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체크기에 따른 토르소원형의 부위별 선호여유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Preferred Ease of Torso Sloper by Body Siz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1, 2012년, pp.112 - 125  

강여선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s the preferred ease of torso sloper according to body sizes and drop. For this, the eases of main body parts such as 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biacromion length, and waist back length were analysed; in addition, the drop differences of body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등 여유량 현황이나 의복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부위별 여유량과 신체치수와의 관계나 신체형태 변화를 위한 여유량 차이 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위별 신체크기에 따른 선호여유량과 몸통실루엣에 따른 선호여유량을 파악함으로써 여유량과 신체형태 변화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20대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영캐쥬얼 브랜드 중 3개 백화점에 공통으로 입점한 내셔널브랜드 19개의 피티드 셔츠 신체호칭을 조사하였다. 또한, 부위별 신체치수와 여유량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여유량과 신체부위들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19.
  • 본 연구는 개인별 신체치수와 체형에 따라 의복부위 별 여유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봄으로써 의복 실루엣에 의한 신체형태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신체크기별 여유량 차이에 따른 신체형태 변화에 관한 1단계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대상자 범위를 선호여유량과 맞음새를 보다 잘 이해하는 집단으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는 토르소원형의 부위별 여유량에 대한 신체 크기에 따른 차이, 체형에 따른 차이 및 다른 부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신체형태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토르소원형은 1~3회의 피팅을 통해 착용자가 선호하는 여유량으로 수정하였으며 분석부위는 어깨가쪽사이길이여유, 등길이여유, 가슴둘레여유, 허리둘레여유, 엉덩이둘레여유, 위팔둘레여유, 소매길이여유, 손목둘레여유, 원형드롭, ‘가슴둘레여유와 엉덩이둘레여유 차이’ 등이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셔츠, 재킷 등 다양한 의복의 기초패턴으로 활용되며 최소 여유량이 포함된 토르소원형을 대상으로 부위별 여유량을 분석하고 신체크기에 따른 차이와 신체형태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착용자가 기대하는 신체형태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점차 입지를 높여가고 있는 간접착용 구매환경에서 의복호칭선택 및 피트감에 대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효율적 소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피트만족도가 높은 패턴개발과 치수체계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의 여유량은 무엇에 의해 달라지는가? 의복선택의 중요한 기준인 피트는 실루엣과 더불어 여유량에 의해 달라지며 여유량은 의복의 종류 및 요구되는 활동성에 따라 달라진다. 신체움직임에 따라 피부가 자연스럽게 늘어나는 것과 달리 피부와 신축성이 다른 의복은 피부 늘어남을 좇아가기 위해 부위별로 여유량을 포함하여 제작되어야 한다(Han &Jo, 2000).
의복선택과정에서 피트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의복선택과정에서 피트의 중요성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강조되었다. Tselepis and de Klerk(2004)는 동조성이 강하고 외모에 관심이 큰 청소년전기 소녀들이 피트를 매우 중요한 의복선택기준으로 여겼고 기능성과 미적 만족감이 피트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Lee et al.(2007)도 9~14세 소녀들이 의복의 여러 선택기준 중 피트를 가장 중시하였고, 다음으로 어울림, 편안함을 중시하고, 선호색, 유행, 브랜드 등은 보통 정도로 여긴다고 하여 피트가 의복선택의 중요한 기준임을 밝혔다.
개인의 의복선택과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개인의 의복선택과정은 착용 전에 신체치수에 적합한 호칭을 선택하는 과정과 착용과정에서 피트를 통해 신체형태의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신체치수에 따라 착용 가능한 호칭을 선택하고, 착용을 통해 의복의 크기 및 정면, 측면실루엣 등의 피트를 살펴 신체형태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의복을 선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ung, M. S., & Lee, S. W. (1997). Classification of trunk somatotypes and their distribution accoding to the age groups of adult fema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3), 571-580. 

  2. Han, J. H., & Jo, J. S. (2000). A study on appropriate size tolerances for the female shirts blouse of stretchable fabr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3), 289-300. 

  3. Istituto carlo secoli. (2003). Modellistic industriale donna. Milano: Author. 

  4. Jang, S. E. (2008). A study on sizing system and preferable ease in a men's dress shirt for virtual mass customiz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 99-109. 

  5. Kang, M. H. (2006). Fundamental study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fitting on fashion electronic comme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Kang, Y. S. (2010). The research on the women's T-shirts focused on purchasing patterns and eas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 169-182. 

  7. Kang, Y. S., & Kwak, Y. C. (2005). 여자 기성복 기본패턴설계 [The women's basic patterns for ready-to-made garment]. Seoul: Soohaksa. 

  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Standards. (2004a). 2004년 표준화부문 연구용역사업 결과보고서-의류제품 치수표 준화 사업 [The research for 2004 Korean standards sizing system for female adult's garments]. Gwachun: Author.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Standards. (2004b). 제5차 한 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보고서 [The 5th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Gwachun: Author. 

  10. Kim, S. Y. (2005). A study on the ease in slacks favored by the women in their 5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1. Kweon, S. A., Choi, J. M., & Sohn, B. H.. (2010). Body satisfaction and fitness apparel depending on age and silhouette in women 20-50 years of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480-491. 

  12. Lee, H. S., & Lim, Y. J.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e-to-wear garment size for their early 20's by body type and basic blocks for women's d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3), 87-104. 

  13. Lee, S. H., Ulrich, P. V., & Connell, L. J. (2007). Tween girls and their mothers: clothing decision criteria and body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1(2), 1689-1699. 

  14. Lee, S. R. (2006). 이승렬의 패턴이야기 3 [The pattern story 3 by Seung Ryeol Lee] Seoul: Technology & Sensibility. 

  15. Lim, W. J. (1976). 의복구성학 [Pattern making]. Paju: Kyomunsa. 

  16. Moon, N. W., Wee, E. H., & Park, W. M. (2008). A study on body proportion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women with their body cathexis and fit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5), 821-833. 

  17. Park, H. S. (1981). 서양의복구성 [Pattern making for western style garments]. Seoul: Soohaksa. 

  18. Roach-Higgins, M. E., Eicher, J. B., & Johnson, K. K. P. (1995). Dress and identity.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19. Sul, K. H. (2000). A study on ease for the skirt of stretch fabric according to the body ty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 Tselepis, T., & de Klerk, H. M. (2004). Early adolescent girls' expectations about the fit of clothes: A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Family Ecology and Consumer Sciences, 32, 83-93. 

  21. Yun, E. Y., & Park, S. K. (2011). Bodice patterns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ccording to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 7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