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개 대학 한방병원에서 EMR을 통해 보고된 한약에 의한 약물유해반응의 현황
Status of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Voluntarily Reported by EMR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3 no.4, 2012년, pp.485 - 497  

권영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조우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한창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herbal ADRs) reports submitted by a single oriental hospital an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ausative agents, clinical manifestations, severity and types of herbal medic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1개 대학 한방병원에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통한 자발적 약물 보고 시스템에 보고된 한약에 의한 ADR을 조사하여, 인과성 평가 후 한약 ADR의 성별, 연령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 기관(organ)별 증상발현빈도와 중증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저자는 한방 의료기관에서 EMR을 통해 자발적으로 보고된 한약에 의한 약물 유해반응에 대해 단면 조사를 하기로 하였다. 현재 국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널리 쓰이는 약물 유해반응에 대한 조사 도구인 WHO-UMC 지표, WHO-ART 등을 응용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유해반응이란?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은 약물을 정상적으로 투약하여 발생한 유해(有害)하고 의도되지 않은 반응이다3. 양약의 경우 시판되는 모든 약물에 대해 의무적으로 유해사례를 보고하도록 규정하면서 ADR의 보고는 급속하게 늘고 있다4.
한약 ADR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한 증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한약 ADR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한 증상은 두통(12.2%), 설사(10.2%), 가려움증(10.2%), 어지러움 (8.2%), 오심(8.2%), 발진(8.2%) 등의 순이었고, 이 외에 구토, 속쓰림, 소화불량, 연하곤란, 변비, 복부팽만, 불면, 두드러기, 발열, 전신 쇠약감, 전신부종, 입안 마름, 호흡곤란, AST/ALT 상승 등이 있었다. 특히 간 효소 수치 상승에 의한 약물유해 반응의 보고는 1건으로, 한약의 투여가 간이나 신장에 심각한 유해 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한의학계의 보고28,34,37,38와 일치하였다.
"약물(藥物)은 사용하기에 따라 약(藥)이 될 수 있고 독(毒)이 될 수도 있다." 라는 말과 관련하여 Peter Mere Latham가 이야기 한 것은? 약물(藥物)은 사용하기에 따라 약(藥)이 될 수 있고 독(毒)이 될 수도 있다. 일찍이 1541년 Paracelus는 “모든 약물은 독약”이라고 하였고1 , 1800년대 Peter Mere Latham은 “독이나 약은 다른 작용을 제공하는 같은 물질”이라고 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이선동, 박영철. 한약 독성학 I. 파주: 한국학술 정보(주); 2012, p. 42-3. 

  2. 권기태. 독성 한약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2009, p. 2-3, 12-20, 22-4. 

  3.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고지 제 2009-208호, 의약품등 안전성 정보관리. 2009.12.22. 제 2조 5항. 

  4. 유기연.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약물유해반응 보고 자료 분석.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0, p. 1-5. 

  5. 홍은진.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관리와 보고체계의 연구.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6, p. 1-4, 80. 

  6. 박실비아, 채수미. 외국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제도 현황과 국내 실시 방안. 한국임상약학회지 2008;18(1):18-27. 

  7. 이정헌. 의약품 이상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기관 실시후의 반응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p. 1-2, 46-7. 

  8. 임경화, 신현택, 손현순, 전효정, 이주현, 이유정, 등. 의약품 부작용에 관한 국제 분류체계인 WHO -ART와 MedDRA의 비교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2007;17(1):46-51. 

  9. 안희정, 김선하, 한서경, 박병주. 약물 부작용 사례 코딩용어체계: MedDRA를 중심으로. 대한임상약리학회지 2005;13(1):15-23. 

  10. 손명균, 이용원, 정한영, 이승우, 이광훈, 김승업, 등. 약물유해반응의 인과관계 판정을 위한 Naranjo와 WHO-UMC 지표의 비교. 대한내과학회지 2008;74(2):181-7. 

  11. Hinrichsen VL, Kruskal B, O'Brien MA, Lieu TA, Platt R.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to enhance detection and reporting of vaccine adverse events. J Am Med Inform Assoc 2007; 14(6):731-5. 

  12. 김민강, 강혜련, 김주희, 주영수, 박성훈, 황용일, 등. 단일기관에서 전산을 통해 수집된 자발적 약물유해반응 보고사례들의 분석. 대한내과학회지 2009;77(5):601-9. 

  13. 윤덕용.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한 약물 감시 연구.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p. 1-6. 

  14. 박승화, 최수임, 이은경. 약물이상반응으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분석. 병원약사학회지 2001; 18(2):265-9. 

  15. 권희. 지역약물감시센터 보고사례의 간독성 약물 부작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09, p. 1-5, 30. 

  16. 이진이, 박세영, 허지행, 박미혜, 하지혜, 이의경. 의약품 부작용의 심각도 조사 비교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2011;21(3):237-42. 

  17. Montastruc JL, Lapeyre-Mestre M, Bagheri H, Fooladi A. Gender differences in adverse drug reactions: analysis of spontaneous reports to a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re in France. Fundam Clin Pharmacol 2002;16(5):343-6. 

  18. Li C, Xia J, Deng J, Jiang J. A comparison of measures of disproportionality for signal detection on adverse drug reaction spontaneous reporting database of Guangdong province in China.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8;17(6):593-600. 

  19. Rodenburg EM, Stricker BH, Visser LE. Sexrelated differences in hospital admissions attributed to adverse drug reactions in the Netherlands. Br J Clin Pharmacol 2011;71(1):95-104. 

  20. Zopf Y, Rabe C, Neubert A, Gassmann KG, Rascher W, Hahn EG, et al. Women encounter ADRs more often than do men. Eur J Clin Pharmacol 2008;64(10):999-1004. 

  21. Zopf Y, Rabe C, Neubert A, Janson C, Brune K, Hahn EG et al. Gender-based differences in drug prescription: relation to adverse drug reactions. Pharmacology 2009;84(6):333-9. 

  22. Puche CE, Luna DC. Adverse drug reactions in patients visiting a general hospital: a meta-analysis of results. An Med Interna. 2007;24(12):574-8. 

  23. Falip M, Artazcoz L, Pena P, Perez SA, Martin MM, Codina M. Classic antiepileptic and new generation antiepileptic drugs: gender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and adverse drug reactions. Neurologia 2005;20(2):71-6. 

  24. Lazarou J, Pomeranz BH, Corey PN. Incidence of adverse drug reactions in hospitalized patient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JAMA 1998;279(15):1200-5. 

  25. 강인철. 약물유해반응 보고 활성화 교육에 따른 약사들의 인식도 변화정도 평가.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p. 16-22. 

  26. 최윤희, 손의동. 3차 병원에서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현황 조사와 약물 부작용 관리를 위한 약사의 인식도 조사. 한국임상약학회지 2003; 13(2):72-81. 

  27. 최남경, 권혁부, 이애영, 박병주. 자발적 부작용 신고제도 인식도 및 약물유해사례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 고양시 의사 및 약사를 대상으로.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지 2008;1:68-74. 

  28. 설재균, 김지양, 김해중, 신용진, 전지영, 고석재, 등. 한약 투여 후 발생한 특이반응의 급성 약물유인성 간손상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spr(1):176-81. 

  29. 장인수, 양창섭, 이선동, 한창호. 최근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에 대한 오해와 실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spr(1):67-74. 

  30. 윤영주, 신병철, 이명수, 조성일, 신우진, 박히준, 등.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1):153-72. 

  31. Barnes J.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s : a UK perspective. Drug Saf 2003;26(12) :829-51. 

  32. Firenzuoli F, Gori L, Menniti-Ippolito F. Symposium on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s, London, March 28, 2006. eCAM 2008;5(1):117-8. 

  33. 정종미, 손창규. 한약물의 유해반응에 대한 고찰: 간손상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8;17:53-7. 

  34. 윤영주. 한약이 간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가 : 한약 관련 간손상에 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고찰.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동서의 학대학원; 2009, p. 1-7, 15-9, 36-64. 

  35. 김동준. 독성 간손상의 평가.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3(1):5-14. 

  36. 강만호, 설무창, 문자영, 이상호. 6개월간 동일 한약을 복용한 외래환자 117례의 간기능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fal(1):106-12. 

  37. 김태식, 정한수, 정희. 증례를 통해 본 한약투여가 간질환 환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2):349-54. 

  38. 이영준. 간, 신장수치 이상 환자에 부자 등이 포함된 처방투여가 그 수치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석사).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원; 2012, p. 1, 7-21.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Media centre, Fact sheet[internet]. [2012.11.12.검색]. Avaliable from: 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93/en/. 

  40. 김성진. 지역사회 주민의 한약복용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학위논문(석사).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1999, p. 46. 

  41. 權奇泰. 독성 한약의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2009, p. 1-3, 14-20. 

  42. 전국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신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11, p. 336-8. 

  43. 김철홍, 성보경, 정경진, 정해영. 노화와 노인성 질환.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aut(1):1-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