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복숭아 유과의 품종별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nripe Korean Peaches According to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221 - 226  

김다미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인자 (연기군 농업기술센터)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숭아 유과의 이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복숭아 유과과육의 품종에 따른 성분 함량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용택골드, 천중도백도, 마도카, 몽부사, 장택백봉, 홍백)의 외형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마도카가 가장 크고 몽부사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몽부사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장택백봉 가장 높아 조단백 함량이 가장 낮은 마도카와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지방 및 조탄수화물 함량에서는 품종 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조회분 함량은 마도카에서 0.69%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의 pH를 측정한 결과 다른 품종과 비교하여 천중도백도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실험 결과에서는 홍백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당도를 나타냈다. 색도 중 L값은 장택백봉에서 가장 높았고, a값은 전체적으로 -5 이하의 음의 값을 보이며 홍백에서 가장 높았으며, b값은 마도카에서 가장 높았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의 경도는 홍백, 장택백봉, 천중도백도, 마도카, 용택골드, 몽부사 순으로 전반적으로 백도가 황도에 비해 높은 경도를 보였다. Vitamin C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품종에 따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6.34%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 가공품 및 식품산업 소재로 사용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현재 복숭아 유과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산업적 가치가 높다 사료되므로, 복숭아 유과의 기능성 및 생리활성 규명 등을 통한 미이용 폐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investigation of a possibility as a useful functional material, 6 cultivars (Takinosawa Gold, Kawanakawase Hakuto, Madoka, Yumefuji, Nagasawa Hakuho, Hong Bak) of Prunus persica L. Batsch were studied at unripe stage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농가에서 기호성 저하 등에 의해 폐기물로 처리되어 왔던 복숭아 유과 6품종을 채취하여 품종간의 영양 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비교·분석하고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가공이용 가능성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Different letters (a-c) within a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 2)Different letters (a-d) within a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숭아는 재배과정에서 열매의 크기를 크고 고르게 하고 품질을 높여주기 위해 어떻게 적과하는가? 2011년 재배면적은 2010년에 비해 6% 증가한 1만 4,795 ha로 전망된다(5). 그러나 복숭아는 재배과정에서 열매의 크기를 크고 고르게 하고 품질을 높여주기 위해 매년 4월 초순부터 5월 초순에까지 3~4회에 걸쳐 적과를 하며, 전체 과실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적과된 복숭아 유과는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적과 시 발생하는 복숭아 유과는 성숙과와 비교하여 페놀 함량, 섬유소, 비타민 등에 많은 차이가 있어(6) 생리활성에서도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복숭아의 성분은? Batsch)는 장미과(Rosaceae) 자두속(P runus) 복숭아아속(Amygdalus)에 속하는 온대 낙엽성 과수로 대표적인 여름과일이다.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며 주석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말산와 개미산, 초산, 타르타르산 등의 에스테르와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및 펙틴 등도 풍부하다. 과육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아스파르트산 함량이 높다(1-3).
복숭아의 근연종은 어떤 것이 있는가? 과육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아스파르트산 함량이 높다(1-3). 복숭아의 근연종으로는 P. kansuenisis Rehd.(감숙도, 모도), P. davidiana(Carr.) Franch.(산도), P. mira Koehne(광핵도, 서장도), P. ferganensis(Kost. et Rjab) Kov. et Kost(신강도, 대완도)가 있다. 국내 육성 품종으로는 백미조생, 원봉조생, 월미복숭아, 신백도 등을 포함하여 14여종이 있으며, 최근 도입된 품종으로는 이즈미백도, 일천백봉, 몽부사, 장택백봉 등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HB, Yang CB, Yu TJ.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I). Korean J Food Sci Technol 4: 36-43. 

  2. Lee DS, Woo SK, Yang CB.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34-139. 

  3. Song JH, Son MA, Kim MH. 1992. Comparison of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polygalacturonase activity in peach types. Korean J Food & Nutrition 5: 111-115. 

  4. Click! Select the cultivar of peaches in the 21st century. 2002.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B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yeonggi-do, Korea. 

  5. www.krei.re.k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tatistics, Seoul, Korea. 

  6. Park YG, Choi IU, Kim HM, Kim SR, Park MW, Cha HS, Choi HD, Suk HM, Kang YH. 1999.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unripe apples. M.A.F. Report. p 23-47. 

  7. Pressey R, Hinton DM, Avants JK. 1971. Development of polygalacturonase activity and solubilization of pectin in peaches during ripening. J Food Sci 36: 1070-1073. 

  8. McCready RM, McComb EA. 1954. Pectic constituents in ripe and unripe fruit. J Food Res 19: 530-535. 

  9. Globerman H, Navok T, Chevion M. 1984. Haemolysis in a G6PD-deficient child induced by eating unripe peaches. Scand J Haematol 33: 337-341. 

  10. Lee JB, Chung HS. 2008.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eaches. Korean J Food Preserv 15: 79-83. 

  11. Kim HJ.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tive whitening compound from Prunus persica.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13.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4. Food Composition Table. koreanfood.rda.go.k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15. Jung GT, Ju IO, Yu YZ, Ryu J, Choi JS, Choi YG. 2003. Mycelial yield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thinned apple, pear, and peach on submerged culture. Biotech Bioprocess Engineering 8: 286-290. 

  16.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1989.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Nutr 18: 101-108. 

  17. Cho J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e and vinegar prepared by different peach cultivars. PhD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18. Lee JO, Lee SA, Kim MS, Hwang HR, Kim KH, Chun JP, Yook HS. 2008. The effects of low-dose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ed aprico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34-941. 

  19. Oh HH, Hwang KT, Kim M, Lee HK, Kim SZ. 2008.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spberry and black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38-743. 

  20.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21. Hong SP, Lim JY, Jeong EJ, Shin DH.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melon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 706-710. 

  22. Seo JS, Hwang YS, Chun JP. 2009. Effect of postharvest treatments on fruit quality of 'Hong Bak' peach during shelf life. Jour Agric Sci 36: 147-158. 

  23. Cascales AI, Costell E, Romojaro F. 2005. Effects of the degree of maturit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attributes of peach (Prunus persica) cv. Caterin. Food Sci Tech Int 11: 345-352. 

  24. Lee SA, Kim KH, Kim MS, Park NK, Yook HS. 2008.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f a maesil (Prunus meme ) treated with low levels of gamma ray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989-996. 

  25. Jung GT, Ju IO, Ryu J, Choi JS, Choi YG. 2003. Studies on manufacture of wine using apricot. Korean J Food Preserv 10: 493-497. 

  26. Lee SA, Kim KH, Kim MS, Park NK, Yook HS. 2008.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maesil (Prunus mume ) treated with low levels of gamma ray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989-996. 

  27. Kim MS, Kim KH, Yook HS. 2009.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cv Dangeum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64-371. 

  28. Gil MI, Tomas-Barberan FA, Hess-Pierce B, Kader AA. 2002. Antioxidant capacities, phenolic compounds, carotenoids, and vitamin C contents of nectarine, peach, and plum cultivars from California. J Agric Food Chem 50: 4976-4982. 

  29. Padayatty SJ, Katz A, Wang Y, Eck P, Kwon O, Lee JH, Chen S, Corpe C, Dutta A, Dutta SK, Levine M. 2003. Vitamin C as an antioxidant: evaluation of its role in disease prevention. J Am College Nutr 22: 18-35. 

  30. Yang YT, Kim MS, Hyun KH, Kim YC, Koh JS. 2008. Chemical constituents and flavonoids in citrus pressed cake. Korean J Food Preserv 15: 94-98. 

  31. Jung JG, Yu Y, Kim SK, Lee HR, Choi JU, Lee SH, Ahn H, Chung SK. 2006. Quality and nutrition labeling study of domestic fruit (plum). Korean J Food Preserv 13: 669-674. 

  32. Park Y, Choi S, Kim SH, Han J, Chung HG. 2007.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Korean J Plant Res 20: 461-465. 

  33. Hong JY, Nam HS, Kim NW, Shin SR. 2006.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Elaeagnus multiflora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13: 228-233. 

  34. El Bulk RE, Babiker EFE, El Tinay AHE. 1997.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guava fruits during development and ripening. Food Chem 59: 359-399. 

  35. Ferreyra RM, Vina SZ, Mugridge A, Chaves AR. 2007. Growth and ripening season effects on antioxidant capacity of strawberry cultivar Selva. Scientia Horticulturae 112: 27-32. 

  36. Yun HJ, Lim SY, Hur JM, Jeong JW, Yang SH, Kim DH. 2007. Changes of functional compounds i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appl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Preserv 14: 239-246. 

  37. Choi NS, Park HJ, Chun HK, Kim MJ.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ape vinegar added drink grape vinega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3: 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