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 및 녹량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 방안
Improvement on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the Streets of Seou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6, 2012년, pp.35 - 46  

변혜옥 ((주)3S개발)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기경석 (도시생태학연구센터) ,  정진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있는 가로를 토지이용별로 분류하여 녹량 특성과 경관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가로는 서울시에서 이용률이 높은 가로이면서 보도가 넓어 녹지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큰 가로인 광로만으로 한정하였다. 가로 유형별 녹량 및 경관 현황을 종합하여 보면 가로유형에 상관없이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가 대표 가로수종으로 식재되었고 가로별 녹시율주거지역 51.6%, 녹지지역 50.4%, 상업지역 45.2%, 업무지역 43.7%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을 제외한 지역에는 가로 띠녹지가 거의 없었고 가로별 녹피율은 업무지역 71.0%, 녹지지역 64.0%, 주거지역 37.3%, 상업지역 36.2% 순이며 녹지용적계수는 평균 $1.9m^3/m^2$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로 주거지역가로는 풍부한 녹의 커뮤니티공간과 4계절 화관목 경관제공을 목표로 하였고, 상업지역가로는 화목류와 단풍으로 상가 이미지 부각을 하되 서비스행위 및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제안하였다. 업무지역가로는 녹량과 녹시율 증가 및 도심이미지에 어울리는 가로공간 연출을 목표로 하였고, 녹지지역가로는 자생종 위주의 다층식재 및 주변산림과 연계를 통한 야생동물 은신처, 서식처 제공을 위한 가로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specifically analyze green volume and scenery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 streets in Seoul and suggest improvements accordingly. The subject streets for research were limited to those that have high occupancy ratio and are wide enough to have a big potential in improv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지지역 가로의 개선방안은 녹량 증진과 생태적 기능에 목표를 두었다. 녹량의 목표치는 녹피율은 75% 이상, 녹지용적계수는 1.
  • 기존 연구들은 가로수나 가로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가로수의 식재방법, 문제점을 지적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있는 가로를 토지이용별로 분류하여 녹량 특성과 경관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가로경관을 특성화하고 녹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서울시 가로의 녹량과 경관 현황을 파악한 후 가로 유형별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업무지역 가로의 개선방안은 녹량 증진으로 인한 녹음면적 확대에 목표를 두었다. 녹피율을 60% 이상, 녹지용적계수는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로수란 무엇인가? 가로수는 도로와 함께 조성되는 선형녹지로서 보행자나 도로변 상업종사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골격을 구성하는 요소이다(김범수와 신원섭, 2007). 도시녹지의 주요 축으로 가로수의 기능은 미기후조절 기능, 환경공학적 기능, 건축적 기능, 미적 기능, 생태적 기능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도시녹지의 주요 축으로 가로수의 기능은 미기후조절 기능, 환경공학적 기능, 건축적 기능, 미적 기능, 생태적 기능 등으로 구분되어지는데 각각은 어떤 기능인가? 도시녹지의 주요 축으로 가로수의 기능은 미기후조절 기능, 환경공학적 기능, 건축적 기능, 미적 기능, 생태적 기능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미기후 조절 기능 측면에서 가로수는 넓은 수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늘을 주고 복사열을 흡수하여 기온을 조절하며, 바람 조절, 습기 보충, 건조 방지 등 기후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환경공학적 기능 측면에서 가로수는 매연과 분진을 흡착하고 대기오염을 정화하며 교통소음의 차단과 감소, 교통사고 및 각종 기상적 재난 방재효과 기능이 있다. 건축적 기능 측면에서 가로수는 과밀한 도시공간을 기능적으로 구획하고 전경을 열어주거나 차폐기능이 있다. 미적 기능 측면에서 가로수는 부정형한 건축군의 전면을 차단하여 가로에 정돈감을 주고, 가로에 푸르름을 제공하여 경관의 질을 향상시킨다(Peter, 1983; 정강욱, 2004). 생태적 기능 측면에서는 차단된 도시녹지의 연결 축으로서의 역할과 도시 야생동물의 서식처 및 이동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한봉호, 1995; 성현찬과 민수현, 2003).
도시녹지의 주요 축으로 가로수의 기능은? 가로수는 도로와 함께 조성되는 선형녹지로서 보행자나 도로변 상업종사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골격을 구성하는 요소이다(김범수와 신원섭, 2007). 도시녹지의 주요 축으로 가로수의 기능은 미기후조절 기능, 환경공학적 기능, 건축적 기능, 미적 기능, 생태적 기능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미기후 조절 기능 측면에서 가로수는 넓은 수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늘을 주고 복사열을 흡수하여 기온을 조절하며, 바람 조절, 습기 보충, 건조 방지 등 기후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범수, 신원섭(2007) 지방도시 가로 녹지의 존재효과에 대한 보행자와 상업종사자의 의식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6(2): 159-169. 

  2. 박석철(2009) 도시 근린공원 식재기능 평가지표 개발 연구. 경기도 안산시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09 

  3. 박용진, 김태경(2000) 가로수식재체계수립. 한국조경학회지 8(5): 93-103. 

  4. 성현찬, 민수현, 문다미(2002) 경기도 가로수의 식재 및 관리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pp.296 

  5. 성현찬, 민수현(2003)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도심 가로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48-57. 

  6. 이경재(1992) 우리나라 도시 가로수 실태와 개선책. 도시가로환경의 정비. 도시문제 32(345): 21-29. 

  7. 정강욱(2004) 가로수 녹지체계 정립과 합리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 

  8. 조용현(2006)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로 녹시율 증진방안 및 목표수준 설정. 서울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4(2): 26-35. 

  9. 한봉호(1995) 서울시 가로수 생육환경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6. 

  10.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71 

  11. Peter, W. T.(1983) The management of urban street trees using computerised inventory systems. Arboricultural Journal 54: 10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