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기반의 식생지수를 활용한 농업적 가뭄감시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using the satellite-based vegetation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4, 2016년, pp.305 - 314  

백슬기 (중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장호원 (중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김종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홍수연구소) ,  이주헌 (중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농업적 가뭄을 시, 공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Terra의 MODIS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뭄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여러 가지 위성영상 중에서 식생 상태의 변화가 관찰되는 MOD13A3 영상을 통하여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EVI (Enhanced Vegetation Index)를 선정하였으며, 토지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MCD12Q1 영상의 Type1을 통하여 물, 도심지역 등을 제외한 식생부분만을 나타낼 수 있도록 토지피복분류를 하였다. 토지피복분류된 자료를 이용하여 NDVI와 EVI를 중권역별로 산정하여 나타낸 결과 계절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 이를 보완하고자 EVI의 표준화 지수인 VSIA (Vegetation Stress Index Anomaly)를 우리나라의 극심한 가뭄해인 2001년에 대하여 중권역별로 산정하였다. 또한, 과거 우리나라의 농업가뭄 피해를 조사하였으며, 지상강우관측소의 자료를 통하여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중권역별로 산정하였다. SPI와 위성영상의 표준화 지수인 VSIA를 우리나라의 농업적 가뭄피해 연도와 비교하였으며, VISA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해 한반도의 농업적 가뭄을 평가할 수 있는 활용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assess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the agricultural drought in time and space using the Terra MODIS remote sensing data for the agricultural drought.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Enhanced Vegetation Index (EVI) were selected by MOD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0년 이후 자료제공이 시작된 MODIS NDVI의 경우 NOAA AVHRR NDVI에 비해 공간해상도가 높고 밴드폭이 좁고 다양하기 때문에 식생의 변화를 관측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 가뭄의 시공간적 분석을 위하여 Terra 위성의 MODIS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NDVI와 EVI (Enhanced Vegetation Index)를 산정하였으며, 과거 우리나라의 농업가뭄 피해조사 자료와 지상관측소의 자료를 통하여 산정된 SPI 가뭄지수와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생지수의 계절적 성향을 제거하여 정량적 비교 분석을 위하여 VSIA(Vegetation Stress Index Anomaly)를 우리나라의 가뭄사상과 비교하였으며, 상관분석 및 시공간적 분석을 통해 위성영상을 활용한 우리나라의 농업가뭄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가뭄에 대해서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가뭄의 전개 과정과 농업적 가뭄피해 조사를 하였으며, 특히 극심한 농업적 가뭄해인 2001년에 대하여 MODIS 위성정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지역의 농업적 가뭄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적 가뭄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Terra 위성의 MODIS 센서의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NDVI와 EVI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식생지수를 활용하여 과거 주요 농업적 가뭄연도인 2001년에 대해서 적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생지수의 강한 계절적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월별 농업적 가뭄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권역별로 산정된 해당 월의 EVI 값에서 중권역별 해당 월의 전체관측기간에 대한 평균치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VSIA (Vegetation Stress Index Anomaly)를 산정하였다. 산정 식은 Eq.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상이변은 어떤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가 과거에 비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IPCC, 2014). 특히, 가뭄의 경우, 홍수 등의 다른 수문학적 재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피해를 유발하여 그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는 절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강우가 발생하여 강원영서를 비롯한 경기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봄 가뭄, 마른장마가 초래되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계속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Son et al.
우리나라 가뭄 재해의 빈도는 어떤가? 평년보다 높은 이상고온 현상의 지속, 강우의 부족 등의 이상 기후 현상은 최근 들어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를 고려한 다양한 모델의 예측치들은 가뭄 재해가 앞으로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전망을 하고 있다(IPCC, 2014). 현재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마른장마, 봄 가뭄 등 이상가뭄이 빈발하고 발생되고 있으며, 90년 이후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겨울에서 봄까지의 가뭄인 횟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and Lee, 2011). 
가뭄은 다른 재난에 비해 어떤 점이 위험한가? 가뭄은 자연재난 중 다른 재난에 비해 영향면적이 넓으며, 시간적으로도 장기간에 거쳐 느린 속도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Wilhite, 2000; Lee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idenshink, J.C. (1992). The 1990 Conterminous U.S. AVHRR Dataset,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58, No. 6, pp. 809-813. 

  2. Eoh, M.S. (2001). Drought and measures 2001, Journal of Urban Hazard Mitigation,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 , No. 2, pp. 4-8. 

  3.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in S. Solomon, D. Qin, M. Mannigna, Z.Chen, M. Marquis, K.B. Averyt, M. Tignor, and H.L. Miller (Eds.),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96. 

  4.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Part A: Global and sectoral aspect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Jhang, J.H., Jiang, L.G., Feng, Z.M., and Li, P. (2012). Etecting Effects of the Recent Drought on Vegetatin in Southwestern China J. Resour. Ecol. Vol. 3. No. 1. pp. 43-49. 

  6. Kim, G.S., and Park, H.G. (2010). Estimation of Drought Index Using CART Algorithm and Satellite Data,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3, No. 1, pp. 128-141. 

  7. Kim, G.S., and Park, J.S. (2006). Correlation Analysis of Vegetation Index and Drought Index Korean Welands Society, Vol. 8, No. 1, pp. 49-58. 

  8. Kim, B.S., and Lee, J.W. (2011).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using the Drought Recor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8, pp. 639-652. 

  9. Kim, B.S., Sung, J.H., Lee, B.H., and Kim, D.J. (2013). Evaluation on the impact of extreme droughts in South Korea using the SPEI and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Journal of Kosham, Vol. 13, No. 2, pp. 97-109. 

  10. Kogan, F.N. (1990). Remote Sensing of Drought,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pp. 591-594. 

  11. Kogan, F.N. (1995). Application of Vegetation Index and Brightness Temperature for Drought Detection, Adv. in Space Res., Vol. 15, pp. 91-100. 

  12. Kogan, F.N. (1997). Global drought watch from space,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logical Society, Vol. 78, pp. 621-636. 

  13. Kogan, F.N., Gitelson, A., Edige, Z., Spivak, I., and Lebed, L. (2003). AVHRR-Based Spectral Vegetation Index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Vegetation Sate and Productivity: Calibration and Validation, Photogram 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69, No. 8, pp. 899-906. 

  14.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2). 2001 National Drought Investigation Report, pp. 57-95. 

  15. Lee, J.H., Kim, J.S., Jang, H.W., and Lee, J.C. (2013). Drought Forecasting Using the Multi Layer Perceptron (MLP)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2, pp. 1249-1263. 

  16. Liu, H.Q., and Huete, A.R. (1995). A feedback based modification of the NDVI to minimize canopy background and atmospheric noise,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ing 33, pp. 457-465.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02). 2001 Drought Impact Investgation Report. 

  18. Park, J.S., Kim, K.T., and Kim, J.H. (2005). Analysis of the Possibility for Practical Use of Vegetation Indices and Drought Indices for Drought Detection,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pp. 157-160. 

  19. Rouse, J.W.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roceedings, Thi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1 Symposium, Greenbelt: NASA SP-351, 3010-317. 

  20. Shin, S.H. (2005). Applicability Analysis of Drought Index using Multi-temporal NDVI, M.S.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pp. 33-54. 

  21. Son, K.H., Bae, D.H., and Cheong, H.S. (2015). Construction & Evaluation of GloSea5-Based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System,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5, No. 2, pp. 271-281. 

  22. Wilhite, D.A. (2000). Drought as a natural hazard: concepts and definitions. In: Wilhite D.A. (ed) Drought: a global assessment, Routledge, pp. 3-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