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업 종사자의 사고재해 경험 및 사용제품의 안전 인식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eri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Awareness Level for Beauty Product Safety of Beauty Industry Employe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4 no.4, 2012년, pp.59 - 70  

최서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허국강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경영과) ,  박동현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data regarding industrial accidents and awareness level for beauty product safety for four main parts of beauty industry such as hair-care, nail-care, skin-care, and make-up. Major risk factors in beauty industry are dust,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organic solvent of beau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의 미용업 각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고재해 경험과 안전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1년 5월 16일부터 2011년 12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용업 각 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사고․재해 경험 및 사용제품 안전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용업 분야를 헤어, 네일, 피부, 메이크업으로 나누어 분야별 사고재해 실태와 사용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비교하고자 하며, 미용업 전반에 대한 안전의식 고취와 정책적 안전관리 방안, 근로자 건강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미용업 사업장 수는? 국내의 미용업 사업장 수는 89,017개소, 미용사 수는 약 75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2010년 서비스업 중 산재가입이 되어있는 미용업 근로자는 약 0.2%(12.
국내 미용사 수는? 국내의 미용업 사업장 수는 89,017개소, 미용사 수는 약 75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2010년 서비스업 중 산재가입이 되어있는 미용업 근로자는 약 0.2%(12.
미용업에서 발생한 재해 유형는 대부분 어떻게 발생하는가? 0%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2][3]. 이들 재해는 대부분 부적절한 작업환경과 근로자의 부주의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어 미용업 전반에 걸친 작업 환경 개선과 근로자의 안전 교육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문지현(2001). 미용실에서 작업과 관련된 사고와 질환의 실태 파악.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보건복지부(2009). http://www.mw.go.kr/ 

  3.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공단, 2011, 미용업의 산업재해 예방가이드. 

  4. 김명우, 김성남(2009). 미용실 작업환경 종사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2). pp667-677. 

  5. 조진아(2007). 미용사의 작업안전의식 및 화학물질 위해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3(3). pp. 1028-1039. 

  6. 유숙희(2011). 네일살롱의 안전?위생 인식 실태 및 네일 도구의 오염 미생물 분석.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양진희, 조진아(2008). 네일관리 분야의 유해 화학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14(2)호. pp.535-543. 

  8. 임인숙, 방희봉(2005). 미용 관련 학과 변화 조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6(4). pp.183-198. 

  9. 대한민국 네일 단체 협의회(2011). 네일미용사 면허제도 신설을 위한 제3차 공청회 네일미용을 위한 실천적 방안. pp54-55. 

  10.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2010). 사이버 대학교 미용학과 재학생의 교과 과정 만족도와 교육 특성화방안 

  11. 김미정(2009). 미용서비스산업에서 지각된 대기시 간이 서비스 평가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최외숙(2011). 피부미용사의 스트레스, 근무환경이 직업만족도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영숙(2010).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분야별 정기건강검진 인식과 직무만족도. 한남대학교 사 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미자(2006). 네일아트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질환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산업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김영경, 김재경(2000). "Total Fashion의 요소로서 네일관리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16. 우수진(2005). 여대생들의 메이크업과 네일 아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5조제1호. http://www.law.go.kr/ 

  18. 강동묵, 이종태, 강민숙, 박성희 엄상화, 김성준, 정귀원, 손혜숙, 박봉진(1999). 미용업 종사자들의 피부,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11(.2). pp.385. 

  19. 송미라(2003). 광주광역시 소재 일부 미용실의 공기 오염도와 개인노출.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고희정(2001). 일부 미용업 종사자의 유해물질 노출 및 피부증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심정희(2008), Nail shop의 실내 환경 및 건강자각 증상 조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미혜, 엄미나, 도영숙, 김재관, 손종성, 김기철, 임준래(2002), 매니큐어 중 Di-n-butyl Phthalate 사용실태 조사연구. 대한위생학회지. 17(2). pp.34-38. 

  23. Gjlstad M, Thorud S, Molander P(2006). Occupational Exposure To Air borne Solvents During Nail Sculpturing.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5. 

  24. GL, Rapport LJ, Axelrod BN, Whitman RD (2002). Neurocognitive septulate of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nd (meth)acrylates among nail-studio technicians.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chigan 48202, USA. Neuropsychiatry Neuropsychol Behave Neural.15(1). pp.44-55. 

  25. Starr JC, Yunginger J, Brahser GW(1982). Immediate type 1 asthmatic response to henna following occupational exposure in hairdressers. Annals of Allergy. 48. pp. 98-99. 

  26. Jocelyne Forest a, Mylrne Trottier a, Michele Lalonde c, Robert Simard a(2003).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Exposures in Hairdressing Salons. Applie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8(12). pp.1014-1027. 

  27. Stock L, Cone J(1998). Barbering and Cosmetology in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00. pp.5-9. 

  28. Babish, J.G., Scarlett, J.M., Voekler, S.E.,G utermann, W.H.,Lisk, D.J.,(1991). Urinary mutagens in cosmetologists and dental personnel. J., Toxicol. Environ. Health. 34. pp. 197-206. 

  29. 조영민, 강상완, 오종민(2001). 작업장에서의 유해 유기용제 폭로에 관한 연구, 환경영양평가. 9(1). pp. 75-86. 

  30. 양진희(2009). 네일 종사자들의 유해화학물질 노출 실태 및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조진아(2005). 염색제중 일부 유해화학물질의 성분 분석과 유해물질 표시제도 및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