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NF 결합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NF Combination Patterns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 2012년, pp.318 - 328  

정우식 (씨티병원 재활센터) ,  박승규 (대불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종항 (광양보건대학 물리치료과) ,  이홍균 (씨티병원 재활센터) ,  김경윤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NF 결합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와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PNF 결합패턴(주 4회, 6주간)을 적용하는 실험군(n=10)과 일반 운동치료만을 적용하는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하지 근 활성도 측정은 활동전위의 실효치 값으로 분석하였고, 보행능력검사는 10MWT, DGI, F8W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 적용 방법에 따른 측정 시점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의성 검정은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한 RF(p<.05), VM, TA, LH, LG(p<.001) 근육 모두 각 측정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VM, TA, LH, LG(p<.001)에서 측정시간과 군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보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10MWT, DGI, F8WT 검사에서도 각 측정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01), 10MWT(p<.05), DGI(p<.001), F8WT(p<.01)에서 측정시간과 군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PNF 결합패턴은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보행 능력 개선에 유용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a PNF combination pattern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lower extremities and gait ability in hemiparetic subjects. Twenty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행능력의 증진을 위하여 PNF 결합패턴 적용 후 하지의 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근전도를 통해 근 활성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하지 근육들의 활성도에 따른 보행능력의 변화를 살피고자 10MWT, DGI, F8WT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 그리고 정확도면에서는 원뿔 주위를 벗어나지 않고 걷기가 가능하며, 자연스러움은 2점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바퀴를 도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수행 중 보폭수에 대한 부분을 측정하였다. F8W 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0으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이고 있다[34].
  • 효율적인 보행은 신체 어느한 부분의 독립적 움직임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신체 여러 분절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지는데, PNF 결합패턴은 인체의 협응적인 구조를 이용한 것으로서 신체 각 분절의 상호 연관된 움직임을 패턴화하여 고안된 방법으로 마비측 근 활성화에 효율적으로 작용하여 기능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적절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지의 근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근전도 신호를 RMS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이 측정방법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측정 부위의 강직 등으로 인하여 객관화 하는데 여러 논란이 일어날 수 있는 방법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PNF의 결합패턴 적용 시 하지의 근 활성도가 보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여 뇌졸중 환자의 임상치료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 적용 방법에 따른 측정 시점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의성 검정은 어떤 방법을 실시하였는가? 하지 근 활성도 측정은 활동전위의 실효치 값으로 분석하였고, 보행능력검사는 10MWT, DGI, F8W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 적용 방법에 따른 측정 시점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의성 검정은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한 RF(p
보행은 인간에게 있어 어떤 요소인가? 보행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움직이는 이동 (locomotion)의 한 양식으로서[1] 인간이 삶을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며, 일상생활동작과 기능적인 활동을 비롯해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2]. 보행 장애는 뇌졸중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운동 장애 중 하나로 발생 시 신체기능과 독립생활, 사회적 활동 및 건강 기능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J. Perry,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J of Pediatric Orthopaedics, Vol.12, No.6, p.815, 1992. 

  2. 이순화, 음악치료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보행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 V. F. Engle, "The relationship of movement and time to older adults' functional health,"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9, No.2, pp.123-129, 1996. 

  4. H. Luukinen, K. Koski, P. Laippala, and S. Kivela, "Risk factors for recurrent falls in the elderly in long-term institutional care," Public Health, Vol.109, No.1, pp.57-65, 1995. 

  5. J. M. Potter, A. L. Evans, and G. Duncan, "Gait speed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in geriatr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6, No.11, pp.997-999, 1995. 

  6. S. J. Olney and C. Richards, "Hemiparet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Characteristics," Gait & Posture, Vol.4, No.2, pp.136-148, 1996. 

  7. F. M. Campbell, A. M. Ashburn, R. M. Pickering, and M. Burnett, "Head and pelvic movements during a dynamic reaching task in sitt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is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2, No.12, pp.1655-1660, 2001. 

  8. M. oerdink, C. J. C. Lamoth, G. Kwakkel, P. C. W. Van Wieringen, and P. J. Beek, "Gait coordination after stroke: benefits of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Physical Therapy, Vol.87, No.8, p.1009, 2007. 

  9. V. Achache, D. Mazevet, C. Iglesias, A. Lackmy, J. B. Nielsen, R. Katz, and V. Marchand- Pauvert, "Enhanced spinal excitation from ankle flexors to knee extensors during walking in stroke patients,"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21, No.6, pp.930-938, 2010. 

  10. 조영환, Medical Exercise Therapy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남태호, 하회별신굿탈놀이가 보행기능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2. C. M. Dean and R. B. Shepherd,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Vol.28, No.4, p.722, 1997. 

  13. A. R. Luft, R. F. Macko, L. W. Forrester F. Villagra, F. Ivey, J. D. Sorkin, J. Whitall, S. McCombe-Waller, L. Katzel, and A. P. Goldberg, "Treadmill exercise activates subcortical neural networks and improves walking after stroke," Stroke, Vol.39, No.12, pp.3341-3350, 2009. 

  14. S. H. Peurala, I. M. Tarkka, K. Pitkanen, and J. Sivenius, "The effectiveness of body weight-supported gait training and floor walk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6, No.8, pp.1557-1564, 2005. 

  15. J. H. Kim, S. H. Jang, C. S. Kim, J. H. Jung, and J. H. You, "Use of virtual reality to enhance balance and ambulation in chronic stroke: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88, No.9, p.693, 2009. 

  16. N. Shima, K. Ishida, K. Katayama, Y. Morotome, Y. Sato, and M. Miyamura, "Cross education of muscular strength during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86, No.4, pp.287-294, 2002. 

  17. E. Scripture, T. Smith, and E. M. Brown, "On the education of muscular control and power," Studies from the Yale Psychological Laboratory, Vol.2, pp.114-119, 1894. 

  18. J. Munn, R. Herbert, and S. Gandevia,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96, No.5, pp.1861, 2004. 

  19. S. S. Adler, and D. Beckers,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 Springer Verlag, 2008. 

  20. R. Y. Wang,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the gait of patients with hemiplegia of long and short duration", Physical Therapy, Vol.74, No.12, p.1108, 1994. 

  21. 최진호, 김진상, 권영실, 정병옥,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21-127, 1999. 

  22. 이문규, 이종식, 정우식, 국은주, 임재헌, 김태윤,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제7권, 제1호, pp.9-16, 2009. 

  23. 황인걸, 한미란, 손경현, 임재헌, 이문규., "고유 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제7권, 제1호, pp.1-8, 2009. 

  24. 문곤성, 보행 속도 변화에 따른 하지의 운동역학적 분석과 근 활동의 근전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5. S. P. William, L. L. Henry, and W. J. Ernest, Practical Electromyograph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6. 조현정, "경사도에 따른 전.후방 보행 훈련이 하지 근력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7. J. Dixon and T. E. Howe, "Activation of vastus medialis oblique is not delayed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compared to asymptomatic participants during open kinetic chain activities," Manual Therapy, Vol.12, No.3, pp.219-225. 

  28. J. K. Tilson, K. J. Sullivan, S. Y. Cen, D. K. Rose, C. H. Koradia, S. P. Azen, and P. W. Duncan, "Meaningful gait speed improvement during the first 60 days poststroke: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Physical Therapy, Vol.90, No.2, p.196, 2010. 

  29. J. Mehrholz, K. Wagner, K. Rutte, D. Meiβner, and M. Pohl, "Predictiv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8, No.10, pp.1314-1319, 2007. 

  30. C. SHUMWAY,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31. S. Whitney, D. Wrisley, and J. Furman, "Concurrent validity of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Dynamic Gait Index in people with vestibular dysfunction,"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Vol.8, No.4, pp.178-186, 2003. 

  32. G. F. Marchetti, S. L. Whitney, P. J. Blatt, L. O. Morris, and J. M. Vanc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gait during performance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ople with and people without balance or vestibular disorders," Physical Therapy, Vol.88, No.5, p.640, 2008. 

  33. Jonsdottir, J., and Cattaneo,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8, No.11, pp.1410-1415, 2007. 

  34. R. J. Hess, J. S. Brach, S. R. Piva, J. M. VanSwearingen, "Walking skill can be assessed in older adults: validity of the Figure-of-8 Walk Test," Physical Therapy, Vol.90, No.1, p.89, 2010. 

  35. B. Dietz, Let's sprint, let's skate: Innovationen im PNF-Konzept: Springer, 2009. 

  36. 정우식, 정재영, 김찬규, 정대인, 김경윤, "PNF의 Sprinter Pattern을 통한 하지 근 활성도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81-292, 2011. 

  37. 오동건, 성순창, 이만균, "PNF 탄력밴드 운동과 중추신경계 발달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체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pp.815-827, 2011 

  38. D. A. Neumann,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Mosby/Elsevier, 2010. 

  39. F. Collen, D. Wade, G Robb, and C. Bradshaw, "The Rivermead mobility index: a further development of the Rivermead motor assessment," Disability & Rehabilitation, Vol.13, No.2, pp.50-54, 1991. 

  40. G. Kwakkel and R. C. Wagenaar, "Effect of duration of upper-and lower-extremity rehabilitation sessions and walking speed on recovery of interlimb coordination in hemiplegic gait," Physical Therapy, Vol.82, No.5, p.432, 2002. 

  41. N. M. Salbach, N. E. Mayo, J. Higgins, S. Ahmed, L. E. Finch, and C. L. Richards, "Responsiveness and predictability of gait speed and other disability measures in acu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2, No.9, pp.1204-1212, 2001. 

  42. 최원제, 김찬규, 정대인, 이형수 채윤원, 김윤환,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통합패턴에 따른 정적 균형의 변화", 한국컨텐츠학회지, 제8권, 제10호, pp.251-258, 2008. 

  43. 김노빈, 보행시 속도와 보폭 변화에 따른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