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불일치 확장제품의 광고전략 : 성인과 아동의 차이를 중심으로
Advertising Strategies of Incongruent Extension Product : Focused on Difference of Adult an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2, 2012년, pp.420 - 428  

허종호 (서울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박승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모두 성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이었을 뿐만 아니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 역시 정교화 광고와 관련성 광고 2가지 유형으로 단순화시켰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에게까지 확대하고,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은 확장제품의 광고에서 제시되는 정보의 단서에 따라 정교화, 관련성, 정교화-관련성 광고 3가지 유형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불일치 브랜드확장 상황에서 연령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따라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성인의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는 정교화-관련성 광고에서 가장 호의적이었다. 반면에 아동의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는 정교화 광고에서 가장 호의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무적이고 이론적인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researches on advertising type of extension product have limitations in focusing on adult and simplifying advertising type of extension product as elaborational/relational ad. This study expands to children and subdivides advertising type of extension product by elaborational/relational/e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에게까지 확대하고,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은 확장 제품의 광고에서 제시되는 정보의 단서에 따라 정교화, 관련성, 정교화-관련성 광고 3가지 유형으로 보다 세분 화하여 불일치 브랜드확장 상황에서 연령과 광고유형 에 따라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에게까지 확대하고,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은 확장 제품의 광고에서 제시되는 정보의 단서에 따라 정교화, 관련성, 정교화-관련성 광고 3가지 유형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불일치 브랜드확장 상황에서 연령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따라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해당 연령 집단별로 효과적인 광고전략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가설은 연령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 간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정 되었다. 아래의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일치 확장 제품의 평가에 있어서 연령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 간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왔다(F(2, 144) = 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에게까지 확대하고,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은 확장 제품의 광고에서 제시되는 정보의 단서에 따라 정교화, 관련성, 정교화-관련성 광고 3가지 유형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불일치 브랜드확장 상황에서 연령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따라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해당 연령 집단별로 효과적인 광고전략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이 서로 불일치하는 브랜드확장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초기의 연구에서는 기존에 잘 알려진 모브랜드에 대한 품질 단서를 제공하는 것은 정보의 중복 측면에서 불필요하며 오히려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속성 정교화를 하는 것이 모브랜드로부터의 부정적인 연상 전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으로 관련성 광고보다는 정교화 광고가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1][5][6]. 하지만 모브랜드와 불일치하는 제품범주로 브랜드확장이 이루어졌더라도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으로 항상 정교화 광고가 효과적이라고 단정 짓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문이 제기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후속 연구들에서는 모브랜드와 확장제품 간의 불일치성 정도[7], 브랜드 개념과 제품범주 간의 관계[8], 조절초점[9], 브랜드 애착 수준[10] 등과 같이 불일치 확장제품의 광고유형 효과를 조절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어떤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가?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모두 성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이었을 뿐만 아니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 역시 정교화 광고와 관련성 광고 2가지 유형으로 단순화시켰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에게까지 확대하고,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은 확장제품의 광고에서 제시되는 정보의 단서에 따라 정교화, 관련성, 정교화-관련성 광고 3가지 유형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불일치 브랜드확장 상황에서 연령과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따라 불일치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브랜드확장 시 주로 활용되는 광고유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브랜드확장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는 확장제품의 성 공을 위한 모브랜드와 확장제품간의 적합성 중심의 연구에서 출발하여[1-3], 최근에는 이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마케팅믹스 요소들, 특히 광고를 활용하여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들이 전개되고 있다[3]. 선행 연구에 의하면 브랜드확장 시 주로 활용되는 광고유형은 확장 제품 자체의 우월한 속성이나 혜택을 강조하는 ‘정교화 광고(elaborational advertising)’와 모브랜드와 확장제 품간의 유사성을 강조하는 ‘관련성 광고(relational advertising)’로 구분할 수 있다[5].
모브랜드 및 확 장제품의 선정 시 고려한 기준은 무엇인가? 모브랜드 및 확 장제품의 선정 시에는 다음의 두 가지 기준을 고려하였다. 첫째, 모브랜드와 확장제품은 성인과 아동 모두에게 있어 친숙해야 한다. 둘째, 확장제품은 모브랜드와 지각 된 적합성이 낮은 불일치 확장제품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마케팅 박사학위 소지자 3인의 전문가와 심층면 접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 A. Aaker and K. L. Keller,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Vol.54, No.4, pp.27-41, 1990. 

  2. C. W. Park, S. Milberg, and R. Lawson,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s: The Role of Product Feature Similarity and Brand Concept Consistenc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8, No.3, pp.185-193, 1991. 

  3. 김기석, 신봉섭, "모브랜드 제품-확장브랜드 제품 간 유사성이 확장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프랜 차이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378-389, 2011. 

  4. 전성률, 박찬수, "지난 10년간 브랜드에 대한 국내 연구성과 검토와 향후 전개방향의 제언", 소비자학연구, 제21권, 제2호, pp.141-192, 2010. 

  5. 전성률, 은희성, "광고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상표확장 평가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42권, 봄호, pp.31-47, 1999. 

  6. 차유철, "광고가 부적합 확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19-140, 2003. 

  7. V. R. Lane, "The Impact of Ad Repetition and Ad Content on Consumer Perceptions of Incongruent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64, No.2, pp.80-91, 2000. 

  8. S. Bridges, K. Keller, and S. Soo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Brand Extensions: Enhancing Perceived Fit by Establishing Explanatory Links," Journal of Advertising, Vol.29, No.4, pp.1-11, 2000. 

  9. 이미영, "브랜드확장제품에 대한 태도에서 광고 유형과 조절적 동기의 효과 연구", 광고연구, 제 74권, 봄호, pp.61-87, 2007. 

  10. 이화연, 문철주, "브랜드 애착이 불일치 확장제품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14권, 제2호, pp.59-78, 2009. 

  11. J. U. McNeal, Kids as Customers: A Handbook of Marketing to Children. New York: Lexington Books, 1992. 

  12. M. Brucks, G. M. Armstrong, and M. E. Goldberg, "Children's Use of Cognitive Defenses Against Television Advertising: A Cognitive Response Approa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4, No.4, pp.471-482, 1988. 

  13. D. Gentner and C. Toupin, "Systematicity and Surface Similarity in the Development of Analogy," Cognitive Science, Vol.10, No.3, pp.277-300, 1988. 

  14. D. R. John and C. A. Cole, "Age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ocessing: Understanding Deficits in Young and Elderly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3, pp.297-315, 1986. 

  15. S. G. Paris, B. K. Lindauer, and G. L. Cox, "The Development of Inferential Comprehension," Child Development, Vol.48, No.4, pp.1728-1733, 1977. 

  16. S. Zhang and S. Sood, ""Deep" and "Surface" Cues: Brand Extension Evaluations by Children and Adul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9, No.2, pp.129-141, 2002. 

  17. J. Y. Kim, "Communication Message Strategies for Brand Extension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Vol.12, No.7, pp.462-476, 2003. 

  18. 신지아, 이세진, "브랜드확장 시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확장제품의 지각된 적합성, 광고유형, 브랜드 애착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 1호, pp.256-285, 2010. 

  19. 한국경제TV, 1인 자녀 증가로 키즈카페 매출도 고공행진 중, 2010.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