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평만 조간대 해조류 분포지역의 퇴적 및 저서환경 특성
Sedimentary and Benth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Macroalgal Habitats of the Intertidal Zone in Hampyeong Bay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5 no.6, 2012년, pp.694 - 703  

황동운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고병설 (해양환경관리공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and benthic environments in habitats of naturally-occurring intertidal benthic macroalgae,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of sediment (grain size,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ur [AVS]) and pore water (tem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0). 따라서, 연구지역인 함평만 남부 마산리 조간대의 해조류 분포지역 주변의 수리환경 특성 및 퇴적양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형변화를 살펴보았다.
  • 함평만 주변에는 산업시설이나 마을이 발달하지 않아 오염원이 거의 없고, 많은 양의 유량을 가진 하천이 존재하지 않아 담수의 유입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해조류인 가시파래가 여름철 일정기간을 제외한 연중 분포한다. 따라서, 이 연구가 진행된 함평만 남부 마산리 조간대내 해조류의 분포면적 및 생물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조류인 가시파래가 발생하는 조간 대의 퇴적환경 및 저서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가시파래가 연중 출현하는 함평만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조간대 지형, 해조류 분포면적 및 생물량, 그리고 퇴적물과 공극수의 지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인자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홀로세 해침에 의해 형성된 환경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은 약 1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이후 홀로세 해침(Holocene Transgression)에 의해 리아스식 해안과 반폐쇄적인 내만, 하구 등 다양한 연안환경이 형성되었고, 특히 지속적으로 부유물질이 공급되고 해수의 흐름이 약한 하구역이나 반폐쇄적인 내만해역을 중심으로 넓고 평탄한 조간대(intertidal zone)가 발달하였다(Ryu et al., 1997;1998).
녹조식물 종류 중 하나인 가시파래의 서식지가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 , 2003). 이들 가시파래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동해안(Boo and Lee, 1986; Lee and Oh, 1986), 서해안(Kim et al., 1986), 남해안(Song, 1986) 및 제주도(Lee et al., 1986)등 전국적으로 분포하였으나, 경제발전에 따른 임해공업단지의 조성으로 연안해역에 도시의 생활하수와 산업 오폐수 등이 유입되면서, 그 분포지역은 감소하여 현재에는 장흥, 완도, 무안 등 전남 남서해안의 일부 청정지역에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Yoon et al., 2003).
조간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97;1998). 이들 조간대는 조석에 의한 노출과 침수를 반복하며 해양 및 대기환경의 영향을 받아 퇴적물과 공극수의 지화학적 특성들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곳이지만, 다양한 퇴적환경 및 저서환경을 바탕으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의 약 20%가 서식할 만큼 생물다양성이 높은 곳이다(Chang, 2008; Hwang and 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oo SM and Lee IK.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1.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a Sokcho rocky shore. Kor J Phycol 1, 107- 116. 

  2. Chang JH. 2008. Criteria and evaluation of local tidal flats for designation conservation sites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Environ Sci 17, 1391-1402. 

  3. Cho JW, Lim DI and Kim BO. 2001. Observation of shoreline change using an aerial photograph in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Kor Earth Sci Soc 22, 317- 326. 

  4. Choi YS, Koo JG, Ha JH and Yoon JT. 2002. Extrac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luble polysaccharide from green laver, Enteromorpha prolifera. J Kor Fish Soc 35, 519-523. 

  5. Chu YS, Lee HJ, Park ES, Lee YG and Jeong KS. 2000. Summer-time behavior and flux of suspended sediments at the entrance to semi-closed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Sea J Kor Soc Oceanogr 5, 105-118. 

  6. Davies JS. 1964. A morphogenic approach toward sholines. Z Geomorph 8, 127-142. 

  7. Dolphin TJ, Hume TM and Parnell KE. 1995. Oceanographic processes and sediment mixing on a sand flat in an enclosed sea, Manukau Harbor, New Zealand. Mar Geol 128, 169-181. 

  8.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 Publishing Co., Austin, TX, U.S.A., 170. 

  9. Folk RL and Ward W, 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Sed Petol 27, 3-26. 

  10. Gooddy DC, Clay JW and Bottrell SH. 2002. Redox-driven changes in porewater chemistry in the unsaturated zone of the chalk aquifer beneath unlined cattle slurry lagoons. Applied Geochem 17, 903-921. 

  11. Hwang DW and Kim SG. 2011.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coastal islands in the western part of Jeollanam Province using geochemical assessment techniques. Kor J Fish Aquat Sci 44, 773-785. 

  12. Hwang DW, Kim G and Yang HS. 2008. Active exchange of water and nutrients between seawater and shallow pore water in intertidal sandflat. Ocean Sci J 43, 223-232. 

  13. Hwang DW, Park SE, Kim PJ, Koh BS and Choi HG. 2011. Assessment of the pollution levels of organic matter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Aphae Island. Kor J Fish Aquat Sci 44, 760-772. 

  14. Hwang DW, Ryu SO, Kim SG, Choi OI, Kim SS and Koh BS. 2010.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146-158. 

  15. Jung RH, Hwang DW, Kim YG, Koh BS, Song JH and Choi HG. 2010. Temporal variations in the sedimentation rate and benthic environment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round Byeonsan Peninsul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723-734. 

  16.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Mar Algae 8, 52-53. 

  17. Kang MR, Lim DI, Jang PG, Kim GB and Kang YS. 2009. Tidal variations of nutrient concentration in Hampyeong Bay, west coast of Korea. J Kor Soc Mar Environ Engin 12, 202-208. 

  18. Kim HG, Sohn CH and Kang JW. 1986. Algal communities of Sinsudo, southern coast and Woldo, western coast of Korea. Kor J Phycol 1, 169-184. 

  19. Kim JN, Choi JH, Im YJ, Choi KH and Ma CW. 2005.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capods crustacean assemblage in Hampyeong Bay, Korea. J Kor Fish Soc 38, 20-28. 

  20. Kim KY, Ahn YS and Lee IK. 1991. Growth and morphology of Enteromorpha linza (L.) J. Ag. And E. prolifera (Muller) J. Ag. (Ulvales, Chlorophyceae). Kor J Phycol 6, 31-45. 

  21. Kim YS and Chang JH. 1998. Depositional processes and evolution of the Hampyong Bay 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Kor Earth Sci Soc 19, 664-674. 

  22. Kuwae T, Kibe E and Nakamura. 2003. Effect of emersion and immersion on the porewater nutrient dynamics of an intertidal sandflat in Tokyo Bay. Estuar Coast Shelf Sci 57, 929- 940. 

  23. Lee HB and Oh YS. 1986. A summer algal vegetation in Youngil Bay, eastern coast of Korea. Kor J Phycol 1, 225-240. 

  24. Lee IK, Lee YP and Ahn YS. 1986. Flora of marine algae in Cheju Island. 1. Ulvaceae. Kor. J. Phycol. 1, 157-168 

  25. Lee KS and Jun SK. 2009. Characteristics of hydrography and tidal current in Hampyung Bay, the western coast of Korea. J Kor Earth Sci Soc 30, 247-256. 

  26. Lim DI, Jung HS, Chu YS, Park KS, Kang SW and Yang SY. 2002. A study on shoreline change in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I. Sea-cliff erosion and retreat. The Sea - J Kor Soc Oceanogr 7, 148-156. 

  27.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0. Annual report of Korean coastal environment monitoring (2009). NFRDI Report, SP-2010-ME-007,1-422. 

  28. Ohno M. 1993. Seaweed cultivation and marine ranching. JICA 1, 7-17. 

  29. Ohno M and Miyanoue K. 1980. The ecology of the food alga Entermorpha prolifera. Rep Usa Mar Biol Inst 2, 11-17. 

  30. Okano M, Mizui F, Funaki Y and Aratani T. 1983. Seasonal variation of sterol, hydrocarbon, fatty acid, and phytol fractions in Entermorpha prolifera (Muller) J. Agardh. Bull Jap Soc Sci Fish 49, 621-626 

  31. Ryu SO, You HS and Chun SS. 1997.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in Hampyong Bay,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Kor Earth Sci Soc 18, 367-378. 

  32. Ryu SO, You HS, Kim MJ and Moon BC. 1998. Sedimentary environments of Hampyong Bay,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Kor Earth Sci Soc 19, 343-353. 

  33. Ryu SO, You HS and Lee JD. 1999.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and accumulation rate on the intertidal flats in Hampyo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Sea - J Kor Soc Oceanogr 4, 127-135. 

  34. Song CB. 1986. An ecological study of the intertidal macroalgae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 J Phycol 1, 203-224. 

  35. Waska H and Kim G. 2011.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as a main nutrient source for benthic and water-column primary production in a large intertidal environment of the Yellow Sea. J Sea Res 65, 103-113. 

  36. Wells JT, Adams CEJr, Park YA and Fran-kenberg EW. 1990.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tidal channel processes on a high tidal range mudflat, west coast of Korea. Mar Geol 95, 111-130. 

  37. Yoon JT, Cho YC and Gong YG. 2003. A study on the cultivation of Entermorpha prolifera (Muller) J. Agardh, Chlorophyta in Korea. J Aqua 16, 44-50. 

  38. Yoon JT, Cho YC, Yang MH and Kim KJ. 2000. Developmental morphology and reserve substances on Entermorpha prolifera (Muller) J. Agardh, Chlorophyta in Kor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 58, 102-113. 

  39. Yoon YH. 2003.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in surface sediments and its origin in Deukryang Bay, Korea. J Environ Sci 12, 735-7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