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첨가한 갑오징어 김치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uttlefish Kimchi with Yogurt and Vitamin C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5, 2012년, pp.774 - 782  

장미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서경춘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남기호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박희연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사용하여 갑오징어 김치를 담그고, 발효기간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여 김치의 맛이나 가식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발효기간 동안의 수분,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의 변화는 모든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갑오징어를 첨가한 김치 실험군에서 갑오징어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보였고, 요구르트를 첨가한 갑오징어 김치의 조단백질 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시료구의 pH 값은 공통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각각 첨가한 갑오징어 김치의 pH 값은 대조구 및 갑오징어 김치보다 천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김치가 숙성됨에 따라 전체 실험구에서 높아지는 변화를 보였으며, 숙성 21일째까지는 대조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21일 이후부터는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각각 첨가한 갑오징어 김치 실험군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총균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 실험군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1일째에 최대값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첨가한 갑오징어 김치의 경우는 발효기간내내 대조구 및 갑오징어 김치보다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Leuconostoc sp. 균수는 전 실험구에서 적숙기인 21일째에 최대값을 보인 이후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첨가한 갑오징어 김치가 대조구와 갑오징어 김치보다 높은Leuconostoc sp. 균수 값을 나타내었다. Lactobacillus sp. 균주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대조구에서는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적숙기인 21일 이후부터는 대조구의Lactobacillus sp.의 균수가 갑오징어 김치 시료군보다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로는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첨가하여 제조한 갑오징어 김치가 비린 향미의 항목을 제외하고는 조직감, 신맛, 숙성된 맛, 종합적인 선호도의 항목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는 김치제조 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요구르트나 비타민 C를 첨가하여 김치를 담금으로서 김치의 관능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가식기간 또한 연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echu kimchi without cuttlefish (control), baechu kimchi with cuttlefish (CK), cuttlefish baechu kimchi with yogurt (CK+Y), and cuttlefish baechu kimchi with vitamin C (CK+VC) were prepared, an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kimchi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28 days of fe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사용하여 갑오징어 김치를 담그고, 발효기간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여 김치의 맛이나 가식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발효기간 동안의 수분,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의 변화는 모든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이러한 소재개발과 관련하여 보고된 연구로는 갑오징어 분말을 김치에 첨가하여 김치의 저장성을 확인한 결과 김치의 숙성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10), 굴 패각가루와 함초가루를 김치에 첨가하였을 때에도 김치의 가식기간이 연장되었다고 한 결과들이 있다(11). 하지만 이들 재료를 가정에서 쉽게 구입하여 김치를 담아먹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요구르트와 비타민 C를 사용하여 김치를 담그고 발효기간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여 김치의 맛이나 가식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홍어(12), 명태(13) 및 과메기(14)등과 같은 수산물을 직접 첨가하여 김치의 발효양상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연체류 중에서 오징어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갑오징어(15)를 사용하여 김치 담금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주재료인 배추에 소금 절임을 하고 각종 양념 및 젓갈을 첨가하여 적당한 온도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으로(1) 항산화, 항콜레스테롤, 정장, 체중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다(2,3). 김치의 발효 숙성 중에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한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생성으로 인하여 숙성 적기에는 상큼한 신맛과 감칠맛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 맛을 낸다.
김치가 가진 생리활성은 무엇이 있는가? 김치는 주재료인 배추에 소금 절임을 하고 각종 양념 및 젓갈을 첨가하여 적당한 온도에서 일정기간 발효시키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으로(1) 항산화, 항콜레스테롤, 정장, 체중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다(2,3). 김치의 발효 숙성 중에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한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생성으로 인하여 숙성 적기에는 상큼한 신맛과 감칠맛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 맛을 낸다.
김치가 적절한 발효를 일으키면서 가식기간을 늘리고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발효과정 중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해산물은 김치의 발효 중 김치 내 항균성이 높은 젖산균수를 높임으로서 불필요한 호기성 세균수를 감소시킴으로서 위생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6). 이처럼 젖산균은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중요한 균으로서 김치의 발효 초기에는 Leuconoctoc mesenteroides(헤테로형)가 번식하면서 김치의 산도를 높이고, pH 4.9이하로 저하되면 그들의 생육은 저해되며 발효기에는 젖산 생성률이 높은 Lactobacillus plantarum(호모형)의 생육이 왕성해지면서 과다한 산 생성으로 발효 말기에는 산패를 유도하게 되어(7,8) 김치의 맛과 품질을 저하시킨다(9). 그러므로 김치가 적절한 발효를 일으키면서 가식기간을 늘리고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발효과정 중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해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u KH, Sunwoo KY, Park WS (2005) Effect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2. Lee HJ (2000) A study on commercial Kimchi consumption of housewives in Seoul and Chungbuk area. Korean J Food Nutr, 13, 221-225 

  3. Park WP, Park KD, Cheong YJ, Lee IS (2002) Effects of calcium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28-432 

  4. Min SG, Kim JH, Cho SK, Sin HS, Hong GH, Oh DG, Kim KN (2003) Manufactures of functional Kimchi using Bifidobacterium strain producing conjugated linoleic acid(CLA) as starter. Korean J Food Sci Tecnol, 35, 111-114 

  5. Park DC, Kim EM, Kim EJ, Kim YM, Kim SB (2003)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kimchi prepared with salted 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69-776 

  6. Kim SD, Kim MK (1999) Science of Kimchi. Exhibiting Country of Catholic Univ of Daegu, p 53-66 

  7. Mheen TI, Kwo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8. Ha JO (1997)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Ph D theses, Pusan National University 

  9. Shin DH (1994)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market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different containers. in The Science of Kimchi, Korean Soc Food Sci Technol, Seoul, p 82-136 

  10. Lee MJ, Kim SJ, Lee SC, Park WP (2000) Effects of sepiae os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92-596 

  11. Jung BM, Jung SJ, Kim E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88-197 

  12. Kim KH, Cho HS (2008)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skate (raja kenojei) Kimchi on the market. Korean J Food Culture, 23, 235-242 

  13.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s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14. Jung YK, Oh SH, Kim SD (2007)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aegi 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4, 526-530 

  15. The Fisheries Association of Korea (1997) Korean Fisheries Yearbook. Dongyang Publishing Co, Seoul, p 354-363 

  16.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2009) Second edition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products. Busan, Korea 

  17. Cho ML, Heu MS, Kim JS (2001) Food competent characteristics of cuttle bone as a mineral source. J Korean Fish Soc, 34, 478-482 

  18.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 Lee MK, Park WS, Kang KH (1996)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54-760 

  20. Meilgaard M, Civille GV, Carr BT (1987)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CRC Press, Boca Ration, Florida, USA, p 39-112 

  21. Duncan DB (1955) Multiple-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22. Jang MS, Park HY, Park JI, Byun HS, Kim YK, Yoon HD (2011) Analysis of nutrient composition of baechu Kimchi(Chinese cabbage Kimchi) with seafoods. Korean J Food Preserv, 18, 535-545 

  23. Lee HY, Paik JE, Han YS (2003) Effect of powder-type dried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54-262 

  24. Lee HS, Ko YT, Lim SJ (1984) Effect of protein sources on Kimchi fer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Korean J Nutr, 17, 101-107 

  25.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26.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Koo YJ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27. Bae MS, Lee SC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styela clav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73-579 

  28. Cho Y,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II). Korean J Soc Food Sci, 7, 89-95 

  29.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30. Cho Y, Yi JH (1994) Effect of Kimchi submaterial o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orean J Soc Food Sci, 10, 35-38 

  31. Yi JH, Cho Y, Hwang IK (1995) Effects of Kimchi minor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Soc Food Sci, 11, 51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