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가뭄의 경향성, 주기성 및 발생빈도 분석
Analysis on Trends, Periodicities and Frequencies of Korean Drought Using Drought Indice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1, 2012년, pp.75 - 89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지원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창주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PDS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를 선정하였고, 기상청 산하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80~2009년까지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월평균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지수별 경향성 분석, 주기성 분석 및 가뭄기간(Drought Spell) 조사를 통하여 과거 한반도 가뭄의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반도 가뭄의 유역별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SPI3와 SPI6는 봄과 겨울에는 모든 유역에서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SPI12와 PDSI의 경우 짧은 지속기간의 가뭄지수와는 다소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역별 가뭄의 주기성을 분석한 결과 1~2년 또는 6년 내외의 주기 성분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PI3의 분석결과 유역 전반에서 1~2년의 주기성을 보였고, SPI6와 SPI12는 유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4~6년에서 강한 주기성을 나타냈다. 또한 PDSI도 마찬가지로 6년 내외의 주기성을 보였다. 가뭄기간 조사에서도 금강, 영산강, 낙동강 유역에 위치하는 관측소를 중심으로 극심한 가뭄이 많이 나타났던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한반도의 중부지방 보다 남부지방이 극심한 가뭄에 취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ought of Korea through trend, periodicity and drought spell analysis by using the drought indices.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were calculated using weather data of 59 weat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발생했던 국내 가뭄의 주기성, 경향성 및 발생빈도 등과 같은 가뭄의 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서로 다른 이론적 배경을 갖고 있는 SPI 및 PDSI 가뭄지수를 활용하였으며, Mann-Kendall 경향성 검정법과 Wavelet Transform 분석법을 채택하여 가뭄의 경향성 및 주기성을 분석하였고 두 가지 가뭄지수간의 공통주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Cross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였다. 또한 과거 30년간의 관측소별 과거 가뭄기간조사를 통하여 한반도에 발생하였던 극심한 가뭄의 발생빈도 및 지역적 분포를 확인함으로써 한반도에 발생했던 과거 가뭄현상의 통계학적 특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매년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가뭄발생현상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과거 가뭄발생 기록과 가뭄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가뭄의 경향성, 주기성 및 빈도 등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한반도에 나타났던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가뭄지수인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를 적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이론적 배경과 산정방법을 갖는 두 가지 가뭄지수의 비교를 통해 한반도에 발생하였던 과거가뭄의 통계학적 특징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보다 객관적인 과거 가뭄 평가를 위해 가뭄 관련 미디어 기사 및 보고서의 기록을 통하여 가뭄기간을 조사하여 기사 및 보고서의 본문에서 표현하고 있는 가뭄 피해정도와 기간 등을 본 연구에서 산정된 가뭄지수값과 비교함으로써 대표적인 과거 가뭄사상과의 일치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PI와 PDSI를 활용한 경향성, 주기성 및 빈도 해석을 통하여 한반도의 과거 가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Mann-Kendall 검정을 통하여 각 지수의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SPI3와 SPI6는 전 유역에서 봄과 겨울에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 59개 관측소에 대한 과거 30년간의 월별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5대강 유역에 발생하였던 극심한 가뭄의 지역적 분포 및 가뭄의 발생빈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서 산정된 SPI6와 PDSI를 이용하여 각각 SPI(-2)이하의 극심한 가뭄과 PDSI(-4)이하의 극심한 가뭄을 나타낸 가뭄지수의 횟수 및 기간을 조사하였고 59개 관측소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상위 20개의 기상관측소를 Fig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가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강우량 및 유출량 등의 수문자료를 직접 활용하여 가뭄을 평가하는 방법과 가뭄지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가뭄을 통계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장연규 등(2004)이 한반도를 대상으로 기상청 관할 59개 관측소의 일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SPI를 산정한 후 경험적 직교함수(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분석을 통해 가뭄의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였고, 김보경 등(2008)은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극한지수를 산정한 후 이를 근거로 기상관측소의 과거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수량은 점차 증가하는 반면에 강우 일수는 감소했던 것과 가을철 보다는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김광섭(2006)은 수문-기상 자료 분석에 사용되는 유용한 통계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수문-기상 자료를 분석함에 있어 연구 목적에 따라 정확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선형추세 분석기법, 주기성 분석기법, 고유치 기법을 이용한 변화도 분석방법, 상관성 분석기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 분석기법의 대표적인 방법을 소개하였다.
SPI와 PDSI를 활용한 경향성, 주기성 및 빈도 해석을 통하여 한반도의 과거 가뭄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SPI와 PDSI를 활용한 경향성, 주기성 및 빈도 해석을 통하여 한반도의 과거 가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Mann-Kendall 검정을 통하여 각 지수의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SPI3와 SPI6는 전 유역에서 봄과 겨울에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SPI12와 PDSI의 경우에는 지속 기간이 짧은 가뭄지수에서와 같은 계절적 변동성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연강수량의 증감에 따라서 유역별로 다소 다른 증감 추세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가뭄의 경향성 분석 결과,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가뭄현상은 심도에 있어서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가뭄 지속기간에 있어서도 길어지게 되므로 겨울가뭄과 봄가뭄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PI는 어떤 것에 착안하여 개발되었나? Mckee et al. (1993, 1995)은 강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상대적으로 물 수요에 비해 물 공급 부족을 유발하게 되고 가뭄발생의 발단이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SPI를 개발하였다. SPI 산정은 시간단위별 누가강수시계열을 구하고, 각 월을 기준으로 하여 시간단위에 해당하는 누가 강수시계열을 산정하여 지속시간별 시계열을 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건설교통부(1995). 가뭄기록조사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2). 가뭄기록조사보고서. 

  3. 국토해양부(2008). 가뭄정보시스템(물공급 Guideline 중심으로). pp. 13-35. 

  4. 권현한, 문영일(2005a).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수문 시계열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65호, pp. 439-448. 

  5. 권현한, 문영일(2005b). Palmer 가뭄지수(PDSI)와 ENSO 지수와의 상관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5호, pp. 355-358. 

  6. 김광섭(2006). 수문-기상자료해석을 위한 통계기법에 대한 고찰. 2006년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보고서, 한국수자원학회, pp. 373-398. 

  7. 김보경, 김병식, 김형수(2008). 극한지수를 이용한 극한 기상 사상의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호, pp. 41-53. 

  8. 이주헌, 정상만, 김성준, 이명호(2006a).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1.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9권, 제9호, pp. 787-800. 

  9. 이주헌, 정상만, 김재한, 고양수(2006b).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2. 정량적 가뭄 모니터링 및 가뭄전망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9권, 제9호, pp. 801-812 

  10. 장연규, 김상단, 최계운(2004).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공간적 특성 연구. 2004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897-4902. 

  11. Gibbons, J.D. (1990). "Handbook of tatistical methods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McGrawHill, ed. Harroson M.W. 

  12. Grinsted, A., Moore, J.C., and Jevrejeva, S. (2004). "Application of the cross wavelet transform and wavelet coherence to geophysical time series." Nonlinear Processes in Geophysics, Vol. 11, pp. 561- 566. 

  13. Khadr, M., Morgenschweis, G., and Schlenkhoff, A. (2009). "Analysis of meteorological drought in the Ruhr Basin by us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57, pp. 607-616. 

  14.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Jan., Aneheim, CA, pp. 179-184. 

  15.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e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eprint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5-20 Janiary, Dallas, TX, pp. 233-236. 

  16. Morlet, J., Arens, G., Forgeau, I., and Giard, D. (1982) "Wave propagation and sampling theory." Geophysics, Vol. 47, pp. 222-236. 

  17.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C.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18. Torrence, C., and Compo, G.P. (1998). "A practical guide to wavelets analysi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79, No. 1, pp. 61-78. 

  19. Zar, J.H. (1999). Biostatistical Analysis. Prentice hall, New Jerse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