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ject Activity Based on Role Play on 5-Year-Olds' Mathematical Abilit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6 = no.120, 2012년, pp.115 - 127  

김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s aim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project activity based on role play on 5-year-olds' mathematical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6 5-year-olds from two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located in two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n=2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성주의적 접근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현실에서는 행동주의적 접근을 선호하며, 구체적 사물을 조작하거나 일상생활에 기초를 둔 탐구활동을 시행하기보다 학습지나 상업화된 교구를 활용하는 측면에 매진하고 있다. 또한 수세기 및 수연산 기술을 습득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두고 있다. 실제로 경북지역의 절반 이상의 유치원 교사는 효과적인 유아수학교육 접근방법으로 놀이를 통한 방법을 선호하고 학습지를 이용한 방법은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나 실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아수학교육의 방법은 학습지나 활동지 위주(19.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유아의 수학적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며, 이 과정에서 만 5세 유아가 역할놀이를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이 서로 피드백을 통해 순환하며 여러 차례의 역할놀이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시간적 제약을 피하고 유아의 호기심을 집중시켜 밀도 있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8주간 오전 교육활동 시간에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실시하고자 한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유아들이 평소에 관심을 가지는 것을 담임교사와 상의하여 결정하고, 프로젝트가 발현적으로 진행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 사전검사에 앞서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및 비교집단에 속하지 않는 만 5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일대일 검사를 실시해 보았다. 그 결과 유아는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하는데 전혀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다.
  • 프로젝트의 주제는 유아들이 평소에 관심을 가지는 것을 담임교사와 상의하여 결정하고, 프로젝트가 발현적으로 진행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누리과정에서 다루는 수학적 탐구의 내용범주인 수와 연산, 공간과 기하, 측정, 규칙성, 자료 수집과 결과(통계)의 모든 수학적 능력에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해 보겠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만 5세 유아에게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을 적용하여 수학적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수학적 능력은 누리과정에서 다루는 수학적 탐구의 전 영역을 포함하여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 통계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 이에 연구자는 역할놀이에 프로젝트 접근법을 접목시키고자 한다. 프로젝트 접근법이란 유아가 흥미를 느끼는 특정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는 목적이 있는 활동 방법이다(Katz & Chard, 2000).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유아의 수학적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며, 이 과정에서 만 5세 유아가 역할놀이를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이 서로 피드백을 통해 순환하며 여러 차례의 역할놀이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시간적 제약을 피하고 유아의 호기심을 집중시켜 밀도 있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8주간 오전 교육활동 시간에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실시하고자 한다.
  •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에서 동전꾸러미와 지폐묶음을 들어보며 무게를 비교해 보는 경험을 한 이후 유아들에게 ‘측정’에 대한 관심이 발생하여 양팔저울과 자를 통해 무게와 길이를 측정해 보는 활동을 함께 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적 능력이란? 한국의 많은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들이 뛰어난 수학적 능력을 가지길 희망하면서 많은 시간과 금전을 투자하고, 국가적으로도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우수한 수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여기서 수학적 능력이란 상황이나 사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학적 과정 기술을 통하여 획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Lee, 2010a), 누리과정에서는 유아의 수학적 능력으로 수와 연산, 공간과 도형, 측정, 규칙성, 자료수집과 결과(통계)를 제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2).
우리나라가 유아수학교육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의 현실은 최근 유아수학교육의 흐름에 못 따라가고 있다. 구성주의적 접근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현실에서는 행동주의적 접근을 선호하며, 구체적 사물을 조작하거나 일상생활에 기초를 둔 탐구활동을 시행하기보다 학습지나 상업화된 교구를 활용하는 측면에 매진하고 있다. 또한 수세기 및 수연산 기술을 습득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두고 있다. 실제로 경북지역의 절반 이상의 유치원 교사는 효과적인 유아수학교육 접근방법으로 놀이를 통한 방법을 선호하고 학습지를 이용한 방법은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나 실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아수학교육의 방법은 학습지나 활동지 위주(19.
유아수학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최근 유아수학교육은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비형식적 지식을 활용하면서 수학적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데에 목표를 둔다(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2; NCTM, 2000). 즉, 유아수학교육은 일상생활 속에서 수학개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유아들의 생활과 친숙한 주제 중심의 활동을 함으로써 유아들이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그 활동 내용은 일상적인 수학적 경험으로 형성된 유아들만의 비형식적 지식과 연결되어야 한다(Thompson,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교사 연수 자료집.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서영숙?이남정?안소영(2001). (프로젝트 중심) 방과후 아동지도(제2판). 서울: 양서원. 

  3. 황인주(2005).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한 사회극놀이가 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황해익?최혜진(2007). 유아수학그림능력검사. 파주: 양서원. 

  5. Back, K. & Choi, B.(2004). Types and contex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ctivity emerging within free play.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7(6), 25-45. 

  6. Baroody, A. J.(2000). Does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ree to five-year-olds really make sense? Young Children, 55, 61-67. 

  7. Copley, J. V.(2000). The young child and mathematics. Washington, D.C.: NAEYC. 

  8. Copley, J. V., Glass, K., Nix, L., Faseler, A., De Jesus, M., Tanksley, S., Sarama, J. & Clements, D.(2004). Measuring experiences for young children.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0(6), 314-319. 

  9. Edo, M., Planas, N. & Badillo, E.(2009). Mathematical learning in a context of play.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17(3), 325-341. 

  10. Fuson, K. & Hall, J.(1983). The acquisition of early number word meanings. In Ginsburg H.(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50-107). London: Academic. 

  11. Gwon, G. & Kim, J.(2010). The effects of project activity on inter/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3), 105-118. 

  12. Han, J.(2003). A study of construction and effects on a inquiry 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3. Johnson, J. E., Christie, J. F. & Yawkey, T. D.(1999).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2nd ed.). N.Y.: Longman. 

  14. Juen, S., Lee, W. & Oh, S.(2007). Analysi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 survey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Kyoungbook.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6(4), 235-245. 

  15. Kamii, C. & DeVries, R.(1980). Group games in early education: Implications of Piaget's theory.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6. Katz, L. G. & Chard, S. C.(1989).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 Norwood, NJ: Ablex Pub. Corp.. 

  17. Katz, L. G. & Chard, S. C.(2000). The project approach. In Roopnarine J. L. & Hohnson J. E.(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3rd ed.)(175-189).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18. Kim, B.(2005). A study on mathematical activities in role playing of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An ethnographic study.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Lee, E.(2010a).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an early mathematics program through role-pl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 Lee, E.(2010b). The effects of mathematical activities through role-play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2), 193-215. 

  21. Lee, G.(2000). The effect of the project approach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2), 69-87. 

  22. Lee, J.(2001). Contents of mathematics-related activities and contexts of number name displayed during young children's dramatic pla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6(2), 113-136. 

  23. Lee, M.(2002).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with flowers on children's mathematic abilitie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Moon, Y. & Lee, H.(2008). The effects of the project approach method on young children's measurement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Wheel" project activity.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4, 141-161.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7. Song, K.(2006). A study on the outlook of kindergarten teachers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education and its state.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28. Thompson, I.(1997). Epilogue: The early years number curriculum tomorrow. In Thompson I.(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155-160). Buckingham: Open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