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가 유화형 소시지의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ite and Ascorbic Acid-derived Gas on Color Develop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Emulsified Sausag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2 no.1, 2012년, pp.112 - 117  

김남국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정한혁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이창수 (건국대학교 응용생화학과) ,  이승환 (국립축산과학원) ,  김언현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질산염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대체하기 위하여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를 이용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고,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아질산염 150 ppm, 아스코르브산 450 ppm을 직접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실험구는 동일량의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반응시켜 생성된 가스를 포집하여 유화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대조구 및 실험구에서 원료육 보다 높은 pH를 보였으나, 저장기간 중 pH의 범위가 6.22-6.34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육색의 경우 원료육에 비해 높아진 명도(lightness, CIE $L^*$)와 적색도(redness, $a^*$)를 보였으며, 저장기간 중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적색도, 높은 황색도(yellowness, $b^*$)를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명도의 경우 실험구와 대조구간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물리적 특성 변화로 가열 및 저장감량에서 실험구와 대조구간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5), 보수력 및 전단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기간 중 실험구와 대조구 모두에서 저장감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의 처리가 유화물의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있어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처리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가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or replace the direct addition method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the effect of nitrite and ascorbic acid-derived gas addition on color develop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emulsified sausage was investigated. Nitrite (150 ppm) and ascorbic acid (450 ppm) were added d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대체하기 위하여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를 이용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고,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아질산염 150 ppm, 아스코르브산 450 ppm을 직접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실험구는 동일량의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을 반응시켜 생성된 가스를 포집하여 유화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품첨가물인 아질산염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을 개선 또는 대체할 목적으로 아질산염(sodium nitrite, NaNO2)과 발색 보조제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유화형 소시지 제조에 직접 투입하지 않고, 진공 상태의 외부용기에서 반응을 유도하여 발생되는 가스를 포집, 유화형 소시지 제조 공정 중 세절공정에 투여 함으로서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 유래 가스가 유화형 소시지의 발색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질산염은 어떤 과정을 통해 육 발색에 영향을 미치는가? 아질산염은 이온화되어 일산화질소(NO), 산소(O2) 등을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일산화질소는 고기중의 미오글로빈(myoglobin)과 반응하여 nitric oxide myoglobin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nitric oxide myoglobin은 열 변성을 통해 안정된 색소(nitrosylhemochrome)로 변형되어 육색(Kim and Kim, 1999) 및 보존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adikos and Lougovosi, 1990). 아질산염의 대체 물질 탐색 연구에 있어, 천연물질의 탐색뿐만 아니라 육 발색에 영향을 미치는 일산화질소 등을 직접 활용하는 방법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아질산염은 무엇인가? 아질산염(nitrite)은 육가공품 생산에 매우 중요한 물질로 육색 고정(color fixation) 작용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항산화 (antioxidation) 및 풍미 증진(flavour enhancing) 등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며 보수력 및 결착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도 보고된바 있다(Dryen and Birdsall, 1980; Giddings, 1977; Gray et al., 1981; Macdougall et al.
아질산염의 육 제품 내 잔류량에 대한 규정 기준은? 그러나 아질 산염이 염지 육제품의 아민류와 반응할 경우 발암성 물질인 니트로사민(nitrosamine)을 생성함으로써 최근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Massey et al., 1978), 국내의 경우 육 제품 내 잔류량을 70 ppm 미만으로 규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KFDA, 1999). 최근 소비자 생활수준의 질적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합성 첨가물이 포함된 제품에 대한 소비가 감소되고 있으며(Chio and Chin, 2003), 천연물질을 이용한 제품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아질산염을 대체하기 위한 천연물질 탐색연구 등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Jeong and Shim, 2002; Park and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outon, P. E., Carrol, F. D., Fisher, A. L., Harris, P. V., and Shorthose, W. R. (1983) Influence of pH and fiber contraction state upon factors affecting the tenderness of bovine muscle. J. Food Sci. 38, 404-407. 

  3. Braddock, R. J. and Dugan, L. R. Jr. (1969). Moisture effect on the nitric oxide pigments in freeze-dried beef. Food Technol. 23, 99-100. 

  4. Chio, S. H. and Chin, K. B. (2003) Evaluation of sodium lactate as a replacement for the conventional chemical preservatives in comminuted sausages inocula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Meat Sci. 38, 531-537. 

  5. Cho, S. H., Jung S. A., Song, E. J., Lee, S. Y., Kim, K. B. W. R., Park, J. G., Park, S. M., and Ahn, D. H. (2006) Effect of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ies and reducing of sodium nitrate by Glycyrrhiza uralensis and Curcula longa in pork saus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97-1004. 

  6. Cook, C. J., Scott, S. M., and Devine, C. E. (1998) Measurement of nitric oxide and the effect of enhancing or inhibiting it on tenderness changes of meat. Meat Sci. 48, 85-89. 

  7. Dryen, F. D. and Birdsall, J. J. (1980) Why nitrite dose not impart color. Food Technol. 34, 29-31. 

  8. Faustman, C. and Cassens, R. G. (1990) The biochemical basis for discoloration in fresh meat: a review. J. Muscle Foods 1, 217-243. 

  9. Giddings, G. G. (1977) The basis of color in muscle foods. J. Food Sci. 9, 81-114. 

  10. Gray, J. I., MacDonald, B., Pearson, A. M., and Morton, I. D. (1981) Role of nitrite in cured meat flavor: review. J. Food Prot. 44, 302-312. 

  11. Hood, D. E. and Riordan, E. B (1973) Discoloration in prepackaged beef: measurement by reflectance spectrophotometry and shopper. J. Food Tech. 8, 333-343. 

  12. Jeong, C. H. and Shim, K. H.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ood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9, 351-355. 

  13. Kim, M. S. and Kim, I. C. (1999) Some properties and curing effect of drip from frozen-thawed pork meat. J. Korean Soc. Food Nutr. 12, 370-374. 

  14. Kim, I. S., Jin, S. K., Hur, I. C., Choi, S. Y., Jung, H. J., Lee, J. K., Kang, S. H., Woo, G. M., and Kang, S. N. (2009) Effect of tomato powder on meat patties as nitrite alternatives. Korean J. Food Sci. An. 29, 382-390. 

  15. KFDA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9) Official Book for Food. Seoul. pp. 200. 

  16. Ladikos, D, and Lougovois, V. (1990) Lipid oxidation in muscle foods: A review. Food Chem. 35, 295-314. 

  17. Lee, H. G., Park, G. B., Kim, Y. H., Kim, J. S., Kang, J. S., Jin, S. K., and Kim, Y. J. (1990) Effect of sodium nitrite level and cur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ured pork meat. Korean J. Anim. Sci. 32, 496-503. 

  18. Macdougall, D. B., Mottran, D. S., and Rhodes, D. N. (1975) Contribution of nitrite and nitrate to the color and flavor of cured meats. J. Sci. Food Agric. 26, 1743-1751. 

  19. Massey, R. C., Crews, C., Davies, R., and McWeeney, D. J. (1978) A study of the competitive nitrosations of pyrrolidine, ascorbic acid, cysteine and p-cresol in a protein based model system. J. Sci. Food Agric. 29, 815-816. 

  20. Park, W. Y., and Kim, Y. J. (2010) Effects of chitosa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nitrite addition on the residual nitrite contents and self-life of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30, 269-276. 

  21. Pegg, R. B., and Shahidi, F. (2000) Nitrite curing of meat: The n-nitrosamine problem and nitrite alternatives. Trumbull, CT: Food and Nutrition Press, Inc. 

  22. Sales, C. A, Bowers, J. A, and Kropt, D. (1980) Consumer acceptability of turkey Frankfurters with 0, 40 and 100 ppm nitrite. J. Food Sci. 45, 1060-1061. 

  23. Skibsted, L. H. (2011) Nitric oxide and quality and safety of muscle based foods. Nitric oxide 24, 176-183. 

  24. Sofos, J. N. (1986) Use of phosphates in low-sodium meat products. Food Technol. 40, 52-68. 

  25. Team RDC. (2006)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26. Thiemig F, Tsedendamba U, Oelker P (2001), The red-colour development in emusions of scalding sausage with a gas mixture of nitric oxide and nitrogen. Fleischwirtschaft 81, 101-106. 

  27. Vasavada, M. N., and Cornforthe, D. P. (2005) Evaluation of milk mineral antioxidant activity in beef meatballs and nitrite-cured sausage. J. Food Sci. 70, C250-C2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