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초기 우식 병소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법랑질의 깊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고, 병소 내로의 레진 침투양상을 분석하며,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건전 법랑질에 대한 초기 우식 법랑질의 경도 백분율은 표층(5~40 ${\mu}m$) 64.6%, 병소본체(60~350 ${\mu}m$) 24.6%였으며,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병소의 경도 백분율은 72.1%로 나타났다. 5~350 ${\mu}m$의 전 깊이에서,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병소는 비처치 우식 병소보다 경도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정상 법랑질에 비해서는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FESEM 관찰 결과 탈회된 법랑질 내부로 비교적 균일하게 침투한 레진 테그가 관찰되었으며, 침투깊이는 433 ${\mu}m$(282-501)로 측정되었다. 열순환 처리 후 13개의 치아에서 미세누출이 관찰되지 않았고, 5개에서 병소 외측 절반, 2개에서 병소 내측 절반까지 미세누출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초기 우식 병소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법랑질의 깊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고, 병소 내로의 레진 침투양상을 분석하며,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건전 법랑질에 대한 초기 우식 법랑질의 경도 백분율은 표층(5~40 ${\mu}m$) 64.6%, 병소본체(60~350 ${\mu}m$) 24.6%였으며,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병소의 경도 백분율은 72.1%로 나타났다. 5~350 ${\mu}m$의 전 깊이에서,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병소는 비처치 우식 병소보다 경도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정상 법랑질에 비해서는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FESEM 관찰 결과 탈회된 법랑질 내부로 비교적 균일하게 침투한 레진 테그가 관찰되었으며, 침투깊이는 433 ${\mu}m$(282-501)로 측정되었다. 열순환 처리 후 13개의 치아에서 미세누출이 관찰되지 않았고, 5개에서 병소 외측 절반, 2개에서 병소 내측 절반까지 미세누출이 관찰되었다.
The concept of resin infiltration which was born in an innovative philosophy to arrest the incipient caries. However, the structural changes of resin infiltrated lesions have not yet explained completely. The liquid resin might contribute not only to maximizing the penetration but to deteriorating p...
The concept of resin infiltration which was born in an innovative philosophy to arrest the incipient caries. However, the structural changes of resin infiltrated lesions have not yet explained completely. The liquid resin might contribute not only to maximizing the penetration but to deteriorating physical stabil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some phys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resin infiltrated incipient carious lesions. With the specimen of resin infiltrated lesions, microhardness by nanoindentation in depth profile, morphology of resin tags were revealed after HCl dissolution, and degree of microleakage were assessed. The percentage of microhardness of surface layer and lesion body of untreated specimen to sound enamel was 64.6% and 24.6% respectively, while that of resin-infiltrated lesions was 72.1%,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resin tags observed under SEM had relatively homogeneous length of 433(282~501) ${\mu}m$ on the average. Among 20 specimens for microleakage assessment, 13 specimens showed no leakage while 5 and 2 showed leakage into outer and inner half of lesion respectively. It was thought the infiltrant resin penetrates deeply and homogeneously into lesion body and improves its hardness with relatively good physical stability.
The concept of resin infiltration which was born in an innovative philosophy to arrest the incipient caries. However, the structural changes of resin infiltrated lesions have not yet explained completely. The liquid resin might contribute not only to maximizing the penetration but to deteriorating physical stabil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some phys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resin infiltrated incipient carious lesions. With the specimen of resin infiltrated lesions, microhardness by nanoindentation in depth profile, morphology of resin tags were revealed after HCl dissolution, and degree of microleakage were assessed. The percentage of microhardness of surface layer and lesion body of untreated specimen to sound enamel was 64.6% and 24.6% respectively, while that of resin-infiltrated lesions was 72.1%,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resin tags observed under SEM had relatively homogeneous length of 433(282~501) ${\mu}m$ on the average. Among 20 specimens for microleakage assessment, 13 specimens showed no leakage while 5 and 2 showed leakage into outer and inner half of lesion respectively. It was thought the infiltrant resin penetrates deeply and homogeneously into lesion body and improves its hardness with relatively good physical stabili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방사선 사진 상 법랑질 내측까지 진행된 자연 우식 병소에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후, 병소와 레진 복합체의 특성에 대해 검토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1) Nanoindentation을 이용하여 법랑질의 깊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초기 우식 병소에 대한 infiltrant resin의 물리적 강화 효과를 평가하고, (2)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탈회 병소 내로의 레진 침투양상을 분석하며, (3) 열순환 후 입체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레진이 침투된 병소의 접착 내구성과 안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Infiltrant resin이 병소내로 깊고 균일하게 침투하더라도, 취약한 병소를 기계적으로 강화시키고, 미세누출 없이 장기적으로 유지되어야 infiltrant resin이 장기적인 항우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우식 병소에 infiltrant resin 을 침투시킨 후, 병소와 레진 복합체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병소 본체도 인공 우식과는 달리 자연 우식의 다공성 구조는 단백질, 탄수화물 같은 유기물질로 오염되어 있으며, 이 유기물질들은 레진의 침투를 방해 한다1). 따라서 구강 내에서 자연 발생한 백반양 초기 우식병소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조직학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인공 우식 병소로 실험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법랑질 초기 우식 병소에 저점도의 광중합 레진을 침투시켜 병소의 진행을 차단할 목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infiltrant resin을 이용하여, 이를 침투시킨 초기 우식 병소의 특성에 대해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방사선 사진 상 법랑질 내측까지 진행된 자연 우식 병소에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후, nanoindentation을 이용하여 법랑질의 깊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고, FE-SEM을 이용하여 탈회 병소 내로의 레진 침투양상을 분석하며, 열순환 후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안 방법
(1) Nanoindentation을 이용하여 법랑질의 깊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초기 우식 병소에 대한 infiltrant resin의 물리적 강화 효과를 평가하고, (2)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탈회 병소 내로의 레진 침투양상을 분석하며, (3) 열순환 후 입체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레진이 침투된 병소의 접착 내구성과 안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R군과 W군은 백반양 병소의 단면을 포함하도록 하여 모든 군의 시편을 2×2×3 mm 크기로 제작하였다.
60개의 치아 중 임의로 20개를 선택하였다. 주수 하에 저속의 다이아몬드 디스크(NTI-Kahla GmbH, Kahla, Germany)를 이용해 치근을 제거하고, 백반양 병소의 중심에서 치관의 근원심 방향으로 병소를 절단해 병소 단면이 드러나도록 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우식이 없는 인접 부위의 건전한 법랑질을 준비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우식이 없는 인접 부위의 건전한 법랑질을 준비하였다. 절단된 두 병소 중 하나의 시편에서 절단면에 바니시를 도포한 후, 아래의 방법대로 백반양 병소 표면에 resin infiltration을 시행하고, 바니시를 제거한 것을 R(resin infiltrated)군으로 분류하였다. 절단된 병소 중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시편을 W(white spot)군으로 분류하였다.
절단된 병소 중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시편을 W(white spot)군으로 분류하였다. 우식이 없는 인접 부위의 건전한 법랑질을 S(sound enamel)군으로 분류하였다(Fig. 1).
15% 염산을 2분간 적용하여 표층 법랑질을 제거해 병소 본체의 다공성 구조를 노출시키고, 30초간 세척 후 압축공기로 건조시켰다. 99% 에탄올을 30초간 적용하여 병소를 탈수시킨 후, 압축 공기로 건조시키고, infiltrant resin을 3분간 적용하여 병소 내부로 스며들게 하였다. 표면에 남아 있는 잉여 레진을 면구로 닦아내고, 40초간 광중합(G-lite, GC, Tokyo, Japan)을 시행하였다.
99% 에탄올을 30초간 적용하여 병소를 탈수시킨 후, 압축 공기로 건조시키고, infiltrant resin을 3분간 적용하여 병소 내부로 스며들게 하였다. 표면에 남아 있는 잉여 레진을 면구로 닦아내고, 40초간 광중합(G-lite, GC, Tokyo, Japan)을 시행하였다. 한 번 더 infiltrant resin을 1분간 적용하고, 잉여 레진 제거한 후,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4800 Hitachi,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침투 레진을 관찰하였다(×45~400).
400, 600, 1200 grit의 silicone carbide paper와 1/2, 1/4 ㎛의 수용성 다이아몬드 연마제(MetaDi®, Buehler Ltd., Lake Bluff, IL, USA)를 이용해 병소 절단면을 순차적으로 연마하였다.
입체현미경으로(×63) 병소 단면을 관찰하여 염색액 침투 정도를 평가하였다.
직경 5 ㎛의 압입자를 부착한 원자력 현미경(AFM, XE-100, Park Systems Corp, Suwon, Korea)을 이용해 병소의 단면을 관찰하며 연마 과정에서 발생한 시편의 결함부를 피해 압입을 시행하였다. 법랑질 표면에서 상아질 방향으로 병소의 단면을 따라 5, 20, 40, 60, 80, 100, 150, 200, 250, 300, 350 ㎛ 지점에서 압입을 시행하였다.
직경 5 ㎛의 압입자를 부착한 원자력 현미경(AFM, XE-100, Park Systems Corp, Suwon, Korea)을 이용해 병소의 단면을 관찰하며 연마 과정에서 발생한 시편의 결함부를 피해 압입을 시행하였다. 법랑질 표면에서 상아질 방향으로 병소의 단면을 따라 5, 20, 40, 60, 80, 100, 150, 200, 250, 300, 350 ㎛ 지점에서 압입을 시행하였다. 이 때 R군은 산부식에 의해 표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표면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때 R군은 산부식에 의해 표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표면을 기준으로 하였다. 각 깊이별로 5회 시행하였으며, 이 때 각 압흔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15 ㎛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다. 압입 시험 중에 측정하는 하중(P)과 그 때의 깊이(h)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loading-displacement 곡선을 작성하였다.
각 깊이별로 5회 시행하였으며, 이 때 각 압흔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15 ㎛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다. 압입 시험 중에 측정하는 하중(P)과 그 때의 깊이(h)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loading-displacement 곡선을 작성하였다.
는 최대압입하중, A는 접촉투영면적을 의미한다. 각 깊이별로 얻어진 다섯 개 값의 평균을 내어 각 깊이의 경도로 정하였다.
남은 40개의 치아 중 임의로 20개를 선택하고, 병소 주변 1 mm를 제외한 전 치면을 바니시로 피개하였다. 노출된 백반양병소에 resin infiltration을 시행하였다. 조작 편의성을 위해 레진을 침투시킨 병소 표면을 병소 주변 1 mm 부분까지 포함 하여 3 mm 두께의 복합레진으로 피개하였다.
노출된 백반양병소에 resin infiltration을 시행하였다. 조작 편의성을 위해 레진을 침투시킨 병소 표면을 병소 주변 1 mm 부분까지 포함 하여 3 mm 두께의 복합레진으로 피개하였다. 주수 하에 저속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해 복합레진이 부착된 병소 부분을 제외한 주변부 치질을 제거하고, 시편을 2N의 염산에 침지 시켜 남은 치질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두었다.
조작 편의성을 위해 레진을 침투시킨 병소 표면을 병소 주변 1 mm 부분까지 포함 하여 3 mm 두께의 복합레진으로 피개하였다. 주수 하에 저속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해 복합레진이 부착된 병소 부분을 제외한 주변부 치질을 제거하고, 시편을 2N의 염산에 침지 시켜 남은 치질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두었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2분간 초음파 세척을 시행하고 70, 80, 90, 100% 에탄올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건조시켰다.
주수 하에 저속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해 복합레진이 부착된 병소 부분을 제외한 주변부 치질을 제거하고, 시편을 2N의 염산에 침지 시켜 남은 치질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두었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2분간 초음파 세척을 시행하고 70, 80, 90, 100% 에탄올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건조시켰다.
각 시편을 aluminium stub에 고정하고 osmium sputter(Pure Osmium Coater, Neoc-AN, Meiwa Shoji Co. Ltd., Kyoto, Japan) 이용해 osmium coating을 시행하였다.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4800 Hitachi,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침투 레진을 관찰하였다(×45~400).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4800 Hitachi,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침투 레진을 관찰하였다(×45~400). 레진의 침투 양상을 평가하고, 표면에서부터 레진이 가장 깊이 침투한 부분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레진의 최대 침투 깊이로 하였다.
에 따라 미세누출 실험을 하였다. 병소에 resin infiltration 시행하고, 37℃ 증류수에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Thermocycling system(KD-TCS30, Kwang-duk F.A. Korea)을 이용하여 열순환 처리하였다. 5, 55℃ 증류수에서 15초간 계류시켜 500회 순환하였다.
시료 치아의 치근단을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 밀폐하고, 백반양 병소 주변 1 mm의 치면을 제외한 모든 치면을 바니시로 2회 피개하였다. 1% 메틸렌 블루 용액에 24시간동안 침지시키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백반양 병소의 중앙을 따라 근원심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입체현미경으로(×63) 병소 단면을 관찰하여 염색액 침투 정도를 평가하였다. 염색액의 최대 침투 깊이를 기준으로 다음의 scoring system을 이용해 분류하였다.
두 명의 검사자가 절단된 한 쌍의 시편을 평가하여 각 시편은 4번 평가되었다. 그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각 시편의 점수로 정 했다.
그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각 시편의 점수로 정 했다. 검사자내 신뢰도 검사를 위해 1주 후 미세누출을 재검사 하였다.
본 연구는 법랑질 초기 우식 병소에 저점도의 광중합 레진을 침투시켜 병소의 진행을 차단할 목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infiltrant resin을 이용하여, 이를 침투시킨 초기 우식 병소의 특성에 대해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방사선 사진 상 법랑질 내측까지 진행된 자연 우식 병소에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후, nanoindentation을 이용하여 법랑질의 깊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고, FE-SEM을 이용하여 탈회 병소 내로의 레진 침투양상을 분석하며, 열순환 후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Infiltrant resin은 ICON®(DMG, Hamburg, Germany)을 사용하였다.
표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해 초기 우식 병소가 법랑질 내측 1/2까지 이환되어 있으며, 입체현미경(×20, SZ-CTV, Olympus, Japan)으로 표면 관찰 시 와동이나 결함이 없는 치아 60개를 선택하였다.
인접면에 비와동성 초기 우식 병소-ICDAS code218)-를 보이는 교정 목적으로 발거된 소구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해 초기 우식 병소가 법랑질 내측 1/2까지 이환되어 있으며, 입체현미경(×20, SZ-CTV, Olympus, Japan)으로 표면 관찰 시 와동이나 결함이 없는 치아 60개를 선택하였다.
1% thymol 용액에 보관하였다. 치아를 임의로 분류하여 20개의 치아는 경도 측정을 위해 사용하였고, 다른 20개의 치아는 레진 침투상 관찰, 나머지 20개는 미세누출 평가에 사용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치아들은 사전 동의를 구한 환자들로부터 수집된 것들이었다.
치아를 임의로 분류하여 20개의 치아는 경도 측정을 위해 사용하였고, 다른 20개의 치아는 레진 침투상 관찰, 나머지 20개는 미세누출 평가에 사용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치아들은 사전 동의를 구한 환자들로부터 수집된 것들이었다.
60개의 치아 중 임의로 20개를 선택하였다. 주수 하에 저속의 다이아몬드 디스크(NTI-Kahla GmbH, Kahla, Germany)를 이용해 치근을 제거하고, 백반양 병소의 중심에서 치관의 근원심 방향으로 병소를 절단해 병소 단면이 드러나도록 하였다.
주수 하에 저속의 다이아몬드 디스크(NTI-Kahla GmbH, Kahla, Germany)를 이용해 치근을 제거하고, 백반양 병소의 중심에서 치관의 근원심 방향으로 병소를 절단해 병소 단면이 드러나도록 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우식이 없는 인접 부위의 건전한 법랑질을 준비하였다. 절단된 두 병소 중 하나의 시편에서 절단면에 바니시를 도포한 후, 아래의 방법대로 백반양 병소 표면에 resin infiltration을 시행하고, 바니시를 제거한 것을 R(resin infiltrated)군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 우식 병소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이는 구강 내 환경에서 치태와 세균이 생성한 산의 공격으로 발생한 초기 자연 우식이 인공 우식 병소와는 조직학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데이터처리
SPSS 소프트웨어(SPSS for Windows 12.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군의 병소 깊이별 경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군의 병소 깊이별 경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 하여 각 군별로 법랑질 깊이에 따른 경도를 비교 분석하고, 법랑질 깊이별로 각 군 간의 경도를 비교 분석해 통계학적 유의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미세누출 평가의 검사자내, 검사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Cohen's Kappa 통계를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Nanoindentation을 통해 얻어진 load-displacement 자료를 바탕으로 Oliver and Pharr19)의 식(1)을 이용하여 경도 값을 계산하였다.
남은 20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ISO(TR11405) 규정20)에 따라 미세누출 실험을 하였다. 병소에 resin infiltration 시행하고, 37℃ 증류수에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Thermocycling system(KD-TCS30, Kwang-duk F.
성능/효과
FE-SEM 관찰 결과 쐐기 모양의 우식 병소를 따라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한 infiltrant resin이 관찰되었다(Fig. 4(a)).
경도 평가 결과, S군의 경도는 모든 깊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5 ㎛ 깊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법랑질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경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일부 시편에서 350 ㎛ 깊이까지 레진이 침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FE-SEM을 이용하여 레진 침투깊이를 측정한 실험에서도 레진이 350 ㎛ 깊이까지 침투하지 못한 병소가 관찰되어 경도 평가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레진이 병소 내로 완전하게 침투하지 못한 것은 불완전한 수분 제거(특히 병소 기저부), 병소의 하부에 갇힌 공기, 병소 내 탄수화물, 단백질 같은 유기질의 오염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7,15,27,28).
법랑질 깊이 별로 각 군간 경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깊이에서 각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우식 병소는 병소 본체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강한 표층에서도 건전 법랑질에 비해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법랑질 깊이 별로 각 군간 경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깊이에서 각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우식 병소는 병소 본체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강한 표층에서도 건전 법랑질에 비해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레진을 침투시킨 병소는 전 깊이에서 경도가 우식 병소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즉, 우식 병소는 병소 본체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강한 표층에서도 건전 법랑질에 비해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레진을 침투시킨 병소는 전 깊이에서 경도가 우식 병소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상대적으로 건전한 병소 표층과 비교하여도 레진이 침투한 병소의 경도가 유의하게 큰 것은 주목할 만하다.
Infiltrant resin 의 병소 진행 억제 능력은 레진의 침투깊이와 높은 연관성이 있으며2), 또한 완전한 봉쇄를 위해서는 레진의 깊은 침투 뿐 아니라 본체 내의 균일한 레진층이 필수적이다30). 병소 내로 침투된 레진을 FE-SEM으로 관찰한 결과, infiltrant resin이 쐐기 모양의 우식 병소를 따라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침투함을 알 수 있었다. 더 고배율에서 관찰한 결과 병소 내로 비교적 곧고 균일 하게 침투한 원통형의 레진 테그가 관찰되었다.
병소 내로 침투된 레진을 FE-SEM으로 관찰한 결과, infiltrant resin이 쐐기 모양의 우식 병소를 따라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침투함을 알 수 있었다. 더 고배율에서 관찰한 결과 병소 내로 비교적 곧고 균일 하게 침투한 원통형의 레진 테그가 관찰되었다. 테그가 원통형으로 관찰되는 것은 주로 결정의 중심에서 탈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 infiltrant resin의 침투깊이는 평균 433(282~501) ㎛로 측정되었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하여 레진의 침투깊이를 측정한 Meyer-Lueckel과 Paris31)의 연구에서는 500 ㎛보다 깊은 초기 우식 병소에서 652(631-807) ㎛로 보고하였다.
첫째, 본 실험에서 이용한 시편에 정지 병소가 많이 포함되어 두꺼운 표층이 불완전하게 제거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29). 둘째, 두 실험에서 infiltrant resin의 적용 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레진의 침투 시간이 길수록 레진이 깊게 침투하므로 두 연구의 침투깊이에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미세누출 평가 결과 13개(65%)의 병소에서 미세누출이 발생하지 않았고, 7개(35%)의 시편에서 미세누출이 발생하여, 비교적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세누출이 발생한 시편의 수가 적었던 것은 레진을 두 번 적용했기 때문일 것이라 예상된다.
상아질까지 일부 진행된 두 병소에서 미세누출이 많았지만, 이결과 만으로 단순히 병소가 깊어서 미세누출이 많이 일어났다고 결론내릴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편의 수가 적었고, 또 많은 연구에서 resin infiltration은 상아질 외측 1/3까지 이환된 병소에서도 항우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깊은 우식 병소와 미세누출의 관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경도 측정 실험과 레진 침투상 평가에서 병소 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레진이 불완전하게 침투한 시편이 다소 관찰되었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치아에 표층이 두꺼운 병소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일 것이라 추측된다. 상대적으로 다공성이 낮은 표층은 장애물로 작용하여 레진 침투과정을 방해하므로 성공적인 레진의 침투를 위해서는 표층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본 연구 결과 infiltrant resin은 법랑질 초기 우식 병소 내부로 비교적 깊고 균일하게 침투하여 우식 법랑질의 물성 향상에 기여하며 비교적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소 침습 치의학의 개념에서, resin infiltration은 재광화가 부적절한 초기 우식의 후기 단계에서 와동 삭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1. 건전 법랑질에 대한 초기 우식 법랑질의 경도 백분율은 표층(5~40 ㎛) 64.6%, 병소본체(60~350 ㎛) 24.6%였으며,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병소의 경도 백분율은 72.1%로 나타났다.
4. 열순환 처리 후 13개의 치아에서 미세누출이 관찰되지 않았고, 5개에서 병소 외측 절반, 2개에서 병소 내측 절반까지 미세누출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infiltrant resin은 법랑질 초기 우식 병소 내부로 비교적 깊고 균일하게 침투하여 우식 법랑질의 물성 향상에 기여하며 비교적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후속연구
60 ㎛의 깊이에서는 양 층의 중간 수준 정도의 경도를 보이면서, 양 층의 경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일부 시편의 경우 표층 두께가 두꺼워진 정지 병소가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17). 본 연구에서 사용된 치아는 각 병소의 개별적 임상 병력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로 병소의 활성 상태는 평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편의 수가 적었고, 또 많은 연구에서 resin infiltration은 상아질 외측 1/3까지 이환된 병소에서도 항우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깊은 우식 병소와 미세누출의 관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레진이 완전하게 침투된 병소만 우식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지지할 근거가 없고, 병소 표면에서 산의 공격으로부터 병소를 봉쇄하는 열구전색제도 우식 진행 예방에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다28). 따라서 표층의 완전한 제거를 위해 산부식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특히 기대 수명이 긴 소아 청소년의 영구치에서 침습적 치료시기를 연기하여 영구치를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가치 있는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다 장기적인 infiltrant resin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또한 미세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infiltrant resin의 물성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랑질 우식의 다공성은 무엇인가?
이는 침투계수가 높은 저점도의 광중합 레진을 병소 본체 내로 침투시킴으로써 우식 병소의 진행을 정지시키는 방법이다. 법랑질 우식의 다공성은 산과 용해된 무기질의 확산 통로로 작용하므로, 레진을 침투 시키면 이 통로가 봉쇄되어 우식 진행이 정지된다는 개념이다1).
resin infiltration은 어떤 방법인가?
최근 초기 우식 병소의 최소 침습적 치료를 위해 resin infiltration이라는 새로운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는 침투계수가 높은 저점도의 광중합 레진을 병소 본체 내로 침투시킴으로써 우식 병소의 진행을 정지시키는 방법이다. 법랑질 우식의 다공성은 산과 용해된 무기질의 확산 통로로 작용하므로, 레진을 침투 시키면 이 통로가 봉쇄되어 우식 진행이 정지된다는 개념이다1).
Infiltrant resin의 장점은 무엇인가?
레진의 침투 깊이는 침투 계수와 관련 있는데, 침투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우식 병소에 대한 레진의 침투 능력과 우식 억제 능력이 향상 된다2). Infiltrant resin은 병소 내로의 빠르고 깊은 침투를 위해 최적화된 레진으로 점도가 매우 낮고, 법랑질에 대한 접촉각이 낮으며 표면 장력이 높다9). 이처럼 infiltrant resin의 침투계수를 높이는 성분은 TEGDMA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로, TEGDMA 함량이 증가할수록 레진의 점도와 접촉각은 감소한다.
참고문헌 (34)
Paris S, Meyer-Lueckel H, Kielbassa AM : Resin infiltration of natural caries lesions. J Dent Res, 86:662-666, 2007.
Meyer-Lueckel H, Paris S : Progression of artificial enamel caries lesions after infiltration with experimental light curing resins. Caries Res, 42:117-124, 2008.
Ekstrand KR, Bakhshandeh A, Martignon S : Treatment of proximal superficial caries lesions on primary molar teeth with resin infiltration and fluoride varnish versus fluoride varnish only: efficacy after 1 year. Caries Res, 44:41-46, 2010.
Kielbassa AM, Muller J, Gernhardt CR : Closing the gap between oral hygiene and minimally invasive dentistry: a review on the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of incipient (proximal) enamel lesions. Quintessence Int, 40:663-681, 2009.
Phark JH, Duarte S Jr, Meyer-Lueckel H, et al. : Caries infiltration with resins: a novel treatment option for interproximal caries. Compend Contin Educ Dent, 30:13-17, 2009.
Duckworth RM : The Teeth and Their Environment. Karger, Basel, 105-131, 2006.
Kugel G, Arsenault P, Papas A : Treatment modalities for caries management, including a new resin infiltration system. Compend Contin Educ Dent, 30:1-10, 2009.
Wiegand A, Stawarczyk B, Kolakovic M, et al. : Adhesive performance of a caries infiltrant on sound and demineralised enamel. J Dent, 39:117-121, 2011.
Chaitra TR, Subba Reddy VV, Devarasa GM, et al. : Flowable resin used as a sealant in molars using conventional, enameloplasty and fissurotomy techniques: an in vitro study.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28:145-150, 2010.
Meyer-Lueckel H, Paris S, Kielbassa AM : Surface layer erosion of natural caries lesions with phosphoric and hydrochloric acid gels in preparation for resin infiltration. Caries Res, 41:223-230, 2007.
Pitts N :" ICDAS"-an international system for caries detection and assessment being developed to facilitate caries epidemiology, research and appropriate clinical management. Community Dent Health, 21:193-198, 2004.
Oliver WC, Pharr GM : Improved technique for determining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using load and displacement sensing indentation experiments. J Mater Res, 7:1564-1583, 1992.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Dental materials: guidance on testing of adhesion to tooth structure. Technical Report ISO TR - 1140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bra, 1994.
Robinson C, Brookes SJ, Kirkham J, et al. : In vitro studies of the penetration of adhesive resins into artificial caries-like lesions. Caries Res, 35:136-141, 2001.
Huang TT, He LH, Darendeliler MA, et al. : Correlation of mineral density and elastic modulus of natural enamel white spot lesions using X-ray microtomography and nanoindentation. Acta Biomater, 12:4553-4559, 2010.
Huang TT, He LH, Darendeliler MA, et al. : Nanoindentation characterisation of natural carious white spot lesions. Caries Res, 44:101-107, 2010.
Asmussen E : Penetration of restorative resins into acid etched enamel. II. Dissolution of entrapped air in restorative resin monomers. Acta Odontol Scand, 35:183-191, 1977.
S, Do¨rfer CE, Meyer-Lueckel H : Surface conditioning of natural enamel caries lesions in deciduous teeth in preparation for resin infiltration. J Dent, 38:65-71, 2010.
Paris S, Meyer-Lueckel H, Mueller J, et al. : Progression of sealed initial bovine enamel lesions under demineralizing conditions in vitro. Caries Res, 40:124-129, 2006.
Meyer-Lueckel H, Paris S : Infiltration of natural caries lesions with experimental resins differing in penetration coefficients and ethanol addition. Caries Res, 44:408-414, 2010.
Paris S, Bitter K, Renz H, et al. : Validation of two dual fluorescence techniques for confocal microscopic visualization of resin penetration into enamel caries lesions. Microsc Res Tech, 72:489-494, 200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