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의 지방분해 효과
Lipolytic Effect of Supercritical Extraction from Pine Cone (Pinus koraiensis) in Mature 3T3-L1 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342 - 1348  

이민희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남다은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김옥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허석현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  이정민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천연식품뿐만 아니라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부산물인 잣송이를 이용하여 초임계 방법으로 추출을 하여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의 축적 및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을 1, $5{\mu}g/mL$ 농도로 처리 시 세포 내 지방 축적이 억제되었고 중성지방분해 산물인 glycerol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합성 효소 및 지방분해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eal-time PCR을 실시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은 지방합성 효소인 FAS에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지방분해 효소인 LPL과 HSL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에 따라 세포 내 중성지방이 지방산과 glycerol로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조직에서의 LPL과 HSL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한 지방분해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eds of Korean pine cone (Pinus koraiensis) have long been consumed as an edible food in countries located in North-East Asia, On the other hand, Korean pine cone, containing various polyphenols, is discarded as a useless garbage after removing see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polytic effect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잣 알맹이와 잣피를 제외한 나머지 부산물인 잣송이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3T3- 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잣송이 추출물의 지방분해 효과와 지방분해 효소인 lipoprotein lipase(LPL)와 hormonesensitive lipase(HSL)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천연식품뿐만 아니라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부산물인 잣송이를 이용 하여 초임계 방법으로 추출을 하여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의 축적 및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을 1, 5 μg/mL 농도로 처리 시 세포 내 지방 축적이 억제되었고 중성지방 분해 산물인 glycerol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 세포 내에 생성된 중성지방은 분화 마지막 단계까지 계속적으로 지방구를 형성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지방구끼리 결합하여 그 크기가 점점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의 지방구 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형성된 지방구를 분해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측정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4%로 급증하였다(1). 비만은 환경적, 유전적 및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들이 관여하는 복합적 증후군으로 섭취한 에너지 중 소비되고 남은 것이 체내에 지방조직으로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고 혈압, 심혈관 질환, 고지혈증, 당뇨와 같은 성인병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2,3). 이러한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는 음식 섭취의 감소, 지방 또는 단백질 대사 또는 지방과 단백질의 저장에 대한 조절, 영양소 흡수의 억제, thermogenesis 증가 등이 있다.
비만이 주원인이 되는 성인병은? 4%로 급증하였다(1). 비만은 환경적, 유전적 및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들이 관여하는 복합적 증후군으로 섭취한 에너지 중 소비되고 남은 것이 체내에 지방조직으로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고 혈압, 심혈관 질환, 고지혈증, 당뇨와 같은 성인병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2,3). 이러한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는 음식 섭취의 감소, 지방 또는 단백질 대사 또는 지방과 단백질의 저장에 대한 조절, 영양소 흡수의 억제, thermogenesis 증가 등이 있다.
비만치료제의 부작용은?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승인된 제니칼(orlistat)은 lipase 활성을 감소시켜 지방 흡수를 억제하고 지방을 배설시키지만 장기 복용 시 지방변 및 위장 질환 등의 문제점이 있고, phentermine, diethylpropion, mazindol은 중추신경계에서의 교감신경 유사작용을 통해 식욕 억제효과가 있으나 입마름과 수면장애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10-13).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비만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천연소재를 이용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Jin JA, Oh KS, Hyun YN, Choi SK, Kwon YH, Kim HJ, Woo B. 2013. Antiadipogenic effect of Vitis amurensis root m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3: 69-78. 

  2. Spiegelman BM, Flier JS. 1996. Adipogenesis and obesity; rounding out the big picture. Cell 87: 377-389. 

  3. Visscher TL, Seidell JC. 2001. The public health impact of obesity. Annu Rev Public Health 22: 355-375. 

  4. Bray GA, Tartaglia LA. 2000. Medicin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ature 404: 672-677. 

  5. Spiegelman BM, Flier JS.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6. Ardevol A, Blade C, Salvado MJ, Arola L. 2000. Changes in lipolysis and hormone-sensitive lipase expression caused by procyanidins in 3T3-L1 adipocyte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 319-324. 

  7. Balkau B, Valensi P, Eschwege E, Slama G. 2007. A review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Metab 33: 405-413. 

  8. Holst D, Grimaldi PA. 2002. New factors in the regula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and metabolism. Curr Opin Lipidol 13: 241-245. 

  9. De Ferranti S, Mozaffarian D. 2008. The perfect storm: obesity, adipocyte dyfunction, and metabolic consequences. Clin Chem 54: 945-955. 

  10. Padwal RS, Majumar SR. 2007. Drug treatments for obesity: orlistat, sibutramine, and rimonabant. Lancet 369: 71-77. 

  11. Zhi J, Moore R, Kanitra L, Mulligan TE. 2003. Effects of orlistat, a lipase inhibitor, on the pharmacokinetics of three highly lipophilic drugs (amiodarone, fluoxetine, and simvastatin) in healthy volunteers. J Clin Pharmacol 43: 428-435. 

  12. Kim KK, Cho HJ, Kang HC, Youn BB, Lee KR. 2006. Effects on weight reduction and safety of short-term phentermine administration in Korean obese people. Yonsei Med J 47: 614-625. 

  13. Cercato C, Roizenblatt VA, Leanca CC, Segal A, Lopes Filho AP, Mancini MC, Halpern A. 2009.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the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diethylpropion in the treatment of obese subjects. Int J Obes 33: 857-865. 

  14. Critchfield WB, Little EL Jr. 1966.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Pines of the World. US Department Agriculture, Forest Service, Washington, DC, USA. No 991, p 4. 

  15. Lee HJ, Choe YJ, Choe DH, Hong IP. 2003. Extractives of Pinus koraiensis wood. J Korean Wood Sci Technol 31:49-56. 

  16. Cimanga K, Kambu K, Tona L, Apers S, De Bruyne T, Hermans N, Totte J, Pieters L, Vlietinck AJ. 2002. Correlation betwee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some aromatic medicinal plants growing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J Ethopharmacol 79:213-220. 

  17. Baricevic D, Milevoj L, Borstnik J. 2001. Insecticidal effect of oregano Origanum vulgare L. ssp. hirtum Ietswaart) on bean weevil (Acanthoscelides obtectus Say). Inter J Horticult Sci 7: 84-88. 

  18. Hong WT, Ko KM, Lee JG, Jang HJ, Kwak JJ. 2002. Volatile compounds of pine needle (Pinus rigida miller) extracts. J Korea Soc Tabacco Sci 24: 53-59. 

  19. Kim YK, Chung KN, Hirosh I, Shigeru M. 1986. Volatile components of pinenut.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05-109. 

  20. Caldefie-Chezet F, Guerry M, Chalchat JC, Fusillier C, Vasson MP, Guillot J. 2004.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laleuca alternifolia essential oil on human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and monocyte. Free Radic Res 38:805-811. 

  21. Medeiros R, Passos GF, Vito CE, Koepp J, Mazzuco TL, Pianowski LF. 2007. Effect of two active compounds obtained from the essential oil of Cordia verbenacea on the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elicited by LPS in the rat paw. Br J Pharmacol 151: 618-627. 

  22. Sylvestre M, Pichette A, Longtin A, Nagau F, Legault J. 2006. Essential oil analysis and anticancer activity of leaf essential oil of Croton flavens L. from Guadeloupe. J Ethnopharmacol 103: 99-102. 

  23. Lee EK, Kim HS, Chung SJ. 2011.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 solution with PKS (Pinus koraiensis S. et Z) and PRM (Pinus rigida Mill) extract. J Chitin Chitosan 16:117-122. 

  24. Hwang HJ, Yu JS, Lee HY, Kwon DJ, Han W, Heo SI, Kim SY. 2014.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Korean J Plant Res 27: 1-10. 

  25. Kim CH, Lee SY, Pak JI. 2008. The extraction of essential oil from by-product of pine nut cone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y. Annal Animal Resource Sci 19: 63-70. 

  2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0.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Vol 36, p 296. 

  27. Kim JE, Kim WY, Kim JW, Park HS, Lee SH, Lee SY, Kim MJ, Kim AR, Park SN. 2010.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inus koraiensis leaf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 303-314. 

  28. Berridge MV, Tan AS. 1993. Characterization of the cellular reduction of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ubcellular localization, substrate dependence, and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in MTT reduction. Arch Biochem Biophys 303:474-482. 

  29. Green H, Kehinde O. 1975. An established preadipose cell line and its differentiation in culture. II. Factors affecting the adipose conversion. Cell 5: 19-27. 

  30. Trinder P. 1969. Determination of blood glucose using an oxidase-peroxidase system with a non-carcinogenic chromogen. J Clin Pathol 22: 158-161. 

  31.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radiosensitivity. Cancer Res 47: 943-946. 

  32.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33. Ailhaud G, Grimaldi P, Negrel R. 1992. Cellular and molecular aspects of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nu Rev Nutr 12: 207-233. 

  34. Haugen F, Zahid N, Dalen KT, Hollung K, Nebb HI, Drevon CA. 2005. Resistin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is reduced by arachidonic acid. Lipid Res 46: 143-153. 

  35. Tenney R, Stansfield K, Oekala PH. 2005. Interleukin 11 signaling in 3T3-L1 adipocytes. J Cell Physiol 202: 160-166. 

  36. MacDougald OA, Hwang CS, Fan H, Lane MD. 1995. Regulated expression of the obese gene product (leptin) in white adipose tissue and 3T3-L1 adipocytes. Proc Natl Acad Sci USA 92: 9034-9037. 

  37. Frayn KN, Coppack SW, Fielding BA, Humphreys SM. 1995. Coordinated regulation of hormone sensitive lipase and lipoprotein lipase in human adipose tissue in vivo: implications for the control of fat storage and fat mobilization. Adv Enzyme Regul 35: 163-178. 

  38. Kim HJ, Yun YR, Song YB, Song YO. 2008. Ani-lipogenic effects of tannic acid in 3T3-L1 adipocytes and in high fat diet-fed rats. Food Sci Biotechnol 17: 219-445. 

  39. Ronnett GV, Kim EK, Landree LE, Tu Y. 2005. Fatty acid metabolism as a target for obesity treatment. Physiol Behav 85: 23-35. 

  40. Jeon T, Hwang SG, Hirai S, Matsui T, Yano H, Kawada T, Lim BO, Park DK. 2004. Red yeast rice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by down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Life Sci 75:3195-3203. 

  41. Rea S, James DE. 1997. Moving GLUT4: the biogenesis and trafficking of GLUT4 storage vesicles. Diabetes 46: 1667-1677. 

  42. Mead JR, Irvine SA, Ramji DP. 2002. Lipoprotein lipase: structure, function, regulation, and role in disease. J Mol Med 80: 753-769. 

  43. Langin D, Holm C, Lafontan M. 1996. Adipocyte hormone sensitive lipase: a major regulator of lipid metabolism. Proc Nutr Soc 55: 93-109. 

  44. Morimoto C, Kameda K, Tsujita T, Okuda H. 2001. Relationships between lipolysis induced by various lipolytic agents and hormone sensitive lipase in rat fat cells. J Lipid Res 42: 120-127. 

  45. Kim KB, Jang S. 2014. Anti-obesity effect of EGCG and glucosamine-6-phosphate through decreased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and cell cycle arrest in 3T3-L1 adipocytes. J Nutr Health 47: 1-11. 

  46. Choi BH, Ahn IS, Kim YH, Park JW, Lee SY, Hyun CK, Do MS. 2006. Berberine reduces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enzymes and inflammatory molecules of 3T3-L1 adipocyte. Exp Mol Med 38: 599-6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