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 재료의 혼합비율에 따른 한방 삼계탕의 기호도와 품질특성
Effect of the Dried-Medicinal-Herbs Mixing Ratio on the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gyetang for Ginseng Chicken Soup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5, 2012년, pp.696 - 702  

정대윤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황수정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이성희 (조선이공대학 식품영양조리과학과)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의 고유 음식인 삼계탕에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한약재를 부재료로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한방 삼계탕의 최적 혼합 비율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방 삼계탕의 부재료인 작약, 더덕, 황금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한방 삼계탕의 제조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삼계탕 육수의 pH는 작약이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당도는 더덕의 함량이 높은 삼계탕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명도와 황색도는 황금의 함량이 많은 삼계탕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더덕의 함량이 증가 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으로 황금 함량이 높은 한방 삼계탕에서 색, 맛, 향미,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한방 삼계탕의 부재료인 한약재의 혼합 비율이 황금 12 g, 작약 8 g, 더덕 4 g, 오미자 6 g, 삽주 4 g, 감초 2 g, 대추 4 g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amgyetang herb to which different dried medicinal herbs were added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 best formulation for the product. For the Samgyetang herbal product, Schizandra chinensis, Atractylodes lancea, Glycyrrhiza uralensi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한약재의 고유성분 및 기능효과를 최대화하면서 기호성과 편의성을 겸비한 가공품의 개발이 필요하며, 가공기술을 정립하여 새로운 건강식 삼계탕용 혼합 부재료의 가공품으로 브랜드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고유 음식인 삼계탕에 우수한 기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약재를 부재료로 사용하여 혼합비에 따른 삼계탕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한방 삼계탕의 최적 혼합비율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우리의 고유 음식인 삼계탕에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한약재를 부재료로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한방 삼계탕의 최적 혼합 비율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방 삼계탕의 부재료인 작약, 더덕, 황금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한방 삼계탕의 제조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계탕이란? 삼계탕은 어린 연한 닭을 통째로 이용하여 뱃속에 찹쌀과 마늘, 대추, 인삼을 채워서 물을 부어 오래 끓인 것으로 계삼탕 또는 삼계탕이라고 하는데(1), 동의수세보원에서는“삼계고(蔘鷄膏)”라 하여 소음인의 이질과 같은 설사병 치료제로 사용하였다(2). 닭에 관하여 우리의 옛 문헌을 살펴보면, 조선시대의 가축 중에 가장 많았던 것이 닭이었고 요리서에 기록된 닭 요리법은 중국 요리서에서 인용한 것은 적고 대부분 우리의 것으로 다양했으며, 닭을 이용한 고음 국에는 총계탕(중보산림경제, 오주연문장전산고, 시의전서) 수중계(음식디미방), 용봉탕(농가월령), 금중탕, 고제탕 (진찬의궤, 진작의궤), 도리탕(해동죽지), 백숙(원행을묘정리의궤)등이 있다(3).
작약은 어떤 활성이 보고 되고 있는가? 작약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항염증 작용, 항알러지 작용, 진통작용 등이 보고되었으며,주성분인 paeoniflorin에 관한 활성도 다수 보고 되었다. 즉 면역조절작용(5), 항알러지작용(6), 항염증작용(7), 인식강화효과(7-10), 신경근차단작용(11), 항혈전작용(12), 항과 혈당작용(13), 항응고작용(14), 진통작용(15), 항과지방혈증작용(16), 건망증억제작용(17) 및 항경련작용(18,19) 등많은 활성이 보고 되고 있다.
작약은 한방에서 어떻게 사용됐는가? 작약(Paeonia lactiflora)은 1,200여년 동안 중요한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한방에서는 염증, 진통 및 진경의 목적으로 주로 무월경의 조절, 외상치료, 비출혈, 염증, 종기및 상처 치료, 가슴과 늑골부위의 통증완화 등의 치료 목적으로 처방되어 왔다(4). 작약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항염증 작용, 항알러지 작용, 진통작용 등이 보고되었으며,주성분인 paeoniflorin에 관한 활성도 다수 보고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Park YH (2004) The effects of serum lipids and blood glucose on retort Samgyetang intake in rats. J Korean Home Econ Assoc, 42, 143-152 

  2. Kim DR (1996) The food in accordance with constitutional medicine 224. Kyunghyang Press, Seoul, Korea, p 27 

  3. Lee SW (1985) Korea cuisine Cultural History. Kyo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16-220 

  4. Bae KH (2000) Medicinal plants in South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68 

  5. We WS, Wang YQ, Wang SY (1987) Immu-noregulatory effects of total glucosides of paeony root in mice. Chin Pharmacol Bull, 3, 148-152 

  6. Yamahara J, Yamada T, Kimura H, Sawada T, Fujimura H (1982) Biologically active principles of crude drugs. II. Anti-allergic principles in "Shoseiryu-To"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paeoniflorin and its derivatives. J Pharmaco-Dynamics, 5, 921-929 

  7. Ohta H, Matsumoto K, Watanabe H, Shimizu M (1993) Involvement of beta-adrenergic systems in the antagonizing effect of paeoniflorin on the scoploamineinduced deficit in renal maze performance in rats. Japan J Pharmacol, 62, 345-349 

  8. Ohta H, Ni JW, Matsumoto K, Watanabe H, Shimizu M (1993) Peony and its major constituent, Pae-oniflorin, improve radial maze performance impaired by sco-polamine in rats. Pharmacol Biochem Behav, 45, 719-723 

  9. Ohta H, Matsumoto K, Shimizu M, Watanabe H (1994) Paeoniflorin attenuates learning impairment of aged rats in operant brightness discrimination task. Pharmacol Biochem Behav, 49, 213-217 

  10. Watanabe H (1997) Candidates for cognitive enhancer extracted from medicinal plants: paeoniflorin and tetrame-thylpyrazine. Behav Brain Res, 83, 135-141 

  11. He XH, Xing DM, Ding Y, Li YP, Xu LZ, Du LJ (2004) Effects of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on phar-macokinetic fate of paeoniflorn after intravenous admin-stration of Paeoniae Radix extract in rats. J Ethnopharmacol, 94, 339-344 

  12. Ye J, Duan H, Yang X, Yan W, Zheng X (2001) Anti-thrombosis effect of paeoniflorin: evaluated in a pho-tochemical reaction thrombosis model in vivo. Planta Med, 67, 766-767 

  13. Hsu FL, Lai CW, Cheng JT (1997)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paeoniflorin and 8-debenzoylpaeon-iflorin, glucosides from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Planta Med, 63, 323-325 

  14. Ishida H, Takamatsu M, Tsuji K, Kosuge T (1987) Studies on active substances in herbs used for Oketsu ("Stag-nant Blood") in Chinese Medicine. VI. On the anticoagulative principle in Paeoniae Radix. Chem Pharm Bull, 35, 849-852 

  15. Tsai HY, Lin YT, Tsai CH, Chen YF (2001) Effects of paeoniflorin on the formalin-induced nociceptive behaviour in mice. J Ethnopharmacol, 75, 267-271 

  16. Yang HO, Ko WK, Kim JY, Ro HS (2004) Pae-oniflorin: an antihyperlipidemic agent from Paeonia lacti-flora. Fitoterapia, 75, 45-49 

  17. Abdel-Hafez AA, Meselhy MR, Nakamura N, Hattori M, Watanabe H, Murakami Y, El-Gendy MA, Mah-fouz NM, Mohamed TA (1998) Effects of pae-oniflorin derivatives on scopolamine-induced amnesia using a passive avoidance task in mic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Biol Pharm Bull, 21, 1174-1179 

  18. Abdel-Hafez AA, Meselhy MR, Nakamura N, Hattori M, Watanabe H, Mohamed TA, Mahfouz NM, El-Gendy MA (1998) Potent anticonvalsant paeonimetabolin-I derivatives obtained by incubation of paeoniflorin and thiol compounds with Lactobacillus brevis. Chem Pharm Bull, 46, 1486-1487 

  19. Abdel-Hafez AA, Meselhy MR, Nakamura N, Hattori M, Watanabe H, Murakami Y, El-Gendy MA, Mah-fouz NM, Mohamed TA (1999) Anticonvalsant activity of paeonimetabolin-I adducts obtained by incubation of paeoniflorin and thiol compounds with Lactobacillus brevis. Biol Pharm Bull, 22, 491-497 

  20. Kim HJ (1985) Proximate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ld and cultivated Codonopsis lanceol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2-25 

  21. Na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1991) Galen4ic pharmacy. Youngrim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78-179 

  22. Jeong BS, Shin MK (1990) Herbal Dictionary (Plant), Youngrim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001-5009 

  23. Kim YS, Park YS, Im M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93-897 

  24. Lee SH, Lee YC. Yoon SK (2003) Isolation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83-487 

  25.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n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 Nutr, 22, 41-47 

  26. Kim, JO, Kim JB, Kim HY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herb mixture prescribed to induce blood glucose level and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fibroblast. Korean J Food Preserv, 16, 115-121 

  27.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Preserv, 15, 587-592 

  28. Mok C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grape juice mixture. Food Eng Progress, 9, 226-230 

  29.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30. Choi JW, Kang HO, Jung YS, Rim H, Hur B (2010)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a schizandrin C derivative DDB-mixed preparation (DWP-04) on antioxidant activity in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in rats. Korean J Neurol, 29, 3-16 

  31. Kang EM, Jeong CH, Shim KH (2001) Functional properties of Korean Atractylodes japonica Koidz.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86-91 

  32. Cho SK, Kim HI, Lee MK, Lee JJ, Kwak YC, Lee SC, LEE Y (2009)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lycyrrhiza uralensis Fish and Solanum nigrum L. mixture for alternate the antibiotics on productivity and blood composition in broiler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6, 215-222 

  33.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d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34. Ann YG, Kim SK, Shin CS (1997) Sugar in Korean jujube fruit and jujube fruit drink. Korean J Food & Nutr, 10, 314-319 

  35. Park BH, Chae KY, Hong J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de concentrates prepared by boil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190-197 

  36.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017-1918 

  37. Choung MG (2005) Analysis of constituents related to five sensory test in peony root. J Crop Sci, 50, 191-195 

  38. Kim NY, Chae HS, Lee IS, Kim DS, Seo KT, Park SJ (2010)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27-1633 

  39. Sung JM, Kim OS, Ryu HS (2011) Changes in enzyme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with different ratios of added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roo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50-1156 

  40. Hong SC, Kwon DJ (2011)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kukjang added with Deodeok. Korean J Food Preserv, 18, 171-177 

  41. Yun HS (1992) Flavonoid components in plants of the genus scutellaria. Korean J Pharmacogn, 23, 201 

  42. Weyland JW, Rolink H, Doornbos DA (1982)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saccharin, caffeine and benzoic acid using non-linear programming. J Chromatography, 247, 221-229 

  43. Kim YR, Choi SG, Cho SH (2005) Analysis of antimicrobial substance isolated from Scutellariae Radix extract using LC-MS. Korean J Food Preserv, 12, 350-354 

  44. Park KD (2010)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Paeonia lactiflora pall. extract against food-putrefactive microorganisms. M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