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을 이용한 대두 발효 추출물이 면역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bean extract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on immune system activity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6 no.3, 2012년, pp.139 - 153  

박병두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김혜자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NK cells are spontaneously cytotoxic lymphocytes. These are not only important parts in the first line of defence against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of outside, but they may also play a critical role in chronic viral diseases. NK cells kill their targets spontaneously, without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1) 본 실험은 대두발효 추출물(SFE)이 macrophage를 직접 자극하여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지표로서 시료로 자극된 macrophage의 배양 상등액에 생산된 IL-12, TNF-α, MCP-1, IL-6 및 IFN-γ의 양을 측정하였다.
  • 효과 대두발효 추출물(soybean fermented extracts, SFE)은 유산균의 세포벽 혹은 대두의 단백질 성분으로서 추출된 성분인데 이러한 성분은 일반적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면역세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대두발효 추출물(Soybean fermented extracts, SFE)이 면역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종의 유산균을 이용한 대두 발효 추출물(soybean fermented extracts, SFE)의 면역계 조절 또는 자극활성을 조사함으로서 이를 면역조절 활성을 지닌 소재로의 응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나아가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시료의 세포독성을 포함하여 주로 선천면역계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세포인 대식세포의 cytokine 유도효과와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 하였다.
  • 최근에는 기존의 유산균 발효제품이 동물성 배지(medium)인 우유를 기질로 사용함으로써 알러지 유발과 고칼로리로 인한 생활습관병인 대사질환의 증가가 우려되고 있어 식물성 배지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학계 및 산업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두를 배지로 유산균 발효를 통해 단백질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고 올리고당이 풍부하도록 대두 성분의 유효성분을 한층 극대화시키고, 유산균들이 경쟁을 통해 증식 속도와 생존능력을 강화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 생산되는 유효물질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화흡수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어 두유 등의 가공형태나 발효공법 등을 접목시켜 유효성분의 흡수를 증강시키고 있다.9) 대두의 소화흡수율 증강을 위한 대두발효에 대한 연구로 대두 발효식품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10)와 페놀성분의 항산화 특성,11) melanoidin의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성에 관한 보고,5, 12) 대두 가수분해물과 발효식품의 기능성 펩타이드에 관한 연구13) 등이 보고되었다.
대두에는 어떠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가? 대두(soybean, Glycine max L)에는 대두단백, 펩티드, 올리고당, 인지질, 이소플라본, 사포닌, 무기질과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등 생리활성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1, 2)
대두 saponin은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 3) 대두 식물성분인 phytochemical류의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으로 인해 대두제품이 각광받고 있는 데,4) 그 중 isoflavon류(genistein, daidzein, glycitein)는 항산화 효과를 지니며, estrogen 수용체를 blocking 함으로써 유방암과 난소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5) 대두 펩티드는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강하, 면역부활, 혈소판응집저해 등의 활성을 지니고, inositol과 phytate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대두 saponin은 비만억제, 혈중 콜레스테롤의 감소, 항암, HIV 증식억제, 노화방지 등의 작용을 지니며, 그 외 대두성분은 피부암, 방광암, 폐암, 결장암, 췌장암, 식도암, 전립선암, 간암, 위암 등에도 유효함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1, 7,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최영선. 대두유의 영양학적평가. 한국콩연구회지. 1996 ; 13(1) : 7-17 

  2. 김미경. 건강기능식품. 교문사. 2010 

  3. Lee MJ, Son CY, Kim JH. Relation between Health Examination Outcome and Intake of Soy Food and Isoflavon among Adult Male in Seoul. J. Kor. Soc. Food Sci. Nutr. 2008 ; 41 : 254-263 

  4. Caragy AB. Cancer-preventive foods and ingredients. Food Technology. 1992 ; 46(4) :655. 

  5. Yoon KD, Kwon DJ, Hong SS, Kim SI, Chung KS. Inhibition effect of soy bean and fermented soybean products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Kor. J. Microbiol. Biotechnol., 1996 ; 24(4) : 525-528 

  6. Sung MK. The anticarcinogenic properties of soybeans. Korean Soybean Soc. 1996 ; 13 : 19-31 

  7. 김성은. 대두 saponin의 돌연변이 억제능 및 대장암 세포 성장저해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8. 손동화. 두유와 우유의 영양 및 생리활성 성분. 한국콩연구회지. 1997 ; 14(1) : 66-77 

  9. 최소영, 김윤경, 윤선. 우유와 두유에서 Bifidobcterium longum ATCC 15707의 성장 촉 진인자 및 ${\alpha},{\beta}$ -Galactosidase의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1996 ; 28(5) : 987-993. 

  10. Chung CK. Carcinogen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foods. J. Kor. Food Cul. Ins, 1995 ; 289-301 

  11. Lee JS, Cheigh HS.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crude phenolics from soybean fermented food. J. Kor. Soc. Food Sci. Nutr., 1997 ; 26(3) : 376-382 

  12. Cheigh HS, Lee CY.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hara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J. Kor. Soc. Food Nutr., 1993 ; 22(2) : 246-252 

  13. Lee HJ. Health functional peptides from soybean hydrolysate and fermented food. Konkuk univ. anniversary international seminar of 50th opening a school : Functional and physical activity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1996. p.61-72 

  14. Silva M, Jacobus NV, Denke C, Gorbach SL.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a human Lactobacillus strain. Antomicrob Agents Chemther, 1987 ; 31 : 1231 

  15. 이용욱, 김종규, 노우섭. 유산균 발효유 장기 음용시 혈중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999 ; 14(1) : 122-128 

  16. Lee YK, Kim DH, Han MJ. Antidiarrheal, Anticosi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Bifidobacterium breve K-110, K-111 and B. infantis K-525 from Korean in Experimental Animals. Kor. J. Food Sci. Technol. 1999 ; 31 : 547-552 

  17. Havenaar R, Huis in't Veld J. H.J. Probiotics : a general view. In : The lactic acid bacteria in health and disease(Wood B.,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2008. p.209-224 

  18. Hove H, Nordgaard-Andersen I, Mortensen PB.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intestinal production of lactate and shortchain fatty acids, and the absorption of lactose. Am J Nutr. 1994 ; 59(1) : 74-79 

  19. Quigley EM, Vandeplassche L, Kerstens R, Ausma J. Clinical trial : the efficacy,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safety and tolerability of pricalopride in severe chronic constipation-a 12-week,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Aliment Pharmacol Ther. 2009 ; 29 : 315-28 

  20. Sekine KM, Yoida T, Saito M, Kuboyama M, kawashima T, Hashimoto Y. A new morpologically characterized cell wall preparation( whole peptidoglycan) from Bifidobacterium infants with a higher efficacy on the repression of an established tumor in mice ,Cancer Res. 1985 ; 4 : 1300 

  21. 이영경, 김동현, 한명주. 한국형유산균인 Bifidobacterium breve K-110, K-111 및 B. infanctis K-525 균주의 완하, 항사하 및 항 돌연변이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1999 ; 31(2) : 547-552 

  22. Rial D. Rolfe. 조광근역. 유산균 Probiotics 와 위장 건강(Probiotics and Gastrointestinal Health).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01 ; 27(3) : 181- 192 

  23. 김혜자, 문기원. 발효식이요법이 장내세균총 조절 및 자가면역질환에 미치는 영향. J. Complement. Altern. Med. Sci. 2011 ; 1(1) : 25- 40 

  24. Choi HJ. Production of a nisin-like bacteriocin by Lactococcus lactis sub sp. lactis A164 isolated from Kimchi. Jounal of applied Microbiology. 2000. 88 : 563-572 

  25. Hata T, Tanaka R, Ohmomo 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aricin ASM1: A new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1. Int. J. Food Microbiol. 2010 ; 137(1) : 94-99 

  26. Fujino T. Antitumor testing in mice with DMH-induced carcinogenesis of colon. Greek medical journal oncology. 2001 ; 8 : 1073-1078 

  27. Abo Toru. Immune response to LAB extract fementation in intestinal tract in mice. European medical jounal. 2006 ; 102 : 74-78 

  28. Boeryd B, Hallgren B. The fat composition of a mouse diet modifies the effects of levamisol on growth and spread of a murine tumor. Acta Pathol Mircrobiol Immunol Scand [A] 1985 ; 93 : 99-103 

  29. Sakagi R. Lactic acid bacteria extract fermentation research data and clinical data collection, GA book. 2009. 1 : 6-12 

  30. Kim JH. Stimulating effect of geraniol on the cytotixic activity of NK cells against Yac-1 tumor cells. Sangmyung University. 2003 

  31. Janeway CA. Approaching the asymptote? Evolution and revolution in immunology. Cold Spring Harb. Symp. Quant Biol. 1989 ; 54 : 1-13 

  32. Kawai T, Akira S. TLR signaling. Cell Death Differ. 2006 ; 13 : 816-25 

  33. Li HF, Waisman T, Maimon Y, Shakjar K, Rosenne L, Sueviell BF. The effects of chinese herb formula, anticancer number one(ACNO) on NK cell activity and tumor metastasis in rat. Intern. Immunopham. 2001; 29: 1157 

  34. Karin C, Maritha MS, Fabienne C, Jacques D. NK-cell activity in immunotoxicity drug evaluation. Toxicology 2003 ; 185 : 241 

  35. Gibbs BF. Human basophils as effectors and immunomodulator of allergic inflammation and innate immunity. Clin. Exp. Med. 2005 ; 5 : 39-43 

  36. Ishibashi KI, MIura NN, Adachi Y, Ohno N, Yadomae T. Relationship between solubility of grifolan, a fungal 1,3- ${\beta}$ -D-glucan an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by macrophage in vitro.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1 ; 65 : 1993-200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