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이 수와 공간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473 - 480  

강영식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대상은 만 4 세 유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각 20명으로 숲 수학놀이 활동을 통한 4 주간 주 4회씩 총 16회기에 걸쳐 숲 수학놀이 활동 놀이를 한 후 평가지에 의해 평가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검정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비교 결과 실험집단이 분류하기와 순서찾기 문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내 숲 수학놀이에서 분류하기와 순서찾기 놀이가 수와 공간개념 이해력에 도움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는 유아들이 숲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개념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을 통해 과제별 대상을 분류하고 순서를 찾아 과제를 풀어가는 과정 속에 수의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To achieve this, an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20 4-year-old children in each group -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 by an evaluation sheet after f...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S시에 소재 하고 있는 숲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유아 들을 대상으로 숲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개념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이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들이 숲에서의 수학놀이를 다양한 프로그램에 접목시키려는 이유는? 이와 같이 유아들이 숲에서의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발달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 [23-26]으로 밝혀지면서 유아의 수와 공간개념의 이해력을 성장·발달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적극 추천되고 있다[16,27]. 즉 유아의 숲놀이 활동을 통한 수와 공간개념의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으로 유아의 숲에서의 다양한 과제 놀이속에 포함된 수학놀이 활동을 하면서 부딪치는 어려움과 주어진 과제 등의 솔방울을 옮기며 자기가 옮긴 솔방울의 수량을 비교하거나 수세기와 나뭇가지 종류와 잎모양과 수를 분류 하여 서열화해 보는 수학적 문제 접근을 통해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속에 수학적 능력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21].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에 적극적인 프로그램 적용이 요구되는 이유는? 932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낸 점에서 이를 뒷받침해 준다. 즉, 숲 수학놀이 활동에서의 다양한 대상물에 따라 유형별 분류하고 혼돈되기 쉬운 대상별 분류 활동에서 순서를 규칙적으로 이해하고 협동하면서 수학적 문제를 풀게 함으로써 또래 간 공동학습에서의 주어진 수학적 사고발달과 함께 주어진 과제를 풀어가는 수와 공간개념의 이해력을 촉진시키는 기제임을 시사한다. 그리고 유아들의숲 체험 수학놀이에서 수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지각된 공간에 대한 수리적 기초 개념을 이해시키는데 유용한 교육임을 뒷받침 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을 통해 과제별 대상을 분류하고 순서를 찾아 과제를 풀어가는 과정 속에 수와 공간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에 적극적인 프로그램의 적용이 요구된다.
유아의 숲 수학 놀이활동의 장점은? 이는 유아의 일상적 경험에서 익히는 수학능력의 발달 보다 숲 체험 놀이 활동을 통한 자연스러운 놀이활동이 수와 공간 개념의 이해력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유아의 숲 수학 놀이활동이 단순히 수학적 기술만을 습득하는데 그치지 않고 수학적 가치를 이해하는 수학적 소양(mathematical literacy) 증진에 까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의 교육적 유용성을 뒷받침해 준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G. S. Kim, The Effects of Number Instruction Activities for Children Based on Daily Experience. A Doctoral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Chungang University, 2009. 

  2. D. M. Seo, J. S. Yeom, "Qualitative Study on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s in Their Kindergarten", The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1, No.1, pp.237-266, 2006. 

  3. Y. J. Jung, H. S. Lee, G. S. Kim, "The Effects of Self Leadership and Self Concept through the Self Leadership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3, No.3, pp.277-293, 2008. 

  4. B. K. Jo, H. R. Gwak, J. W. Lee, "The 2007 Revised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r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7, No.1, pp.167-198, 2007. 

  5. M. S. Lee, "Factor and Learning Activity Program Suggestion of Self Leadership for Young Children as a Way of Thinking", The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1, No.4, pp.241-263, 2007. 

  6. M. H. Gang, "The Effect of Integrated Activity with Art and Mathematics on the Mathematical Concepts of Preschooler", The Jourmal of Science Education, Vol.27, pp.85-107, 2002. 

  7. K. N. Park, H. S. Jo, A Study on the Mathemat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from the Everyday Life Experience. Jeonbuk Branch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15th Summer Teacher Workshop, 2007. 

  8. G. D. Lee, "The Effect of Natur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Korean Journal of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Vol.14, No.1, 2009. 

  9. J. G. Lee, Development and Effec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pp.163-176, 2010. 

  10. E. H. Lim, A study on the daily experiences of 2-year old nursery school children and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7. 

  11. Baroody, A. J. & Coslick, R. T,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An investigation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12. Fuson, K. C, Pre-K to grade 2 goal and Standards : Achieving 21st- century mastery for all. In D. H. Clements & J. Samara. (Eds.), Engaging young children mathematics, pp.105-148. Mahwah, NJ: lawrence Erlbarum Associates Pub, 2004. 

  13. D. S. Park, The Effects of Math Activities Using Children's Poem on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toward Math. A Doctoral Thesis from Konkuk University, 2003. 

  14. S. J. Jung, M. S. Choi, "A Study on the Effects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Mathematics-Related Fairy Tales on the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and Attitude", The Journal of Childhood Education, Vol.15, No.4, pp.231-242, 2006. 

  15. Y. M. Han, "The Effect of Math Education through Art on the Young Children's Attitude toward Mathematical Activ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2, No.2, pp.271-287, 2002. 

  16. Y. S. Gang, "The Effect of Children's Forest Activitie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Attitude Change", Th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2, pp.413-421, 2018. 

  17. S. H. Kim,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Kindergarten Children. A Doctoral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2003. 

  18. I. S. Shin, S. J. Lee,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Mathematics-Related Fairy Tales on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0, No.4, pp.89-112, 2003. 

  19. Y. S. Lee, A Study on the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and Needs About Forest Kindergarten. A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PaiChai University, 2013. 

  20. Y. S. Im,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 Doctoral Thesis from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t Sangju National University, 2008. 

  21. J. T. Im, S. Y. Lee, E. J. Kim,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e and Methods of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1, No.2, pp.57-85, 2012. 

  22. Y. S. Jang, M. O. Lee,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Storybook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3, No.2, pp.67-88, 2006. 

  23. J. S. Ma, "The Influence of Forests Activities Based on Children's Science Ability and Science Attitud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Vol.9, No.9, pp.85-100, 2008. 

  24. M. H. Lee,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the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1, No.1, pp.125-152, 2006. 

  25. Miyazaki. Y, Science of forest. Nexus Books Publishing, 2007. 

  26. Sandof. K, Mit kinder in der Welt. Okotopia Verlag, 1998. 

  27. S. J. Lee,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of Forest Kindergarten. A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Korea University, 2011. 

  28. M. H. Lee, "Teachers' Cognition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0, No.10, pp.175-200, 2011. 

  29. H. I. Hwang, E. J. Kim, J. E. Song, M. J. Kim, J. Y. Yoo,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7, No.5, pp.165-188. 2012. 

  30. M. Y. Jang, "A Study on the State and Development of Domestic Forest Kindergartens", The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6, No.16, pp.27-46, 2011. 

  31. Y. M. Han, "A Study on Overseas Trend and Domestic Introduction of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60, No.(-), pp.1-18, 2010. 

  32. E. S. Kim, A Study on the First Korean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 Focused 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Forest Kindergarten. A Doctoral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0. 

  33. M. K. Ko, "A Study on Preschool Children's Forest Lived Experiences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Relationship'",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n Welfa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Vol.15, No.15, pp.223-251, 2011. 

  34. J. A. Choi, H. A. Seo, "The Effects of the Forest Field Trip Program on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eir Ability of Engage in Scientific Inquir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9, No.9, pp.71-94, 2010. 

  35. I. W. Lee, G. Y. Choi, "Young Children's Experiences of Free Play in the Forest", The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No.12, pp.273-301, 2007. 

  36. H. J. Kim, The effect of instructional strategy training on cognitive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infants, Master Thesis of Chongshin University, 2000. 

  37. Ministry of Education. Kindergarten education course commentary, Seoul, 1994. 

  38. Y. R. Kwon, Y. J. Lee, J. W. Lee, Conformity to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models for 3, 4, and 5 year olds, Changji Publisher, 1998. 

  39. G. S. Kim, "The Effects of Cooperative Play Experience in Fores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Happiness", The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1, No.1, pp.209-239,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