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R-RFLP에 의한 Vibrio core group을 포함한 Vibrio 종의 구분
Differentiation of Vibrio spp. including Core Group Species by PCR-RFLP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2 = no.142, 2012년, pp.245 - 250  

박진숙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brio속의 core 균주(Vibrio alginolytic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포함하여 총 6 종의 Vibrio 균주(V. fluvialis, V. proteolyticus, V. vulnificus, V. mimicus)와 Grimontia (Vibrio) hollisae의 16S rDNA를 PCR 증폭하여 Alu I, Cfo I, Dde I, Hae III, Msp I, Rsa I의 6 종의 제한효소를 처리 후 R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종의 core 균주와 V. proteolyticus는 4 종의 제한효소(Cfo I, Dde I, Msp I, Rsa I)에서 동일한 제한효소 패턴을 나타내었다. 제한효소의 패턴의 조합에 의해 6 종의 Vibrio 종은 6 개의 RFLP type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Alu I의 경우, 실험된 6 종의 Vibrio속에 대하여 각기 다른 6 개의 종 특이적 RFLP type을 나타내었다. 제한효소 패턴에 근거하여 작성한 덴드로그램에서 Vibrio core group 균주인 V. alginolyticus 와 V. parahaemolyticus는 90% 이상의 매우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Grimontia hollisae는 실험된 모든 제한효소 패턴에서 Vibrio속 세균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RFLP type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CR-RFLP는 제한효소를 적절히 선택한다면 Vibrio 속 세균의 신속한 구분에 여전히 유용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16S rDNA - RFLP types for six Vibrio species (V. fluvialis, V. proteolyticus, V. vulnificus, V. mimicus) including two core group members, V. alginolyticus and V. parahaemolyticu s, and Grimontia (Vibrio) hollisae were determined using PCR-RFLP analysis. Six tetrameric restriction enzymes (Alu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Vibrio core group 균주들은 DNA-DNA relatedness 혹은 16S rDNA 염기서열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종을 규정하는 범위 내에 여러 종들이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세균 종의 동정과 계통학적 위치의 고찰에 황금율로 적용되고 있는 16S rRNA gene을 이용하여 Vibrio 종 동정에 대한 16S rDNA의 PCR- RFLP방법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Vibrio 균주는 현재 core group 균주로 간주되는 V.
  • 한편, 종의 구분에 있어 변별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도 있다[18].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Vibrio core group에 속하는 V. alginolyticus와 V. parahaemolyticus, 2종을 포함하여 V. proteolyticus, V. vulnificus, V. fluvials, V. mimicus 총 6 종의 Vibrio 균주와 참고 균주로 최근 Vibrio속에서 Grimontia속으로 옮겨진[16] Grimontia hollisae를 대상으로 6 종(Alu I, Cfo I, Dde I, Hae III, Msp I, Rsa I)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RFLP 패턴 분석을 실시하여 Vibrio속 세균의 동정에 대한 16S rDNA- RFLP의 유용성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c committee에서 세균의 종을 규명할 때 사용할 것을 권고한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 세균의 종을 규정하는 위원회(hoc committee)에서는 DNA-DNA reassociation 대신 MLSA (multilocus sequence analysis)를 이용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MLSA는 흔히 다섯 종류 이상의 여러 관리 유전자(housekeeping genes), 예를 들어 16S rRNA, rpoA, recA, pyrH, rpoB, rpoD, gyrB, rctB, toxR, 등의 유전자의 염기서열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군 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최근 Pascual 등[13]은 MLSA를 수행하여 DNA-DNA reassociation 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Vibrio core group의 동정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Vibrio속의 세균의 정확한 종 수준의 동정이 어려운 까닭은 무엇인가? Vibrio속의 세균은 그람 음성의 비브리오형 간균으로 하구, 해양 환경에 널리 분포하며 사람 혹은 어류 등에 병원성을 나타내는 세균으로[3,18] 신속한 동정이 매우 중요한 세균 그룹이다. 그러나 이 그룹 내의 종들은 표현형과 유전형이 매우 유사하여 정확한 종 수준의 동정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7]. 특히 6 개의 Vibrio 종으로 구성되는 Vibrio속의 core group (V.
Vibrio속의 core group에 속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이 그룹 내의 종들은 표현형과 유전형이 매우 유사하여 정확한 종 수준의 동정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7]. 특히 6 개의 Vibrio 종으로 구성되는 Vibrio속의 core group (V. alginolyticus, V. parahaemolyticus, V. harvey, V. campbellii, V. rotiferianus, 그리고 V. natriegens)은 16S rRNA gene의 유사도가 97.6% 이상, DNA-DNA 상동치(reassociation value)는 7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 매우 밀접한 유연관계를 갖는 세균 종들로 구성되는데[2,13] 이들을 중심으로 ARDRA, RADP, RFLP, AFLP, IGS-PCR, ribotyping 등 여러 가지 분자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Vibrio 종의 동정 및 검출이 시도되었으나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동정의 결과가 다른 것으로 보고되었다[3,13,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znar, R., W. Ludwig., R. I. Amann, and K. H. Schlefer. 1994. Sequence determination of rRNA genes of pathogenic Vibrio species and whole-cell identification of Vibrio vulnificus with rRNA-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s. Int. J. Syst. Bacteriol. 44, 330-337. 

  2. Dorsch, M., D. Lane, and E. Stackebrandt. 1992. Toward a phylogeny of the genus Vibrio based on 16S rRNA sequence. Int. J. Syst. Bacteriol. 42, 58-63. 

  3. Gomez-Gil, B., S. Soto-Rodriguez, A. Garcia-Gasc, A. Roque, T. Vazquez-Juarez, F. L. Thompson, and J. Swings. 2004. Molecular identification of Vibrio harveyi-related isolates associated with diseased aquatic organisms. Microbiol. 150, 1769-1777. 

  4. Gomez-Gil, B., F. L. Thompson, C. C. Thompson, A. Garcia-Gasca, A. Roque, and J. Swings. 2004. Vibrio hispanicus sp. nov., isolated from Artemia sp. and sea water in Spain. Inc. J. syst. Evol. Microbiol. 54, 261-265. 

  5. Hernandez, G. and J. Olmos. 2003. Molecular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strains of Vibrio harveyi using PCR and RAPD. Appl. Microbiol. Biotechnol. 63, 722-727. 

  6. Ki, J. S. 2009. Heterogeneity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of the genus Vibrio. Korean J. Microbiol. 45, 430-434. 

  7. Ki, J. S., R. Zhang, W. Zhang, Y. L. Huang, and P. Y. Qian. 2009. Analysis of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gene sequences for the discriminative power of marine Vibrio species. Microb Ecol. 58, 679-691. 

  8. Kim, D. G., S. H. Ahn, L. H. Kim, K. J. Park, Y. K. Hong, and I. S. Kong. 2008. Application of the rpoS gene for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Vibrio vulnificus by real-time PCR. J. Microbiol. Biotechnol. 18, 1841-1847. 

  9. Kumar, N. R. and S. Nair. 2007. Vibrio rhizosphaerae sp. nov., a red-pigmented bacterium that antagonizes phytopathogenic bacteria. Inc. J. Syst. Evol. Microbiol. 57, 2241-2246. 

  10. Lambert, M. A., F. W. Hickman-Brenner, J. J. FarmerIII, and C. W. Moss. 1983. Differentiation of Vibrionaceae species by their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Int. J. Syst. Bacteriol. 33, 777-792. 

  11. Lee, J. W., I. J. Jun, H. J. Kwun, K. L. Jang, and J. H. Cha. 2004. Direct identification of Vibrio vulnificus by PCR targeting elastase gene. J. Microbiol. Biotechnol. 14, 284-289. 

  12. Lerat E, V. Daubin, and N. A. Moran. 2003. From gene trees to organismal phylogeny in prokaryotes: the case of the gammaproteobacteria. PLOS Biol. 1, E19. 

  13. Pascual, J., M. C. Macian, D. R. Arahal, E. Garay, and M. J. Pujalte. 2010.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of the central clade of the genus Vibrio by using the 16S rRNA, recA, pyrH, rpoD, gyrB, rctB and toxR genes. Inc. J. Syst. Evol. Microbiol. 60, 154-165. 

  14. Pedersen, K., L. Verdonck, B. Austin, D. A. Austin, A. R. Blanch, P. A. D. Grimont, J. Jofre, S. Koblavi, J. L. Larsen, T. Tiainen, M. Vigneulle, and J. Swings. 1998. Taxonomic evidence tha Vibrio carchariae grimes et al. 1985 is a junior synonym of Vibrio harveyi (Johnson and Shunk 1936) Baumann et al. 1981. Int. J. Syst. Bacteriol. 48, 749-758. 

  15. Rivas, R., P. Garcia-Fraile, P. F. Mateos, E. Martinez-Molina, and E. Velazquez. 2006. Photobacterium halotolerans sp. Nov., isolated from lake Martel in Spain. Inc. J. Syst. Evol. Microbiol. 56, 1067-1071. 

  16. Thompson, F. L., B. Hoste, K. Vandemeulebroecke, and J. Swings. 2003. Reclassification of Vibrio hollisea as Grimontia hollisae gen. nov., comb. Nov. Inc. J. syst. Evol. Microbiol. 53, 1615-1617. 

  17. Thompson, F. L., D. Gevers, C. C. Thompson, P. Dawyndt, S. Naser, B. Hoste, C. B. Munn, and J. Swings. 2005. Phylogeny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vibrios on the basis of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Appl. Microbiol. Biotechnol. 71, 5107-5115. 

  18. Thompson, F. L., T. Iida, and J. Swings. 2004. Biodiversity of vibrios. Microbiol. Mol. Biol. Rev. 68, 403-431. 

  19. Urakawa, H., K. Kita-Tsukamoto, and K. Ohwada. 1997. 16S rDNA genotyping using PCR/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among the family Vibrionaceae. FEMS Microbiol. Lett. 152, 125-132. 

  20. Urakawa, H., K. Kita-Tsukamoto, and K. Ohwada. 1998. A new approach to separate the genus Photobacterium from Vibrio with RFLP patterns by HhaI digestion of PCR-amplified 16S rDNA. Curr. Microbiol. 36, 171-174. 

  21. Yeon, S. H., W. J. Jeong, and J. S. Park. 2005. The diversity of culturable organotrophic bacteria from local solar salterns. J. Microbiol. 43,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