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환경복원을 위한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of Marine Benthic Microalgae for Phytoremediation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4 no.2, 2011년, pp.130 - 137  

권형규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양한섭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유영문 (부경대학교 LED-해양 융합기술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영양화가 진행된 연안역의 퇴적환경개선을 목적으로, 수정만으로 부터 분리한 저서미세조류 Achnanthes sp., Amphora sp., Navicula sp.와 Nitzschia sp.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정치배양으로 살펴보았다. 최대 성장속도는 Achnanthes sp.의 경우 $25^{\circ}C$와 25 psu(0.60 /day), Amphora sp.에서 $15^{\circ}C$와 25 psu(0.56 /day), Navicula sp.에서 $20^{\circ}C$와 30 psu(0.53 /day) 그리고 Nitzschia sp.에서 $20^{\circ}C$와 25 psu(0.48 /day)로 나타났다. 그리고 4종의 최적성장(최대성장 속도의 70% 이내)로부터, Amphora sp., Navicula sp.와 Nitzschia sp.는 광온성 및 광염성종으로 나타났으며, Achnanthes sp.는 낮은 수온영역에서 성장하기 어려운 협온성 종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따라서 Amphora sp., Navicula sp.와 Nitzschia sp.는 부영양화나 빈산소수괴 문제와 같이 오염된 연안역의 개선을 위한 식물환경복원용으로 유용한 미세조류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sediment quality in eutrophic coastal areas using benthic microalgae, we examin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of benthic microalgae Achnanthes sp., Amphora sp., Navicula sp. and Nitzschia sp. isolated from Sujeong Bay, Korea, using batch cultures. The maximum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오염해역의 저질환경을 개선을 목적으로, 오염해역에서 우점하는 저서미세조류 성장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 영향을 실내 배양실험을 통해 살펴보고, 정화 대상해역의 현장수온 및 염분과 비교함으로서 식물환경복원종으로 보다 광온 · 광염성 종을 선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러한 오염된 퇴적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미세조류를 이용한 식물환경복원(phytoremediation)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Travieso et al.
오염된 퇴적물의 개선을 위해 토목적인 방법이 아닌 자연환경이 가지고 있는 자정능력을 최대한 발굴하는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더욱이 퇴적물은 체류시간이 수질보다 길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분해 및 제거가 느려 수질 악화에 큰 영향을 주며, 해역의 생산력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다. 현재 오염된 퇴적물의 개선을 위해 준설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염 준설토는 일반 준설퇴적물처럼 일반사업장 폐기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2차 환경오염이라는 문제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토목적인 방법이 아닌 자연환경이 가지고 있는 자정능력을 최대한 발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저서규조류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 중 저서규조류는 전지구적으로 연간 5×108g의 탄소를 고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Cahoon[1999]), 일부 환경에서는 일차생산력의 50%까지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Underwood and Kromkamp[1999]). 또한 대형, 중형 저서동물과 같은 퇴적물 식자의 먹이원이 될 뿐만 아니라(Montagn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오석진, 박달수, 양한섭, 윤양호, Honjo, T., 2007, "발광다이 오드(LED)를 이용한 저서미세조류의 성장촉진에 의한 오염해역 저질환경개선",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0, 93-101. 

  2. 유만호, 최중기, 2005, "강화도 장화리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분포 및 일차 생산력", 한국해양학회지, 10, 8-18. 

  3. 이원호, 심재형, 1995, "한국연안 산 규조 Skeletonema costatum 의 조도에 대한 생태적 지위 성분의 종내 변위", 한국해양학회지, 35, 534-541. 

  4. 고철환, 1991, "한국 서해 펄 조간대에서의 미세조류에 의한 제 1차 생산 및 생물량", 한국과학재단, 81 pp. 

  5. Admiraal, W., 1977, "Influence of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rate of estuarine benthic diatoms in culture", Mar. Biol., Vol.36, 1-9. 

  6. Admiraal, W., 1984, "The ecology of estuarine sediment-inhabiting diatoms", Prog. Phycol. Res., Vol.5, 269-322. 

  7. Brand, L.E., Guillard, R.R.L. and Murphy, L.S., 1981, "A method for the rapid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acclimated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J. Plankton Res., Vol.3, 193- 201. 

  8. Buffan-Dubau, E. and Carman, K.R., 2000, "Diel feeding behavior of meiofauna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icroalgal resources", Limnol. Oceanogr., Vol.45, 381-395. 

  9. Cahoon, L.B., 1999, "The role of benthic microalgae in neritic ecosystem", Oceanogr. Mar. Biol., Vol.37, 47-86. 

  10. Doblin, M.A., Blackburn, S.I. and Hallegraerff, G.M., 1999, "Growth and biomass stimula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by organic substances", J. Exp. Mar. Biol. Ecol., Vol.236, 33-47. 

  11. Eppley, R.W., 1977, "The growth and culture of diatoms", In: Werner, D. (ed), The biology of diato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4-64. 

  12. Gallagher, J.C., 1982, "Physiological variation and electrophoretic banding patterns of genetically different seasonal populations of Skeletonema costatum (Bacillariophyceae)", J. Phycol., Vol.18, 148-162. 

  13. Guillard, R.R.L. and Ryther, D., 1962,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I. Cyclotella nana Hustedt and Detonula confervacea (Cleve) Gran", Can. J. Microbiol., Vol.8, 229-239. 

  14. Hillebrand, H., Drselen, C.D., Kirschtel, D., Pollingher, U. and Zohary, T., 1999, "Biovolume calculation for pelagic and benthic microalgae", J. Phycol., Vol.35, 403-424. 

  15. Klein, B., 1988, "Variations of pigment content in two benthic diatoms during growth in batch cultures", J. Exp. Mar. Biol. Ecol., Vol.115, 237-248. 

  16. MacIntyre, H.L., Geider, R.J. and Miller, D.C., 1996, "Microphytobenthos: The ecological role of the "secret garden" of unvegetated, shallow-water marine habitats. 1. Distibution, abundance and primary production", Estuaries, Vol.19, 186-201. 

  17. Malone, T.C., 1980, "Algal size", In: Morris, I.(ed),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lifornia, 433-463. 

  18. Montagna, P.A., Blanchard, G.F. and Dinet, A., 1995, "Effect of produc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s on meiofaunal grazing rates", J. Exp. Mar. Biol. Ecol., Vol.185, 149-165. 

  19. Provasoil, L., Shiraishi, K. and Lance, J.R., 1959, "Nutritional idiosyncrasies of Artemia and Tigriopus in monoxenic culture", Ann. N.Y. Sci., Vol.77, 250-261. 

  20. Rees, T.A.V., 2007, "Metabolic and ecological constraints imposed by similar rates of ammonium and nirate uptake per unit surface area at low substrate concentrations in marine phytoplankton and macroalgae", J. Phycol., Vol.43, 197-207. 

  21. Rizzo, W.M., 1990, "Nutrient exchanges between the water column and a subtidal benthic microalgal community", Estuaries, Vol.13, 219-226. 

  22. Ruangdej, U. and Fukami, K., 2004, "Stimulation of photosynthesis and consequent oxygen production in anoxic bottom water by supply of low-intensity light through an optical fiber", Fish. Sci., Vol.70, 421-429. 

  23. Sandau, E., Sandau, P. and Pulz, O., 1996, "Heavy metal sorption by microalgae", Acta. Biotechnol., Vol.16, 227-235. 

  24. Travieso, L., Canizares, R.O., Borja, R., Benitez, F., Dominguez, A.R., Dupeyron, R. and Valiente, V., 1999, "Heavy metal removal by microalgae",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2, Vol.144-151. 

  25. Underwood, G.J.C. and Kromkamp, J., 1999,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in estuaries", Adv. Ecol. Res., Vol.29, 93-153. 

  26. Williams, R.B., 1964, "Division rates of salt marsh diatoms in relation to salinity and cell size", Ecology, Vol.45, 877-880. 

  27. Yamamoto, T., Goto, I., Kawaguchi, O., Minagawa, K., Ariyoshi, E. and Matsuda, O., 2008, "Phytoremediation of shallow organically enriched marine sediments using benthic microalgae", Mar. Poll. Bull., Vol.57, 108-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