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이상 기능성원료를 복합하여 함유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 관리 방안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Several Functional Ingredi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4, 2012년, pp.395 - 400  

김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오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제품에 여러 기능성 원료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고 이들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헌조사를 토대로 복합건강기능식품의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식약청에 품목제조신고되어 있는 database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이 되는 제품은 총 7319개의 제품 중 "복합 건강기능식품"으로 파악된 제품의 개수는 183개 제품이었으며 이들 제품 중 기능성 원료를 2개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총 177제품, 3가지 이상의 기능성 원료를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모두 6개 제품이 있다. 183개 복합건강기능식품에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을 순위별로 나열하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가 가르시니아캄보지아로서 41개 제품에서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옥타코사놀"과 "쏘팔메토열매추출물"이 가장 많은 빈도로 제조되고 있었다. 복합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의 pair를 사용하여 안전성 정보를 검색한 결과 현재 복합 사용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에서의 안전성 우려사항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에 대한 안전선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이를관리하기 위해서는 부작용에 대한 조기 시그날을 감지하기 위한 부작용 모니터링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에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 시행규칙의 원활한 시행을 통해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base for items reported to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 for manufactured health/functional food during 2010. There were 183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manufactured in domestic having over 2 functional ingredients (hereinafter, combinational health f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과 콜레스테롤 조절/혈행개선 기능성이 함께 사용되는 것은 이소플라본의 갱년기 여성 관련 기능성과 감마리놀렌산이 인정받지는 않았으나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일반적인 자료에 의하여 광고를 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역시 기능성 표시 및 광고에 대한 세심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또한 글루코사민의 관절 및 연골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내용과 오메가-3 지방산 함유유지의 혈행개선 또는 혈중 중성지방 개선에 도움의 기능성내용이 한 제품에 복합된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또한 오메가-3 정제어유의 항염증작용기전을 바탕으로 관절 건강의 기능성을 소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판단된다. 반면 유익균 증식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프락토 올리고당과 체지방감소 기능성 원료의 복합 및 항산화 기능성 원료와 혈행개선 기능성 원료의 복합, 피로회복 기능성 원료와 지구력 증진의 기능성 원료의 복합은 상호 보완적인 기능성 원료의 배합을 통해 좀 더 좋은 효능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제품에 여러 기능성 원료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고 이들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를 위한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제품에 여러 기능성 원료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고 이들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헌조사를 토대로 복합건강기능식품의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식약청에 품목제조신고되어 있는 database를 분석하였다.
  • 빈도수 높은 비율로 복합된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우선 검토하기 위해 이들 원료들의 이름을 키워드로 하여 안전성 관련 DB를 검색함으로서 기능성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database는 「K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PubMed, cochrane library,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ty), RISS(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DBpic, Natural Medicine, Toxnet」이었으며 검색 조건에 있어서 원료들의 이름 이외에는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제품에 여러 기능성 원료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고 이들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를 위한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원료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안전성을 사전 혹은 사후에 방지할 수 있는 관리 장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200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30% 정도가 건강기능식품을 정기적으로 섭취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 특히 건강기능식품은 의사의 처방 없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섭취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노인, 어린이 등과 같은 취약집단에서 무분별하게 섭취될 잠재적 우려를 가지고 있다7). 따라서 단일 원료에 대한 안전성뿐 아니라 기능성원료의 복합으로 야기될 수 있는 상승작용, 이로 인한 취약집단에서의 안전성, 기능성원료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안전성을 사전 혹은 사후에 방지할 수 있는 관리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검토하는 경우 어떤 자료들을 이용하여 검토하는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인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에 의하면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동식물, 미생물 유래 원료는 원칙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검토 대상이 될 수 있다2~3).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검토 시에는 섭취근거자료, 해당 기능성분 또는 관련 물질에 대한 안전성 정보자료, 섭취량 평가자료, 영양평가자료, 생물학적유용성에 관한 자료, 인체시험자료, 독성시험자료 등의 포괄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4).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은 후에는 “일상식사에서 부족될 수 있는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원료를 보충할 목적”이라면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I.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의해 안전성과 기능성이 확보된 원료들로서 인정된 범위 내에서 섭취할 경우 인체의 생리학적 기능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제품들이다. 하지만 이는 현재의 과학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연구된 조건 내에서의 안전성과 기능성의 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absolute safety”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식품의약품안전청, 미국 Dietary supplement의 안전성 평가 체계,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industry/(2007). 

  2.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1-34호). 

  3.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 약품안전청 고시 제2011-68호). 

  4.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안전성평가 해설서 (사례 중심),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08). 

  5.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공전 해설서,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08). 

  6. 질병관리본부, 2008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2009). 

  7.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안전관리 연구 (09081영기안093), (2009). 

  8.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원료정보,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12). 

  9.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08). 

  10.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rning on Hydroxycut products.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rConsumers/Consumer Updates/ucm152152.htm (2009). 

  11. Dara, L., Hewett, J., Lim, J., Hydroxycut hepatotoxicity: A case series and review of liver toxicity from herbal weight loss supplement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4, 6999-7004 (2008). 

  12. Shim, M., Saab, S., Severe hepatotoxicity due to hydroxycut: A case report,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54, 406-408 (2009). 

  13. Park. K., Kwon, O., The state of adverse event reporting and signal generation of dietary supplements in Korea,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57, 74-77 (2010). 

  14.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 사례 수집 현황,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2012). 

  1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Dietary Supplement and Nonprescription Drug Consumer Protection Act (Public Law 109-462). 

  16. Frankos, V., Stree, D., O'Neill, R,, FDA regulation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quirements regarding adverse event reporting,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87, 239-244 (2010). 

  17. 보건복지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보건복 지부령 제142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