh, J. Choi & M. S. Kwon. (2013). A test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7(5), 49-85. 

  11. S. H. Ahn. (2013). Effects of involvement and level of usag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n self-efficacy, in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4(1), 357-367. 

  12. J. Kim, J. Choi & D. J. Park. (2018).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verload caused by media use on health information distrus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0(2), 37-63. DOI : 10.16914/kjapr.2018.20.2.37 

  13. Z. Deng, S. Liu & T. Hinz. (2014). The health information seeling and usage behavior intention of Chinese consumers through mobile phones.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28(2), 406-423. 

  14. S. Hong. (2013). The effects of cancer-related information search from media as communication cues on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Administration, 19(1), 76-86. DOI : 10.11111/jkana.2013.19.1.76 

  15. C. W. Kim. (2007). A study on health communication through internet-focused on cognition analysis of health information.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6. J. A. Levy & R. Strombeck. (2002). Health Benefits and Risks of the Internet. Journal of Medical Systems, 26(6), 495-510. 

  17. E. Sillence, P. Briggs, P. R. Harris & L. Fishwick. (2007). How do patients evaluate and make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64(9), 1853-62. 

  18. C. D. Norman & H. A. Skinner. (2006a). eHealth literacy: Essential skills for consumer health in a networked world.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8(2), e9, 1-11. 

  19. S. Lee, H. Son, D. Lee & H. Kang. (2017).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2(4), 55-67. 

  20. E. Murray et al. (2003). The impact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on health care and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National U.S. survey among 1.050 U.S. physicians. Journal of Internet Research, 5(3), e17. 

  21. B. Crook, K. K. Stephens & A. E. Pastorek. (2016). Sharing health information and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s: the role of health literacy, information overload, and the internet in the diffusion of healthy heart information. Health Communication, 31, 60-71. DOI: 10.1080/10410236.2014.936336 

  22. K. Sorensen, S. Van den Broucke, H. Brand, G. Doyle, J. Pelikan & Z. Slonszka. (2012). Health literacy and public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integration of definitions and models. BMC Public Health, 12(80), 1-13. DOI : 10.1186/1471-2458-12-80 

  23. D. J. Park, M. S. Kwon & J. Choi. (2013).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r-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7(3), 379-413. 

  24. A. Suziedelyte. (2012). How does searching for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ffect individuals' demand for health care services? Social Science & Medicine, 75(10), 1828-1835. DOI : 10.1016/j.socscimed.2012.07.022 

  25. K. W. Cho, S. Kang & Y. M. Chae. (2007). Analysis of internet usage patterns of health consumers for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ssessment criteri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2), 15-28. 

  26. H. J. Son & K. E. Lee. (2019). The influence of health concern, health anxiety, and communica -tion with healthcare providers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4(1), 73-82. DOI : 10.21032 /jhis.2019.44.1.73 

  27. C. D. Norman & H. A. Skinner. (2006b). eHEALS: The eHealth literacy scal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8(4), e27, 1-7. 

  28. S. M. Kim. (2008). A study on health information use on cues to action, self-efficacy, subjective norm, behavior intention through interne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4(2), 1605-1614. 

  29. Google & Nielson (2013. March). Mobile search moments, understanding how mobile drives conversions (Online). https://www.thinkwithgoogle.com/_qs/documents/657/creating-moments-thatmatter_research-studies.pdf 

  30. T. Tonsaker, G. Bartlett & C. Trpkov. (2014).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gole mine or minefield? Canadian Family Physician, 60, 407-408. 

  31. J. Kim, J. Choi & D. Park. (2018).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verload caused by media use on health information distrus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0(2), 37-63. 

  32. M. Lee & S. Ahn. (2016). Intention to use SNS public health information among the middle age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dvertising Research, 108, 87-122. DOI: 10.16914/ar.2016.108.87 

  33. D. K. Wong & M. K. Cheung. (2019).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ehealth literacy among patients attending a primary care clinic in Hong Kong: A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3), e10831.1-13. DOI : 10.2196/10831 

  34. W. Jacobs, A. O. Amuta & K. C. Jeon. (2017). Health information seeking in the digital age: An analysis of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mong US adults. Cogent Social Science, 3(1), 1-11. DOI : 10.1080/23311886.2017. 1302785 

  35. F. Beck, I. B. Richard, V. Nguyen-Thanh, I. Montagni, I. Parizot & E. Renatry. (2014). Use of the internet as a health information tesource among French young adults: Result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6(5), e128. DOI : 10.2196/jmir.2934 

  36. J. Cho, D. Park & H. E. Lee. (2014). Cognitive factors of using health apps: systematic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health consciousness,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app use efficac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6(5), e125. DOI : 10.2196 /jmir.3283. 

  37. J. Kim & H. A. Park. (2012).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sing consumers' health behavior intention.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4(5), e133. DOI : 10.2196/jmir.2143 

  38. H. J. Jang & G. Y. Noh. (2015). Structural model of health status in rural community: Social trust, medical communication, and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483-493. DOI : 10.14400/JDC.2015.13.8. 483 

  39. H. H. Kim & S. R. Kim. (2019). Convergence corelation of oral behavior and planned behavior theory variables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10(4), 51-56. DOI : 10.15207/KCS.2019. 10.4.0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