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NF를 이용한 체간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과 균형, 보행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by using PNF on Trunk Control Ability and Balance, Gait in a Patient with Hemiplegia: A Single Case Study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3 no.4, 2015년, pp.203 - 213  

정두교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eficits in lower-extremity function and trunk control abil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individuals with hemiplegia. This case report aimed to describe the effect of trunk stability exercises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runk control ability, balance, and ga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서 체간조절능력,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중재 전과 중재 후의 Fugl-Meyer Assessment Lower Extremity (FMA-LE), Trunk Control Test,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Timed Up and Go Test, 10 Meter Walk Test 평가하였는데 각 검사 항목에서 좋은 효과를 가져왔다.
  • 기존에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은 단순히 체간에 안정화 기법과 골반과 체간의 움직임을 통해서 신체기능과 신체구조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균형과 보행의 증진을 보여준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철학인 운동조절과 운동학습에 근거하여 단순하게 체간에만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자세부터 높은 수준으로의 운동조절능력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실질적인 보행훈련을 반복함으로써 운동학습의 효과를 보려고 한다. 이에 저자는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이용하여 체간 안정화 운동 후 체간조절능력, 균형,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를 경험하고 환자치료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료 전후 체간조절능력, 균형과 보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수들의 값을 구하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변화를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철학인 운동조절과 운동학습에 근거하여 단순하게 체간에만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자세부터 높은 수준으로의 운동조절능력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실질적인 보행훈련을 반복함으로써 운동학습의 효과를 보려고 한다. 이에 저자는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이용하여 체간 안정화 운동 후 체간조절능력, 균형,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를 경험하고 환자치료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세조절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1980년대에는 무엇을 강조하였는가? 이러한 자세조절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1950년과 1960년대 기술은 Bobath (Bobath, 1990), Brunnström (Brunnström, 1970), Rood (Goff, 1969),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dler et al, 2008)을 포함하여 신경생리학적 지식에 기초하였다. 1980년대에는 신경생리학적과 운동학습의 잠재적인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Anderson, 1986). 이는 적절한 피드백과 함께 특수한 운동과제의 활동적인 훈련은 운동학습과 운동 회복을 증진 시킨다고 제시하였다(Carr & Shepherd, 1998).
체간 근육의 주요공헌은 무엇인가? 체간 근육의 주요 공헌은 체간을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주고 체중 이동을 조절하고 중력에 대항하여 선택적인 체간의 움직임을 수행 함 으로써 앉은 자세, 선 자세, 한 걸음 동작에서와 같은 정적 그리고 동적인 자세조절을 하는 동안 기저면 안에서 질량중심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Davis, 1990; Messier et al, 2004). 게다가 최근 논문에서는 체간의 수행능력의 중요성을 보고 하였는데 결과는 뇌졸중 후 체간의 수행능력과 균형, 보행, 기능적 능력과 긍정적인 상관성을 가진다고 하였다(Verheyden, 2006).
뇌졸중 환자의 부적절한 자세조절의 원인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은 환 측보다 건 측으로 더 많은 체중지지를 보여주며(Agarwal et al, 2008; Dickstein et al, 2000), 특히 체간 근육의 약화로 인하여 무게중심을 뒤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흉추과 구부러지는 원인이 되며 복부 근육의 활동이 줄어듦으로 인하여 부적절한 자세조절의 원인이 된다(Ryerson et al, 2008). 체간 근력을 등 속성 압력계와손 압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체간 근력은 굴곡, 신전, 외측 굴곡, 회전을 수행하는 동안 다 방면으로 손상이 되었다고 하였으며(Bohannon, 1992; Tanaka et al, 1997; Tanaka et al, 1998), 마비 측 사지근육과는 달리 체간 근육은 운동유발전위와 컴퓨터 단층촬영 연구에서 체간의 양측 모두 손상되었다고 하였다 (Stroke,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dler 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3rd ed. Heidelberg. Springer. 2008. 

  2. Agarwal V, Kumar M, Kumar, MR, et al. Effect of number of repetitions of weight bearing exercises on time-distance parameters in stroke. Indian Journal Physiotherapy. Occupational. Therapy. 2008;2(1): 57-63. 

  3. Anderson M, Lough S. A psychological framework for neurorehabilitation. Physiotherapy Practice. 1986; 2(2):74-82. 

  4. Aruin AS, Latash ML. Directional specificity of postural muscles in feedforward postural reactions during fast voluntary arm movemen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995;103(2):323-332. 

  5.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2nd ed. London. Butterworth-Heinemann. 1990. 

  6. Bohannon RW. Lateral trunk flexion strength: impairment, measurement reliability and implications following unilateral brain lesion. International Journal Rehabilitation Research. 1992;15(3):249-251. 

  7. Bohannon RW, Andrews AW, Thomas MW. Walking speed: reference values and correlates for older adults. Journal Orthopaedic Sports Physical Therapy. 1996;24(2):86-90. 

  8. Brunnstrom S.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London. Harper and Row. 1970. 

  9. Carr JH, Shepherd RB.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sing motor performance. Oxford. Butterworth- Heinemann. 1998. 

  10. Cirstea MC, Levin MF. Compensatory strat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2000;123(5):940-953. 

  11. Collin C, Wade D. Assessing motor impairment after stroke: a pilot reliability study. Journal Neurology Neurosurgery Psychiatry. 1990;53(7):576-79. 

  12. Cowan SM, Bennell KL, Hodges PW, et al. Simultaneous feedforward recruitment of the vasti in un-trained postural tasks can be restored by physical therapy.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2003;21(3):553-558 

  13. Davis PM.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loss of selective trunk activity in hemiplegia: In: Right in the Middle. Selective trunk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Heidelberg. Springer. 1990. 

  14. Dickstein R, Sheffi S, Ben Haim Z, et al. Activation of flexor and extensor trunk muscles in hemiparesis. American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2000;79(3):228-234. 

  15. Dickstein R, Shefi S, Marcovitz E, et al.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in post stroke hem- iparetic patients. Archives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2004;85(2):261-267 

  16. Dildip K, Singaravelan RM. Subhash MK. Effectiveness of pelvic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 on facilitation of trunk movement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IOSR Journal of Dental and Medical Sciences. 2013;3(6):29-37. 

  17. Duncan PW, Propst M, Nelson SG.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Physical Therapy. 1983; 63(10):1606-1610. 

  18. Edwards S. Analysis of normal movement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techniques. In: Neurological physiotherapy. A problem solving approach. Churchill Livingstone. 1996. 

  19.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et al.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Scandinavian Journal Rehabilitation Medicine. 1975;7(1):13-31. 

  20. Goff B. Appropriate afferent stimulation. Physiotherapy. 1969;55(1):9-17. 

  21. Helene C, Rejean H, Michel R, et al. Evaluation of postural stability in the elderly with stroke. Archives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2004;85(7):1095-1101. 

  22. Hodges PW, Richardson CA.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 motor control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1996;21(22):2640-2650. 

  23. Karthikbabu S, Rao BK, Manikandan N, et al. Role of trunk rehabilitation on trunk Control,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pre-post design. Neuroscience & Medicine. 2011;2(2):61-67. 

  24. Kumar1 S, Kumar A, Kaur J. Effect of PNF technique on gait parameters and functional mobility in hemiparetic patients. Journal of Exercise Science and Physiotherapy. 2012;8(2):67-73. 

  25. McGill SM. Low back stability: from formal description to issues for performanc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001;29(1):26. 

  26. McGill SM, Grenier SG, Kavcic N, et al. Coordination of muscle activity to assure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Electromyographykinesiology. 2003;13(4):353-359. 

  27. Messier S, Bourbonnais D, Desrosiers J, et al. Dynamic analysis of trunk flexion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10):1619-24. 

  28. Podsiadle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1;39(2):142-8. 

  29. Ryerson S, Byl NN, Brown DA, et al.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ournal Neurologic Physical Therapy. 2008;32(1):14-20. 

  30. Shanmugananth1 E, Nagendran T, Dipika I, et a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upper trunk and lower trunk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on improving postural control in hemiplegic patients. International Peer Reviewed Refereed Journal. 2015;2(8):51-64. 

  31. Steffen TM, Hacker TA, Mollinger L. Age-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ical Therapy. 2002;82(2):128-137. 

  32. Stroke. Assessment of the burden of Non-communicable diseases: Final project report, New Delhi.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2004;18-22. 

  33. Sullivan SBO,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 5th ed. New Delhi. Jaypee Brothers Publication. 2007. 

  34. Tanaka S, Hachisuka K, Ogata H. Trunk rotatory muscle performance in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American Journal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1997;76(5):366-369. 

  35. Tanaka S, Hachisuka K, Ogata H. Muscle strength of trunk flexion-extension in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American Journal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1998;77(4):288-290. 

  36. Tyson S, De Souza L. Development of the brunel balance assessment: A new measure of balance disability post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04;18(7):801-810. 

  37. Verheyden G, Nieuwboer A, Mertin J, et al. The trunk impairment scale: a new tool to measure motor impairment of the trunk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04;18(3):326-34. 

  3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ical Rehabilitation. 2006;20(5):451-458. 

  39.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Neural Repair. 2009;23(3):281-6. 

  40. Wade DT, Wood VA, Heller A, et al. Walking after stroke: measurement and recovery over the first 3 months. Scandinavian Journal Rehabilitation Medicine. 1987;19(1):25-30. 

  41. Whitney SL, Poole JL, Cass SP. A review of balance instruments for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ccupational Therapy. 1998;52:666-671. 

  42. Yonghun K, Eunjung K, Wontae G.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using PNF on the functional reach test and muscl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Journal Physical Therapy Science. 2011;23(5):699-7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