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함유 음료의 in vitro 항산화 관련 생리활성효능 및 안전성 검증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 2012년, pp.41 - 48  

박재희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소윤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민구 (거제시 농업기술센터) ,  윤민수 (거제시 농업기술센터) ,  이양일 (거제시 농업기술센터)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총폴리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TRAP, ORAC assay, comet assay) 및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CR mouse를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무첨가군과 첨가군 단회 투여(2 g/kg) 시 나타나는 치사율, 체중, 생리적 증상, 장기무게, 생화학적 분석(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을 통해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를 함유한 호박, 알로에, 돼지감자음료 1 pack의 총 페놀함량은 66.35~100.98 mg/pack,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90.0%/1 pack, TRAP 값은 $1.46\sim1.54{\mu}M$/trolox equivalent(TE)를 보였으며, 모든 음료의 ORAC 값은 1500보다 높았다. 모든 음료는 인체 임파구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_2O_2$에 대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유의적이었다.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의 ICR mouse 암수 각각에 경구투여(2 g/kg) 후 14일까지 치사된 실험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 생리적, 병리적 및 생화학적 분석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그룹들 간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2 g/kg의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를 ICR mouse에 단일 경구투여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항산화활성과 안전성은 산업적측면에서 약용 및 식용 자원으로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extracts (pumpkin, aloe, and artichok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PB) and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nges in ICR mice after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The total polyphenol (TP) and 2,2-diphenyl-1-picrylhy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의 기능성식품 재료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용되고 있는 배 즙, 알로에 즙, 돼지감자 즙에 흰점박이꽃무지 첨가 시 그 생리 활성 규명 및 급성경구독성시험을 통해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즙의 항산화활성 및 안전성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총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TRAP, ORAC assay, comet assay) 및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CR mouse를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무첨가군과 첨가군 단회 투여(2 g/kg) 시 나타나는 치사율, 체중, 생리적 증상, 장기무게, 생화학적 분석(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을 통해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를 함유한 호박, 알로에, 돼지감자 음료 1 pack의 총 페놀함량은 6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굼벵이의 효능은 무엇인가?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조(蠐螬, Protaetia brevitarsis, PB), 일명 굼벵이는 파혈행어(破血行瘀), 산결소종 (散結消腫), 청혈해독(淸血解毒) 등의 효능이 있어 통풍(痛風), 어혈협통(瘀血脇痛), 그리고 단독(丹毒) 등의 여러 질병에 대한 한방 치료처방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간암 등의 간질환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5). 현재 농가에서 인공 사육되어 주로 사용 되고 있는 종은 딱정벌레목, 꽃무지과 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조는 어떤 종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조(蠐螬, Protaetia brevitarsis, PB), 일명 굼벵이는 파혈행어(破血行瘀), 산결소종 (散結消腫), 청혈해독(淸血解毒) 등의 효능이 있어 통풍(痛風), 어혈협통(瘀血脇痛), 그리고 단독(丹毒) 등의 여러 질병에 대한 한방 치료처방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간암 등의 간질환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5). 현재 농가에서 인공 사육되어 주로 사용 되고 있는 종은 딱정벌레목, 꽃무지과 곤충인 흰점박이꽃무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흰점박이꽃무지와 관련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 흰점박이꽃무지와 관련된 연구들은 산란 및 생육특성(6,7), 에탄올 및 사염화탄소의 간 손상에 미치는 흰점박이꽃무지와 그 유충의 영향(8), 항세균 및 항균성 단백질(9-11), 항암효과(12)에 대해 보고되었다. Yoon 등(4)과 Hwang 등(13)에 의해 흰쥐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균질액의 독성시험을 통해 흰점박이꽃무지 균질액의 안전성은 규명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SK, Choi HS.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coagulant from corn sil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62-1267. 

  2. Ko EM, Kim BY.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varepsilon$ -polylysine mixture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05-710. 

  3. Ko SB, Hyun CS, Kang KW. 2011. A study on set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functional and mixed drinks using the Jeju water. J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12: 2133-2141. 

  4. Yoon WJ, Lee JA, Kim JY, Kim SB, Park SY.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Anomala albopilos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70-677. 

  5. Lee HC, Hwang SY, Hwang SG, Jeon BH, Lee DW. 2001. Acute oral toxicity of Protaetia brevitarsis homogenate in rats. Korean J Oriental Medical Physiology Pathology 15: 543-547. 

  6. Kim KH, Son JS. 1991. Oviposition activities of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Korean J Appl Entomol 30: 265-270. 

  7. Park HY, Park SS, Oh HW, Kim JI. 1994.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reared in the laboratory. Korean J Entomol 24: 1-5. 

  8. Lee HC, Hwang SG, Kang YK, Sohn HO, Moon JY, Lim HB, Jeon BH, Lee DW. 2001. Influence of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on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and ethanol in rats. Korean J Life Sci 11: 405-414. 

  9. Lee SY, Moon HJ, Kurata S, Kurama T, Natori S, Lee BL. 1994. Purification and molecular cloning of cDNA for an inducible antibacterial protein of larvae of a Coleopteran insect Holotrichia diomphalia. J Biochem 115: 82-86. 

  10. Lee SY, Moon HJ, Kurata S, Kurama T, Natori S, Lee BL. 1995. Purification and cDNA cloning of antifungal protein from the hemolymph of Holotrichia diomphalia larvae. Biol Pharm Bull 18: 1049-1052. 

  11. Lee SY, Moon HJ, Kawabata S, Kurata S, Natori S, Lee BL. 1995. A sapecin homologue of Holotrichia diomphalia: purification, squencing and determination of disulfide pairs. Biol Pharm Bull 18: 457-459. 

  12. Yoo YC, Shin BH, Hong JH, Lee J, Chee HY, Song KS. 2007. Isolation of fatty acids with anticancer activity from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rch Pharm Res 30: 361-362. 

  13. Hwang SY, Lee YG, Hwang SG, Lim HB, Kim YI, Jang KH, Jeon BH, Lee DW, Lee HC. 2001. Subchronic toxicity of Protaetia brevitarsis in rats. Kor J Ori Med Physiol Pathol 15: 703-707. 

  14. Kim GN, Shin JG, Jang HD.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extract treated with Aspergillus saitoi. Food Chem 117: 35-41. 

  15. Allain CC, Poon LS, Chan CS, Richmond W, Fu PC. 1974. Enzymatic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cholesterol. Clin Chem 20: 470-475. 

  16. McGowan MW, Artiss JD, Strandbergh DR, Zak B. 1983. A peroxidase-coupled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lin Chem 29: 538-542. 

  17.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8. Boo KS. 2005. Hormone and physiology of insect. Seoul Univ. press, Seoul, Korea. p 11. 

  19. Bondent V, Brand-Williams W, Bere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s. LWT-Technol 30: 609-615. 

  20. Park JH, Seo BY, Lee SC, Park E. 2010.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talked sea squirt (Styela clava) on antioxidant potential, oxidative DNA damage and DNA repair. Food Sci Biotechnol 19: 1035-1040. 

  21. Jeon EJ, Kim JS, Park YK, Kim ST, Kang MH. 2003. Protective effect of yellow-green vegetable juices on DNA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cell using comet assay. Korean J Nutr 36: 24-31. 

  22.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23. Wolfe KL, Kang X, He, X, Dong M, Zhang Q, Liu RH. 2008.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of common fruits. J Agric Food Chem 56: 8418-8426. 

  24. Lizcano LJ, Bakkali F, Ruiz-Larrea MB, Ruiz-Sanz JI.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aqueous extracts from Colombian Amazonian plants with medicinal use. Food Chem 119: 1566-1570. 

  25. Silva EM, Souza JNS, Rogez H, Rees JF, Larondelle Y.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ntents of fifteen selected plant species from the Amazonian region. Food Chem 101: 1012-1018. 

  26. Singh PN, McCoy MT, Tice RR, Schneider EL. 1988.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Exp Cell Res 175: 184-191. 

  27. Ostling O, Johanson KJ. 1984. Microgel electrophoretic study of radiation-induced DNA damages in individual mammalian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m 123: 291-298. 

  28. Wickens AP. 2001. Ageing and the free radical theory. Resp Physiol 128: 379-3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