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 효과와 계량모델 개발 - 5개 향토수종을 대상으로 -
Carbon Reduction Effects of Urban Landscape Trees and Development of Quantitative Models - For Five Native Specie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5, 2014년, pp.13 - 21  

조현길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김진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박혜미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부지방 도시에 흔히 식재하는 5개의 향토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수종별 탄소의 저장 및 연간 흡수를 용이하게 산정하는 계량모델을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감 효과를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탄소저감 관련 정보가 전무한 이팝나무, 살구나무, 전나무, 산수유, 주목 등이었다.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줄기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수종별로 10개체씩, 총 50개체의 수목을 구입하였다. 그리고,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산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수종에 따라 흉고직경 또는 근원직경 부위의 줄기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연간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 및 연간 탄소흡수를 산출하는 활용 용이한 계량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은 0.92~0.99로서 적합도가 높았다. 흉고직경 10cm인 단목의 탄소저장량 및 연간 탄소흡수량은 이팝나무가 각각 20.0kg/주 및 5.9kg/주/년으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살구나무 17.5kg/주 및 4.5kg/주/년, 전나무 13.2kg/주 및 1.8kg/주/년 등의 순이었다. 근원직경 10cm인 산수유와 주목의 경우는 각각 9.3kg/주 및 3.2kg/주/년, 6.3kg/주 및 0.6kg/주/년이었다. 이 탄소저장량은 이팝나무, 살구나무 및 전나무의 경우 23~35L의 휘발유 소비, 그리고 산수유 및 주목은 11~16L의 휘발유 소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에 상당하였다. 또한, 상기한 직경의 이팝나무, 살구나무 및 산수유 한 그루는 6~10L의 휘발유 소비, 그리고 전나무와 주목의 경우는 1~3L의 휘발유 소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을 해마다 상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조경수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을 극복하므로써, 대상 수종의 생체량을 포함하는 탄소저감을 용이하게 계량화하기 위한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generated regression models to quantify storage and annual uptake of carbon from five native landscape tree species through a direct harvesting method, and established essential information to estimate carbon reduction effects from urban greenspaces. Tree species for the study includ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대상 조경수종의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등은 동일 성상의 산림수목과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조경 수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산림수목의 관련 계수를 대용한 기존 연구의 오류를 개선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본 결과는 정부나 기업의 도시녹지 사업과 관련하여 조경수목의 탄소저감을 평가하는 공공기반기술로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기존의 관련 연구도 대부분 직접수확법이 아닌 간접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수행한 것으로서 잠재적 오류의 검증과 보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중부지방 도시에 흔히 식재하는 5개의 향토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고, 수종별로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을 용이하게 산정하는 계량모델을 개발하여 도시녹지의 탄소저감을 구명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관련 정보가 전무한 이팝나무, 살구나무, 전나무, 산수유, 주목 등이었다.
  • 이들 조경수종의 탄소저장 및 흡수에 관한 확대 연구는 도시 전체의 식재수목에 의한 탄소저감 효과를 구명하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부지방 도시에 흔히 식재하는 5개의 향토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고, 수종별로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을 용이하게 산정하는 계량모델을 개발하여 도시녹지의 탄소저감을 구명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탄소저장량은 수목이 생장하면서 여러 해에 걸쳐 축적한 총량을, 탄소흡수량은 수목이 한 해 동안 흡수한 양을 각각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현 사회가 당면한 주요 환경 관심사 중의 하나는 기후변화 관련 CO2 저감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흡수원으로서 도시 조경수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에 관한 연구는 국외에서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현 사회가 당면한 주요 환경 관심사 중의 하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현 사회가 당면한 주요 환경 관심사 중의 하나는 기후변화 관련 CO2 저감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흡수원으로서 도시 조경수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탄소저감 관련 정보가 전무 수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는 중부지방 도시에 흔히 식재하는 5개의 향토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수종별 탄소의 저장 및 연간 흡수를 용이하게 산정하는 계량모델을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감 효과를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탄소저감 관련 정보가 전무한 이팝나무, 살구나무, 전나무, 산수유, 주목 등이었다.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줄기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수종별로 10개체씩, 총 50개체의 수목을 구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jtay, L. L., P. Ketner, and P. Duvigneaud(1979) Terrestrial production and phytomass. In Bolin, B., E. T. Degens, S. Kempe, and P. Ketner, eds., The Global Carbon Cycle, SCOPE Report No. 13.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129-181. 

  2. Bang, K. J. and J. S. Lee(1995) Studies on planting distribution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1): 67-94. 

  3. Chow, P. and G. L. Rolfe(1989) Carbon and hydrogen contents of short rotation biomass of five hardwood species. Wood and Fiber Science 21(1): 30-36. 

  4. Dirr, M. A.(2009)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Champaign, IL: Stipes Publishing Company. 

  5. Jo, H. K.(1993) Landscape Carbon Budgets and Planning Guidelines for Greenspaces in Urban Residential Land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6. Jo, H. K.(1999) Carbon uptake and emissions in urban landscape, and the role of urban greenspace for several cities in K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1): 39-53. 

  7. Jo, H. K.(2002) Impacts of urban greenspace on offsetting carbon emissions for middle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4: 115-126. 

  8. Jo, H. K. and D. H. Cho(1998) Annual $CO_2$ uptake by urban popular landscape tree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38-53. 

  9. Jo, H. K., J. Y. Kim, and H. M. Park(2013a) Quantifying carbon reduction from evergreen landscape tree species through a direct harvesting method. Proceedings of Fall Season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pp. 93-94. 

  10. Jo, H. K., J. Y. Kim, and H. M. Park(2013b)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evergreen trees for urban landscape -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5): 571-578. 

  11. Jo, H. K., K. E. Lee, Y. H. Yun, and O. H. Seo(1998a) Land use and greenspace structure in several cities of K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4): 171-183. 

  12. Jo, H. K., K. J. Lee, and J. O. Kwon(1998b) Land use and greenspace structure in Seoul - case of Kangnam-gu and Junglang-g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2(1): 30-41. 

  13. Jo, H. K. and T. W. Ahn(2001) Annual $CO_2$ uptake and atmospheric purification by urban coniferous trees -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5(2): 118-124. 

  14. Jo, H. K. and T. W. Ahn(2012)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deciduous tree species for urban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160-168.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7) Survey Manual for Forest Biomass and Soil Carbon. Seoul. 

  1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0a) Greenhouse Gas Inventory of Urban Green Areas - in Case of Seoul Metropolis. Research Report 10-19. 

  17.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0b) Carbon Emission Coefficients of Major Tree Species to Inventory Greenhouse Gases fromForests. Research Report 10-25. 

  18. Korean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2000) Methods of Analysis for Soil and Plants. Suwon. 

  19.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13) Landscape Design Standards. Seoul. 

  20. McPherson, E. G.(1998) Atmospheric carbon dioxide reduction by Sacramento's urban forest. Journal of Arboriculture 24(4): 215-223. 

  21. McPherson, E. G. and J. R. Simpson(2000) Carbon Dioxide Reduction through Urban Forestry: Guidelines for Professional and Volunteer Tree Planters. General Technical Report PSW-GTR-171. Albany, CA: USDA Forest Service, Pacific Southwest Research Station. 

  22. Nowak, D. J.(1994) Atmospheric carbon dioxide reduction by Chicago's urban forest. In McPherson, E. G., D. J. Nowak, and R. A. Rowntree, eds., Chicago's Urban Forest Ecosystem: Results of the Chicago Urban Forest Climate Project. General Technical Report NE-186. Radnor, PA: USDA Forest Service, Northeast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pp. 83-94. 

  23. Nowak, D. J. and D. E. Crane(2002)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by urban trees in the USA. Environmental Pollution 116: 381-389. 

  24. Ovington, J. D.(1956) The composition of tree leaves. Forestry (British Journal) 29: 22-29. 

  25. Park, E. J. and K. Y. Kang(2010) Estimation of C storage and annual $CO_2$ uptake by street trees in Gyeonggi-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91-600. 

  26. Park, I. H. and S. M. Lee(1990)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natural forests of four local for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9(2): 196-204. 

  27. Pingrey, D. W.(1976) Forest products energy overview. In Energy and the Wood Products Industry. Madison, WI: Forest Products Research Society. pp. 1-14. 

  28. Reichle, D. E., B. E. Dinger, N. T. Edwards, W. F. Harris, and P. Sollins(1973) Carbon flow and storage in a forest ecosystem. In Woodwell, G. M. and E. V. Pecan, eds., Carbon and the Biosphere. Proceedings of the 24th Brookhaven Symposium in Biology. Upton, NY: US Atomic Energy Commission, Office of Information Services. pp. 345-365. 

  29. Rowntree, R. A. and D. J. Nowak(1991) Quantifying the role of urban forests in removing atmospheric carbon dioxide. Journal of Arboriculture 17(10): 269-275. 

  30. Song, C. Y., K. S. Chang, K. S. Park, and S. W. Lee(1997) Analysis of carbon fixation in natural forests of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6(1): 35-45. 

  31. Whittaker, R. H. and P. L. Marks(1975) Methods of assessing terrestrial productivity. In Lieth, H. and R. H. Whittaker, eds.,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New York: Springer-Verlag. pp. 55-118. 

  32. http://www.climateactionreserve.org/how/protocols 

  33. http://www.co2.kemco.or.kr 

  34. http://www.fs.fed.us/ccrc/topics/urban-forest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