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오미자에서 분리된 야생 효모로 와인 제조 및 알코올 발효 시 영양요구성 조사
Preparation of Wine Using Wild Yeast from Dried Omija and Optimal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Alcoholic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254 - 260  

모혜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지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상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경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와인을 발효하였다. 건조 오미자를 YM배지에 분주하고 반복 배양하여 알코올 발효효모 OM-1 및 OM-2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은 $10^{\circ}Brix$로 보당한 오미자 추출액배지에서 10% 이상의 알코올을 생성하였으며, OM-2로 발효한 오미자와인의 관능적 특성이 OM-1으로 발효한 와인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분리균 OM-2는 0.1% urea, 0.02% mineral mixture를 첨가한 오미자 추출액배지에서 균체증식이 유의적으로 촉진되었으며 vitamin mixture는 urea가 첨가된 경우에만 약간의 증식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ed to ferment high quality wine by using Omija fruit. Dry Omija farmed and dried in the Moonkyung area was used in this study. The Omija was soaked in 10~40 folds of distilled water to extract water-soluble components and the fluid was filtered after soaking for 6 hours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오미자를 이용한 고품질의 오미자 와인을 제조하기 위해 오미자로부터 알코올 발효용 효모를 분리한 후 그들의 발효특성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 시장성을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오미자를 이용한 고품질의 오미자 와인을 제조하기 위해 오미자로부터 알코올 발효용 효모를 분리한 후 그들의 발효특성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 시장성을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라는 명칭은 어디에서 유래되었는가? 성숙된 열매를 건조한 것을 현급, 회습, 수신, 육정제, 금령자, 홍내소, 경저라고도 하였다(2). 오미자는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짠맛의 다섯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그 명칭이 유래된 것으로 껍질과 과육은 신맛과 단맛, 과실의 인은 매운맛과 쓴맛을 주며, 전체적으로는 짠맛을 주기도 한다(3). 이중 가장 주된 맛은 신맛으로 과실, 과육, 종자에 citr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4).
오미자 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어느 지방에 주로 분포하는가? 오미자 나무(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목련과에 속하는 자생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중북부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6~8월에 꽃이 피고 9~10월에 종실(오미자)을 맺는다. 성숙된 오미자는 심홍색을 띄우며 서리가 내린 후 채취하여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1).
과실주는 최근 주원료에 따라 어떤 종류가 개발되고 있는가? 과실주는 과일의 당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알코올로 변환된 발효음료로서 재료 특유의 향과 색을 지닌다. 최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이 포도주이며, 최근 주원료에 따라 무화과주, 사과주, 복숭아주, 매실주, 수박주, 곶감주, 딸기주, 배주, 감귤주 및 머루주 등이 개발되고 있다(14-23). 이들 또한 최근 국민 소득이 증가 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알코올 도수가 높은 독주의 소비가 감소되고, 포도주를 비롯한 저도주의 판매가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오미자 와인이 개발되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 Jeong PH, Kim YS, Shin DH. 2006.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69-474. 

  3. Kim JE, Chun HJ. 1990. A study on making jelly with omija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6: 17-24. 

  4. Lee JS, Lee SW. 1989.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lipid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Culture 4: 177-179. 

  5. Zhu M, Lin KF, Yeung RY, Li RC. 2000.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on phase I drug metabolism using a $CCl_4$ intoxication model. J Ethnopharmacol 67: 928-935. 

  6. Lee CJ, Cho HJ. 1996.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 of mungbean starch on the quality of omija-pyun. Korean J Food Culture 11: 53-59. 

  7. Kang KC, Park JH, Baek SB, Jhin HS, Rhee KS. 1992. Optimization of beverages prepara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74-81. 

  8. Oh JK, Kim BJ, Shin YO, Jung HJ. 2002. The efficacy of sports drink by using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Phys Educ 41: 617-633. 

  9. Kim KI, Nam JH, Kwon T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2. 

  10. Jeon HS, Kim HJ, Jo SB. 2003. Effects of selected stabilizers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pigment ext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fructus). Korean J Food Culture 18: 475-482. 

  11. Mok CY. 2005. Quality improvement of spray-dried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tea powder by roasting of omija and by adding of grape juice. Food Eng Prog 9: 125-132. 

  12. Mok CY, Song KT, Na YJ, Park JH, Kwon YA, Lee SJ. 2001. Effects of roasting and grating on extraction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Food Eng Prog 5: 58-63. 

  13. Lee SJ, Kwon YA, Mok CK, Park JH. 2000. Interfacial properties of spray-dried omija (fruit of Schizandra chinensis) tea. Food Eng Prog 4: 51-54. 

  14. Jeong MR, Cha JD, Yun SI, Han JH, Lee YE. 2005. Manufacturing of wine with Korean figs (Ficus carica L.) and quality improvement by adding fig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112-118. 

  15. Jang JS, Han PJ. 1962. Studies on brewing of apple wine with faulty appl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 Report. p 93-98. 

  16. Cho JW, Kim JK, Kim ID, Kim SD. 2000. Characteristics of peach wine prepared by using different cultivar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84-88. 

  17. Son SS, Ji WD, Chung HC. 2003. Optimum condition for alcohol fermentation using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39-543. 

  18. Hwang Y, Lee KK, Jung GT, Ko BR, Choi KC. 2004. Manufacturing of wine with waterme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0-57. 

  19. Woo KL, Lee SH. 1994. A study on wine-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04-212. 

  20. Jeong EJ, Kim YS, Jeong DY, Shin DH. 2006. Yeast selection and comparison of sterilization method for making strawberry wine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its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42-647. 

  21. Oh YJ. 1995. Effect of culture temperature and nutritional components on the production of ethanol using Pyrus serotina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4124.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582-586. 

  22.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003. Development of processed fruit products for maximizing consumption of domestic fruit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search Report. p 320-456. 

  23. Choi SY, Cho HS, Kim HJ, Ryu CH, Lee OJ, Sung NJ. 2006.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Korean J Food & Nutr 19: 311-317. 

  24. Moon YJ, Lee MS, Sung CK. 200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Korean J Food & Nutr 18: 302-308. 

  2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910-917. 

  26.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2003.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7. Jung GT, Ju IO,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8. Yang HS, Lee JM, Song KB. 1982. Anthocyanins in cultured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and its stability. J Korean Agric Chem Soc 25: 35-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