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금의 보돌연변이 및 암세포성장억제 효과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Salt in the Comutagenicity and Growth of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 2012년, pp.26 - 32  

조흔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소희 (동주대학 외식조리영양계열) ,  재영제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소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정제염, 천일염과 유럽산 천일염 등의 SEM에서의 형태, 무기질 성분, 보돌연변이와 암세포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정제염은 SEM을 이용한 관찰 시 구조가 규칙적이었고 천일염은 불규칙한 표면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천일염의 크기도 차이가 있었고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천일염I은 다른 천일염보다 크기가 작았다. 무기질 함량은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 천일염I이 Ca, K, Mg 등의 함량이 다른 소금보다 더 많았다. pH도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 천일염I이 가장 높았다. 한국산 두 가지의 천일염은 무기질 함량에 따라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였고 한국 천일염I은 프랑스 천일염과 비슷한 무기질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소금은 보돌연변이 효과가 있었지만 특히 무기질 함량이 높았던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산 천일염I은 다른 소금보다 낮은 보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HCT-116과 AGS 암세포에 대한 in vitro 항암 효과에서도 보돌연변이 효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많은 무기질을 함유한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산 천일염I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와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금의 기능성은 무기질 함량이 많은 천일염이 정제염보다 좋으며 천일염 중에도 Ca, K 등의 무기질 함량이 높을수록 기능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ified salt and several different types of sea salts showed comutagenicity in the presence of MNN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However, the salts exhibited anti-cancer effects in HCT-116 human colon carcinoma cells and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Sea salt showed less comu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대표적인 천일염인 프랑스의 게랑드 소금과 이탈리아 및 스페인에서 생산된 천일염과 두 종류의 한국산 천일염의 물리적 특성과 아울러 암과 관련하여 소금의 보돌연변이성과 항암성을 실험하여 우리나라 천일염과 지중해산 천일염의 무기질 함량 등의 특성과 기능성을 정제염과 함께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금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신경이나 근육흥분성을 유지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뿐 아니라 체내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이루게 한다(2). 소금의 종류로는 천일염, 재제소금(꽃소금), 정제소금, 가공소금 등이 있으며, 크게 천일염과 정제염 및 가공염으로 나누어진다(3). 천일염은 생산방식에 따라 장판염과 토판염으로 구별되는데 갯벌 바닥에 PVC 장판을 깔고 그 위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을 장판염이라 하고, 갯벌 흙판에서 전통 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을 토판염이라 한다(4).
천일염의 생산방식에 따라 구별되는 두 가지 소금은? 소금의 종류로는 천일염, 재제소금(꽃소금), 정제소금, 가공소금 등이 있으며, 크게 천일염과 정제염 및 가공염으로 나누어진다(3). 천일염은 생산방식에 따라 장판염과 토판염으로 구별되는데 갯벌 바닥에 PVC 장판을 깔고 그 위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을 장판염이라 하고, 갯벌 흙판에서 전통 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을 토판염이라 한다(4). 천일염은 바닷물을 수집해서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데 보통 발효식품, 조리와 피부미용 등에 이용한다(5).
인체 생리과정에서 소금의 역할은? 소금은 우리의 식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조미료로서 인체 생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소금의 나트륨과 염화물은 인체의 산과 염기의 균형뿐만 아니라 전자 균형 유지에도 관여하며 세포막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또한 신경이나 근육흥분성을 유지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뿐 아니라 체내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이루게 한다(2). 소금의 종류로는 천일염, 재제소금(꽃소금), 정제소금, 가공소금 등이 있으며, 크게 천일염과 정제염 및 가공염으로 나누어진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ivingston VJ. 2005. Agriculture and soil pollution: new research. Nova Publishers, Hauppauge, NY, USA. p 45. 

  2. Chang M, Kim IC, Chang HC. 2010. Effect of solar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6-124. 

  3. Cho SD, Kim GH. 2010.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Nutr 23: 291-298. 

  4. Yoon HH, Chang HC. 2011. Growth inhibitory effect of kimchi prepared with four year-old solar salt and topan solar salt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35-941. 

  5. Minegishi H, Mizuki T, Echigo A, Fukushima T, Kamekura M, Usami R. 2008. Acidophilic haloarchaeal strains are isolated from various solar salts. Saline Systems 4, 10.1186/1746-1448-4-16. 

  6.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7. Andreae MO, Charlson RJ, Bruynseels F, Storms H, Grieken RV, Maenhaut W. 1986. Internal mixture of sea salt, silicates, and excess sulfate in marine aerosols. Science 27: 1620-1623. 

  8. Prospero JM. 1979. Mineral and sea salt aerosol concentrations in various ocean regions. J Geophysical Res 84: 725-731. 

  9. Youm PY, Kim SH. 1998. A case-control study on dietary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stomach cancer incidence. Korean J Nutr 31: 62-71. 

  10. Lee JJ, Kim AR, Chang HC, Lee MY. 2009. Antioxidative effects of chungkukjang preparation by adding solar salt. Korean J Food Preserv 16: 238-245. 

  11. Han GJ,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Park KY. 2009.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 (g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96-1002. 

  12.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13. Zhao X. 2011.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amboo salt and Rubus coreanus Miquel bamboo salt.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4. Laskin A, Gaspar DJ, Wang W, Hunt SW, Cowin JP, Colson SD, Finlayson-Pitts BJ. 2003. Reactions at interfaces as a source of sulfate formation in sea-salt particles. Science 18: 340-344. 

  15. Osamu O, Tatsuo U, Takehito T, Akin K. 1988. Collagen fibrillar networks as skeletal frameworks: a demonstration by cell-macerat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ethod. Arch Histol Cytol 51: 249-261. 

  16. Yu MF, Dyer MJ, Skidmore GD, Rohrs HW, Lu XK, Ausman KD, Von Her JR, Ruoff RS. 1999. Three-dimensional manipulation of carbon nanotubes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Nanotechnology 10: 244-252. 

  17. Rosa G de la, Peralta-Videa JR, Montes M, Parsons JG, Cano-Aguilera I, Gardea-Torresdey JL. 2004. Cadmium uptake and translocation in tumbleweed (Salsola kali ), a potential Cd-hyperaccumulator desert plant species: ICP/OES and XAS studies. Chemosphere 55: 1159-1168. 

  18. Lee GD, Kim SK, Kim JO, Kim ML. 2003.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muskmelon with deep seawater salt, sun-dried and purified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0-846. 

  19.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20. Park JG, Kramer BS, Steinber CJ, Collins JM, Minna JD, Gazdar A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21. Skehan P, Storeng R, Monks SA, McMahon J, Vistica D, Warren JT, Bokesch H, Kenney S, Boyd M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22. Bak SS, Kong CS, Rhee SH, Rho CW, Kim NK, Choi KL, Park KY. 2007. Effect of sulfur enriched young radish kimchi on the induction of apoptosis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J Food Sci Nutr 12: 79-83. 

  23. Heo OS, Oh SH, Shin HS, Kim MR. 2005.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alt and salted-fermented shrimp. Kor J Food Sci Technol 37: 519-524. 

  24. Shin TS, Park CK, Lee SH, Han KH. 2005. Effects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in sun-dried salts. Kor J Food Sci Technol 37: 312-317. 

  25. Lee EJ, Lee WK, Won SS, Sub BH, Lee HS. 2008. Intakes of energy and nutrients and risk of breast cancer-casecontrol study in Daegu. Gyeongbuk area, Korea. Korean J Nutr 41: 754-766. 

  26. Ha JO. 1997.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7. Zhao X, Song Jiale, Lee JH, Kim SY, Park KY. 2010. Antioxidation and cancer cell (HT-29)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Rubus coreanus Miquel bamboo salt. Cancer Prev Res 15: 306-312. 

  28. Kim SH, Park KY, Suh MJ. 1995. Comutagenic effect of sodium chloride in Salmonella/mammalian microsome assay. Food Biotech 4: 264-267. 

  29. Lee HJ, Jung KO, Jeon SH, Park KY, Lee WH. 2000. Effects of salt and fermented anchovy extract on the somatic mutagenicity in drosophila wing spot test sy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39-1144. 

  30. Jeong BJ, Kim Y, Kim CD, Hyun SC, Ham GS. 2009. Crystall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lar salts produced from Jeonnam area by X-ray diffraction techniqu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84-1288. 

  31. Lamprecht SA, Lipkin M. 2003. Chemoprevention of colon cancer by calcium, vitamin D and folate: molecular mechanisms. Nature Reviews Cancer 3: 601-614. 

  32. Park KY, Cho EJ, Rhee SH. 1998. Increase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changing kinds and levels of sub-ingredi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25-632. 

  33. Park CK, Choe M, Ju JS. 1992.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pattern in the family members of normal and stomach cancer patients. J Korean Soc Food Nutr 21: 648-6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