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조적 패션디자인을 위한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미국, 유럽, 한국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to Suggest Korean Fashion Design Education Model for a Creative Fashion Design -Focus on Comparative Case Studies in the USA, Europe, and Korea-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1, 2012년, pp.68 - 83  

최경희 (한성대학교 의류패션산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 Korean fashion design education model through a comparison of the fashion design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s in the USA, Europe, and Korea. For this, a case study of fashion design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s in the USA was performed with literature reviews about e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례연구를 위한 주요 조사항목으로는 12개 기관의 패션디자인 관련 학과/전공의 중점영역, 교과과정의 구성 및 내용을 주로 다루었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대표적인 미국의 패션디자인 교육기관이며, fashionista에서 상위 랭킹을 차지한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Parsons)와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FIT)의 경우는, 주요 교과과정의 특성 외에도 해당 코스의 전반적 특성과 기타 산학연 방식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대상 설정 및 방법은 3장에서 다루었다.
  • 본 연구에서는 창조성 개발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및 프로세스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더불어, 주로 비지니스 지향의 창조성 개발을 중심으로 한 미국(“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2003)의 주요 패션교육기관의 교과과정 및 교육체계를 살펴보고 이를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유럽과 한국의 교육사례와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패션디자인 교육의 문제점만을 지적하기보다는, 해외 패션디자인 교육의 선진적 사례를 응용하여 국내 대학의 패션디자인 교육의 특성화를 유도하고 이를 위한 발전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의 방향과 대안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의류학 교육 전반이 아닌, 국내외 주요 패션디자인 교육기관들의 교육방법에 대한 비교 · 고찰을 통한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제안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앞서 연구한 유럽과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에 관한 비교연구(Choi, 2011)의 후속연구로, 선행연구에서는 세계 4대 패션컬렉션이 열리는 국가 중, 주로 기술 지향 창조적 교육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고 있는 유럽(영국, 프랑스, 이태리)의 주요 패션교육기관과 한국의 4년제 대학의 패션디자인 교과과정 및 교육체계를 비교 · 고찰하고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의 향방을 제안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창조성 개발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및 프로세스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더불어, 주로 비지니스 지향의 창조성 개발을 중심으로 한 미국(“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2003)의 주요 패션교육기관의 교과과정 및 교육체계를 살펴보고 이를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유럽과 한국의 교육사례와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장에서는 국내외 패션디자인 교육방법 및 프로세스에 관한 선행연구와 저서 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제안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로부터 미국, 유럽,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을 비교 ·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패션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국내 디자인 교육은 90년대 이후 양적 확장으로 인한 공급과잉뿐 아니라, 교육의 질적 저하와 업계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비효율성을 띄어 왔으며, 패션디자인 교육 또한 산업체의 요구에 대응하는 교육의 미비로 국가적 차원의 부가가치의 손실을 야기해 왔다. 따라서 현재의 패션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할 만한 창조성 개발을 위한 유기적인 교육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디자인 분야에서 창조성이란 무엇인가? Pink(2006/2007)는 현재 지식근로자가 주도하는 정보화 시대가 창의성, 감성 등의 새로운 능력으로 무장한 창조근로자가 주도하는 ‘하이컨셉(High-concept)의 시대’로 진화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창조성은 다양한 디자인 전공에서 중요한 발전적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수단이자, 마켓에서의 상업적 성공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Lee, 2006). 디자인의 창의력은 인간의 감성을 움직이는 무형의 첨단기술로, 이러한 창조적 디자인을 창출하는 인적 자원의 배출과 전문인력의 경쟁력 강화는 산업의 핵심역량이자 세계 일류화를 결정짓는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다.
창조적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의 구성 단계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창조적 패션디자인 프로세스는 크게 문제인식단계, 리서치와 분석 단계, 컨셉 설정단계, 디자인 발상과 선택단계, 디자인 발전 및 수행단계, 비평적 평가와 해결책 제안단계의 6단계로 요약될 수 있다. 아울러 패션디자인을 단순히 결과만이 아닌 프로세스 중심으로 살펴봤을 때, 리서치와 발전과정, 즉 R&D(Research & Development) 영역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s, A. (2008). Fashion design for a projected futur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6(2), 103-118. 

  2. 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fashion educational institutions. (2003, April 29). Samsung Design Net. Retrieved December 10, 2009, from http://www.samsungdesign.net/Report/Report/list.asp?an247 

  3. Choi, Y. M. (1997). A study on the systematic, intuitive approach for fashion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5(1), 71-83. 

  4. Choi, Y. M. (2001). Generating creative idea and developing model in fashio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Choi, K. H. (2011). A comparative study on fashion design education in Europe and Korea-Focus on the educational cases in the UK, France, Italy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0), 1199-1214. 

  6. DeJonge, J. O. (1984). Forward: The design process. In S. M. Watkins (Ed.), Clothing: The portable environment (pp. vii?xiii).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7. Dickerson, K. G., & Clowes, D. A. (1982). Curriculum move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from four-year to two-year colleg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 18-23. 

  8. Do, K. H. (1996). A methodological study on the developing process of costume design applied to the method of morpholog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3), 401-413. 

  9. Fiore, A. M., Kimle, P. A., & Moreno, J. M. (1996). Aesthetics: A comparison of the state of the art outside and inside the field of textiles and clothing. Part one: Creator and creative proc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4(1), 30-40. 

  10. Fiore, A. M., & Ogle, J. P. (2000). Facilitating students' integration of textiles and clothing subject matter. Part one: Dimensions of a model and a taxonom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1), 31-45. 

  11. Han, S. J., & Kim, E. Y. (2007). Fashion design. Seoul: Kyohakyoungusa. 

  12. Hanks, K., Belliston, L., & Edwards, D. (1977). Design yourself. Los Altos, CA: William Kaufmann. 

  13. James, A. (2007). Reflection revisited: Perceptions of reflective practice in fashion learning and teaching. Art, Design & Communication in Higher Education, 5(3), 179-197. 

  14. Karpova, E., Marcketti, S. B., & Barker, J. (2011). The efficacy of teaching creativity: Assessment of student creative thinking before and after exercis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9(1), 52-66. 

  15. Koberg, D., & Bagnall, J. (1981). The universal traveler: A soft-systems guide to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the process of reaching goals. Lost Altos, CA: William Kaufmann. 

  16. Ku, Y. S., Kim, J. W., Park, K. A., Park, K. H.,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s: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1), 19-32. 

  17. LaBat, K. L., & Sokolowski, S. L. (1999). A three-stage design process applied to an industry-university textile product design projec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1), 11-20. 

  18. Lamb, J. M., & Kallal, M. J. (1992). A conceptual framework for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 Reasearch Journal, 10(2), 42-47. 

  19. Laughlin, J., & Kean, R. C. (1995). Assessment of textiles and clothing academic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3), 184-199. 

  20. Lee, B. D. (2006). A study on fashion design pedagog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With emphasis on intu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3), 487-496. 

  21. Lee, H. J. (1999). Fashion design. Seoul: Kyohakyoungusa. 

  22. Moon, C. (2006). A study on properties of foundation degree of England, America and possibilities of basic design education. 기초조형학연구, 7(3), 263-271. 

  23. Ogle, J. P., & Fiore, A. M. (2000). Facilitating students' integration of textiles and clothing subject matter. Part two: Substantiating the applicability of proposed structur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2), 73-89. 

  24. Park, H. H. (2004). New York. Seoul: Angraphics. 

  25. Pink, D. H. (2007). A whole new mind: Having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conceptual age (M. C. Kim, Trans.) Seoul: The Korea Economic Daily & Business Publication Inc. (Original work published 2006) 

  26. Shin, J. S. (2006). NY fashion industry and FIT education.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3, 75-83. 

  27. Shreeve, A., Bailey, S., & Drew, L. (2003). Students' approaches to the 'research' component in the fashion design project: Variation in students' experience of the research process. Art, Design & Communication in Higher Education, 2(3), 113-130. 

  28. The education system in USA. (2010, April 12). NaverWikipedia. Retrieved August 27, 2011, from http://ko.wikipedia.org/wiki/ 

  29. Watkins, S. M. (1988). Using the design process to teach functional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7(1), 10-14. 

  30. Wischhover, C. (2010, December 8). The top 50 fashion schools in the world: The full list. Fashionista. Retrieved Feburary 20, 2011, from http://fashionista.com 

  31. 2010 JoongAng Ilbo univertity ranking. (2010, September 28). JoongAng Ilbo. Retrieved Feburary 20, 2010, from http:// www.jedi.re.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