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Agrimonia pilosa Ledeb. in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161 - 167  

이정아 ((재)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  안은경 ((재)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  홍성수 ((재)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  오좌섭 ((재)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및 adipogenesis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농도별(50, 100 ${\mu}g/mL$)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켰다. 이 같은 활성에 대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PPAR${\gamma}$ 전사활성과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PPAR${\gamma}$ 전사 활성을 억제시켰고 PPAR${\gamma}$ 및 C/EBP${\alpha}$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adipokine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주요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효과가 있는 농도가 100 ${\mu}g/mL$로 천연물질로써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항비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ethyl acetate extract from A. pilosa L. (EAAP) suppresses lipid accumulation and inhibits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 gene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추출물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호르몬 유도를 통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확인하였고, 지방세포 분화의 중요한 전사인자로 알려진 PPARγ signaling pathway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및 adipogenesis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3T3- 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농도별(50, 100 μg/ mL)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켰다.
  • 우리는 본 연구에서 전통적인 약재로도 사용가능한 천연물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의한 항비만 활성 및 그의 작용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만은 지방세포 형성을 통한 지방질의 축적에 의해 발생한다.
  • 이 같은 활성에 대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PPARγ 전사활성과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떤 상태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그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식생활, 내분비 장애,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을 일으키는 주요 인자로 밝혀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1).
비만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그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식생활, 내분비 장애,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을 일으키는 주요 인자로 밝혀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1).
A. pilosa L.는 어떤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는 주로 북반구 온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야산이나 길가, 들판에서 흔히 자라며, 선학초, 짚신나물, 황화초, 탈력초 등으로 불린다. 용아초는 전통적으로 복통, 인후염, 두통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고(6) 민간에서는 지혈제 또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으로 더러 사용해 왔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용아초에서 추출한 triterpenoid와 phenolic 성분은 항암이나 항산화 및 항염증에 효과가 있고 간 보호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Visscher TL, Seidell JC. 2001. The public health impact of obesity. Annu Rev Public Health 22: 355-375. 

  2. Darlington GJ, Ross SE, MacDougald OA. 1998. The role of C/EBP gene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30060. 

  3. Rosen ED, Hsu CH, Wang X, Sakai X, Freeman MW, Gonzalez FJ, Spiegelman BM. 2001. C/EBP $\alpha$ induces adipogenesis through PPAR: a unified pathway. Genes Dev 16: 22-26. 

  4. Morrison RF, Farmer SR. 2000.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30: 3116S-3121S. 

  5. Rosen ED, Macdougald OA.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 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 885-896. 

  6. An RB, Kim HC, Jeong GS, Oh SH, Oh H, Kim YC. 2005.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Agrimonia pilosa. J Nat Prod 11: 196-199. 

  7. Kato H, Li W, Koike M, Wang Y, Koike K. 2001. Phenolic glycosides from Agrimonia pilosa. Phytochemistry 71: 1925-1929. 

  8. Miyamoto K, Koshiura R, Ikeya Y, Taguchi H. 1985. Isolation of agrimoniin, an anritumour constituent, from the roots of Agrimonia pilosa Ledeb. Chem Pharm Bull 33: 3977-3982. 

  9. Zhu L, Tan J, Wang B, He R, Liu Y, Zheng C.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aqueous extract from Agrimonia pilosa Ledeb and its fractions. Chem Biodivers 6: 1716-1726. 

  10. Rosen ED, Walkey CJ, Puigserver P, Spiegelman BM. 2000.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s & Dev 14: 1293-1307. 

  11. Jeon T, Hwang SG, Hirai S, Matsui T, Yano H, Kawda T, Lim BU, Ki D. 2004. Red yeast rice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by down-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Life Sci 75: 3195-3203. 

  12. Cowherd RM, Lyle RE, McGehee Jr RE. 1999.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Semin Cell Dev Biol 10: 3-10. 

  13. Cornelius P, MacDougald OA, Lane MD. 1994. Regulation of adipocyte development. Annu Rev Nutr 14: 99-129. 

  14. MacDougald OA, Lane MD. 1995.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nu Rev Biochem 64: 345-373. 

  15. Ranganathan G, Unal R, Pokrovskaya I, Yao-Borengasser A, Phanavanh B, Lecka-Czernik B, Rasouli N, Kern PA. 2006. The lipogenic enzymes DGAT1, FAS, and LPL in adipose tissue: effects of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TZD treatment. J Lipid Res 47: 2444-2449. 

  16. Bogan JS, Mckee AE, Lodish HF. 2001. Insulin-responsive compartments containing GLUT4 in 3T3-L1 and CHO cells: regulation by amino acid concentrations. Mol Cell Biol 21: 4785-4806. 

  17. Czech MP, Corvera S. 1999. Signaling mechanisms that regulate glucose transport. J Biol Chem 274: 1865-1868. 

  18. Pessin JE, Thurmond DC, Elmendorf JS, Coker KJ, Okada S. 1999. Molecular basis of insulin-stimulated GLUT4 vesicle trafficking: location! location! location! J Biol Chem 274: 2593-2596. 

  19. Shepherd PR, Kahn, BB. 1999. Glucose transporters and insulin action-implications for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341: 248-257. 

  20. Kadowaki T, Yamauchi T. 2005. Adiponectin and adiponectin receptors. Endocr Rev 26: 439-451. 

  21. Maeda N, Takahashi M, Funahashi T, Kihara S, Nishizawa H, Kishida K, Nagaretani H, Matsuda M, Komuro R, Ouchi N, Kuriyama H, Hotta K, Nakamura T, Shimomura I, Matsuzawa Y. 2001. PPARgamma ligands increase expression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adiponectin, an adipose-derived protein. Diabetes 50: 2094-20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