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보건소 내원자의 대사증후군 발현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Assessment of Food·Nutrient Intakes among Adult Visitors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205 - 212  

정원훈 (원광보건대학 경호스포츠학과) ,  진복희 (원광보건대학 임상병리학과) ,  황은희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과 전북지역 보건소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30대 이상 512명, 남녀 각각 271명, 241명을 대상으로 2001년 NCEP-A군TPIII Guideline과 WHO 아시아 태평양 비만기준을 적용하여 3가지 이상 증후를 가진 사람을 대사증후군으로 판정하였다. 24시간 회상법과 Can-Pro 3.0을 이용하여 영양소섭취량을 구하여 2010 한국인의 영양 섭취기준을 적용하여 에너지섭취량은 에너지필요추정량,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섭취량과 비교하였으며 권장섭취량이 정해지지 않은 영양소는 충분섭취량과 각각 비교하였다. 식품군별 섭취량과 섭취식품군 다양성(dietary diversity score, DDS), 1일 섭취식품가짓수(dietary variety score: DVS), 식품군별 섭취유형(GMVDF)을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으로 판명된 사람은 158명(30.9%)으로 남자 89명(32.8%), 여자 69명(28.6%)으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 요인 중에서 발현비율이 가장 높은 지표는 허리둘레로 40.5%였으며, 허리둘레>고혈압>고중성지질혈증>저HDL-콜레스테롤혈증>고혈당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자 대사성 증후군은 곡류, 당류, 채소류, 육류, 유지류, 총 식품섭취량이 많았고, 여자 대사증후군군은 감자 및 전분류, 두류, 채소류, 음료류, 조미료류, 총 식품섭취량이 비대사증후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총 식품섭취량에 대한 식물성식품량 비율은 74.4%~78.2%였다. DDS의 평균값은 3.82~4.04로 비대사증후군과 대사증후군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DVS는 남자비대사증후군 16.3${\pm}$3.5, 남자대사증후군 19.4${\pm}$3.7, 여자 비대사증후군 15.2${\pm}$3.3, 여자대사증후군 17.0${\pm}$3.8로 대사증후군군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GMVDF 유형에서 남자는 비대사증후군에서는 11101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군은 모두 11111 유형이 가장 많아 30.7%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11101 유형, 01111 유형 순이었다. 대사증후군의 영양소섭취가 비대사증후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남자는 열량, 지방, 콜레스테롤이었고 여자는 열량, 지방, 엽산이었으며, 남자 비대사증후군의 식이섬유소 섭취량이 19.0g으로 대사증후군 17.6 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201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한 권장섭취량 이상 섭취한 영양소는 단백질, 인, 철분, 나트륨,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 비타민 E, 아연이었고, 권장섭취량보다 부족하게 섭취한 영양소는 칼슘, 식이섬유소, 칼륨, 비타민 $B_2$, 비타민 C였다. 비대사증후군에 비하여 대사증후군의 식품섭취량, DDS, DVS가 높아 식사의 질이 높은 것처럼보이나 동물성식품 섭취량, 지방, 콜레스테롤은 많고 식이섬유소는 부족한 식사를 하여 대사증후군을 일으키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조사는 서울과 전북지역의 2개 보건소 건강검진센터에 방문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제한은 있으나 대사증후군자의 발현 유형과 식품섭취 및 영양소섭취량을 알아봄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감소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기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and assess nutrient intake level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MS risk facto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12 adults consisting of 271 men and 241 women aged 30 and over, who visited a public health center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보건소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유병율과 식품군별 섭취, 1일섭취식품가짓수, 5가지식품군의 섭취유형, 영양소의 섭취실태를 알아보아 대사증후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건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에서 정의한 대사증후군이란? 이와 같이 여러 심혈관계 위험인자 등이 군집해서 나타나는 경우를 1988년 Reavan이 ‘Syndrom X’라고 명명한데서 (2) 시작된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S)’이라는 용어는 1998년 WHO에서 복부비만, 고혈당증, 고혈압, 고중성지질혈증, 저HDL-콜레스테롤증 중 3가지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비만기준으로 남자는 허리둘레 90 cm, 여자는 80 cm 이상, 수축기혈압 130 mmHg 이상, 이완기 혈압 85 mmHg 이상, 공복혈당 110 mg/dL 이상, 혈청중성지질 농도 150 mg/dL 이상,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남자 40 mg/dL, 여자 50 mg/dL 미만 중 3개 이상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으로 판정하고 있다(3).
보건소는 어떤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 이러한 보건의료의 발전과 건강에 대한 주민들의 높은 관심으로 보건소에서 고혈압, 비만, 당뇨, 금연, 금주, 저염식사등 여러 건강증진 및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에서 30% 이상 발현되고 있는 대사증후군예방 및 개선을 위한 사업이 실시되고 있으나 일부지역 대사증후군환자의 생활습관과 영양상태 연구(19)와 정신건강과 관련된 보고(20)뿐 거의 없는 실정이다.
대사증후군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대사증후군 분류기준은 2001년 NCEP-A군TPⅢ Guideline(20)과 WHO 아시아 태평양 비만기준을 적용하여(21) 허리둘레 남자는 90 cm, 여자는 80 cm 이상, 수축기혈압 130 mmHg, 이완기 혈압 85 mmHg 이상, 공복혈당 110 mg/ dL 이상, 혈청중성지질 농도 150 mg/dL 이하, 고밀도 콜레스테롤 남자는 40 mg/dL, 여자는 50 mg/dL 미만 중 3개 이상 해당되면 대사증후군(MS)으로, 2개 이하 가진 사람은 비대사증후군(non MS)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Ford ES, Giles WH, Dietz WH. 2002.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87: 356-359. 

  2. Reaven GM, Allen EG. 1988. Identifies the acronym CHAOS as an abbreviation for coronary artery disease, hypertension, atherosclerosis, obesity, and stroke. Poster presented at the Chronic Fatigue Syndrome Conference in Sydney, Australia. February 12-13. p 2-5. 

  3. WHO/IASO/IOTF.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d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Report on 201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Korea. p 53-5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Report on 200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 

  6. Park JA, Yoon JS. 2005.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in subjects with obesity or hyperglycemia classifie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Nutr 38: 672-681. 

  7. Choi MG, Jun YS, Bae YJ, Seung JJ. 2007.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of adult men an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11-317. 

  8. Park JS, Park ES. 2008.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nutrient intakes of obese middle school student in Korea-focused on Namwon city Jeonbuk. Korean J Human Ecol 17: 159-170. 

  9. Yoo HJ, Kim YH.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 Nutr 41: 510-517. 

  10. Chung JE. 2007. Association of total sugar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40: 29-38. 

  11. Cho SS, Kim UY. 2007. Sugar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Nutr 40: 39-49. 

  12. Lim HS, Kim SK. 2008. Comparative of the nutritional status correl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with metabolics syndromes. Korean J Nutr 41: 327-340. 

  13. Lee MS, Kang HJ, Oh HS, Pack YM, Choue RW, Park YY, Choi TI. 2008. Effect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ealth promotion; twelve-weeks of nutrition counseling has positiv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46-61. 

  14. Kim JI. 2009. Factors affection matabolic syndrome in rural community.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 81-92. 

  15. Kim HS, Oh JA. 2007. Comparison of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n obesity vs. 40s-50s females. J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53-458. 

  16. Ryu SY, Kim KS, Park J, Kang MG, Han MA. 2008. Serum ferritin and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some Korean rural residents. J Prev Med Public Health 41: 115-120. 

  17. Park SY, Yang YJ, Kim Y. 2011.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 ubiquitous healthcare (u-health) service on metabolic syndrome in male workers. Korean J Nutr 44: 231-242. 

  18. Lee CB. 2003.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al program and role of the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Society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217-221. 

  19. Lee SY. 2008. The study of the life-style and nutritive conditions of metabolic syndrome patients who visit public health centers at Iksan districts.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20. Gang BK. 2010.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with mental health in visitor of public health center.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2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2002.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Third report. Circulation 106: 3143-3421. 

  22.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iegler RG,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1976-1980. J Am Diet Assoc 91: 1526-1531. 

  2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 3.0. 

  2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5. Koo SS. 2004.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adults. M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26. Lee KH. 2007. Preval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ion with risk factors of brain. CVD disease in research male worker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7. Chai HJ, Hong H, Kim HS, Lee JS, Yu CH. 2008. A study o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weekday and weekend among high school boys in Seoul. Korean J Nutr 41: 539-549. 

  28. Yu HH. 2001. A study of the dietary pattern, lifestyle and dietary quality among the elderly in the Jeonju area.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29. Kim HY, Kang MH, Cho MK. 2008. Nutritional Status Assessment. Shinkwang Public Company, Seoul, Korea. p 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