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정화도에 따른 Li3V2(PO4)3 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3V2(PO4)3 Negative Electrode as a Function of Crystallinity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5 no.1, 2012년, pp.27 - 34  

구준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에너지환경화학융합기술) ,  박경진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에너지환경화학융합기술) ,  류지헌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술기반 에너지대학원) ,  오승모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에너지환경화학융합기술)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처리 온도를 $600^{\circ}C$$800^{\circ}C$로 다르게 하여 비정질 및 결정질구조의 탄소를 포함하는 $Li_3V_2(PO_4)_3/C$분말을 각각 합성하였으며, 결정성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정질 $Li_3V_2(PO_4)_3/C$은 추가반응에 의하여 리튬이 저장되기 때문에 260 mAh $g^{-1}$의 제한된 용량만을 지니고 있음에 비하여, 비정질 $Li_3V_2(PO_4)_3/C$는 3가의 바나듐이 금속상태에 근접할 정도로 가역적으로 반응되어 460 mAh $g^{-1}$의 큰가역용량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정질 구조에서 기인하는 특성으로 유연한 구조로 인한 새로운 리튬의 저장공간이 확보되는 것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Li_3V_2(PO_4)_3/C$는 비정질 구조에 기인하는 선형적인 충방전 곡선을 지니고 있어 정확한 충전심도의 예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함구조에서 유발된 리튬이온의 향상된 확산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속도 특성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_3V_2(PO_4)_3$/carbon composite materials are synthesized from a sucrose-containing precursor. Amorphous $Li_3V_2(PO_4)_3/C$ (a-LVP/C) and crystalline $Li_3V_2(PO_4)_3/C$ (c-LVP/C) are obtained by calcining at $600^{\circ}C$ and $800^{\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VP는 양극재료로써는 활용이 검토되고 있으나, 추가적인 리튬의 삽입이 발생하게 되는 음극재료로써의 연구는 아직 이루어진 바가 없다.13-15) 본 연구에서는 LVP의 합성온도를 조절하여 결정성이 다른 재료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써 활용함에 있어서 전기화학적 특성 및 반응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재료의 결정성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 바나듐이 5가의 산화수를 지니게 되면 반응전압이 높아져서 음극으로 활용함에 불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바나듐이 3가의 산화수를 지니면서 다중음이온과 결합된 바나듐 인산화물인 Li3V2(PO4)3(lithium vanadium phosphate, LVP)를 새로운 음극재료로서 연구하였다. LVP는 양극재료로써는 활용이 검토되고 있으나, 추가적인 리튬의 삽입이 발생하게 되는 음극재료로써의 연구는 아직 이루어진 바가 없다.
  •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서 탄소가 함유된 Li3V2(PO4)3의 결정성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Li3V2(PO4)3는 결정상인 경우와 비정질상인 경우에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속도특성 실험을 위해서는 동일한 전압범위에서 전류밀도를 100, 200, 500, 1000, 2000, 5000 mA g−1로 증가시키면서 진행을 하였으며, 모든 충방전 실험은 TOYO사의 충방전기(TOSCAT-3100)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충전(charge)은 lithiation에 해당하고 방전(discharge)는 de-lithiation에 해당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이금속 산화물에 리튬이 삽입 또는 탈리 될 때의 반응이 추가반응과 전환반응의 두 가지 반응 타입으로 나뉘는 원인은? 전이금속 산화물은 리튬이 삽입 또는 탈리 될 시에 구조내의 격자 사이의 빈 공간에서 Redox반응을 일어나는 추가반응(addition reaction)과, Poizot 등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이 Li2O와 금속의 나노복합물을 형성하는 전환반응(conversion reaction)이 일어난다.1-3) 이처럼 추가반응과 전환반응의 두 가지 반응 타입으로 나뉘는 원인으로는 전이금속과 산소 간의 결합력 차이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5)그 중에서 바나듐 산화물은 전환반응을 거치는 다른 전이금속 산화물과는 달리 추가 반응만을 사용하여 제한된 용량만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전이금속 산화물을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으로 사용할 때 대표적인 반응은? 특히 전이금속 산화물이 리튬과의 반응을 통하여 음극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알려진 이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이금속 산화물은 리튬이 삽입 또는 탈리 될 시에 구조내의 격자 사이의 빈 공간에서 Redox반응을 일어나는 추가반응(addition reaction)과, Poizot 등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이 Li2O와 금속의 나노복합물을 형성하는 전환반응(conversion reaction)이 일어난다.1-3) 이처럼 추가반응과 전환반응의 두 가지 반응 타입으로 나뉘는 원인으로는 전이금속과 산소 간의 결합력 차이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역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무슨 방법을 고려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이 추가반응만 진행되어 제한된 용량을 발현하는 물질들의 가역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재료를 나노크기를 갖는 물질로 만드는 것이다. 나노크기의 물질은 이온의 확산거리가 짧고, 넓은 비표면적을 통하여 반응이 발생될 수 있는 면적이 확장되므로 재료의 반응성이 크게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나노크기를 가지는 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넓은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전해질 분해가 증가하게 되어 비가역 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수명에서도 불리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재료의 구조를 비정질화 시키는 것이다. 비정질 구조를 갖는 전극 물질에 대한 보고는 이미 많이 되어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비정질 구조의 하드카본을 들 수 있다.7-10) 비정질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결정질 구조에 비해 보다 넓은 리튬이온의 이동경로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고, 리튬이 삽입되거나 탈리될 때 겪게 되는 구조적인 응력을 완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리튬을 구조 내에 함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정질 구조와는 달리 구조적 결함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함들이 리튬이온의 저장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용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11) 마지막으로, 음이온을 산소에서 다중음이온(polyanion)으로 치환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PO4와 같은 다중음이온은 금속-산소-인의 결합에서 기인하는 유도 효과가 작용한다. 즉, 산소와 인 간의 강한 공유 결합이 작용하기 때문에 금속과 산소간의 결합을 더욱 약화시킬 수가 있어 금속이온의 redox반응을 위한 활성화 에너지를 감소시키게 된다.12) 따라서 금속과의 음이온간의 결합이 약화되면서 활물질과 리튬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추가적인 용량의 발현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T. Ohzuku, T. Kodama, and T. Hirai, 'Electrochemistry of anatase titanium-dioxide in lithium nonaqueous cells' J. Power Sources, 14, 153 (1985). 

  2. B. Y. Liaw, I. D. Raistrick, and R. A. Huggins, 'Thermodynamic and structural consideration in lithium vanadium bronze structures' Solid State Ionics, 45, 323 (1991). 

  3. P. Poizot, S. Laruelle, S. Grugeon, L. Dupont, and J. M. Tarascon, 'Nano-sized transition metaloxides as negative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Nature, 407, 496 (2000). 

  4. H. Li, P. Balaya, and J. Maier, 'Li-storage via heterogeneous reaction in selected binary metal fluorides and oxides' J. Electrochem. Soc., 151, A1878 (2003). 

  5. J. H. Ku, Y. S. Jung, K. T. Lee, C. H. Kim, and S. M. Oh, 'Thermoelectrochemically activated $MoO_2$ powder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56, A688 (2009). 

  6. Darent, B. deB.National Standard Reference Data Serie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No. 31 (Washington, 1970). 

  7. I. Mochida, C. Ku, S. Yoon, and Y. Korai, 'Anodic performance and mechanism of mesophase-pitch-derived carbons in lithium 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75, 214 (1998). 

  8. C. H. Park, S. Yoon, S. I. Lee, and S. M. Oh, ' $Li^+$ storage sites in non-graphitizable carbons prepared from methylnaphthalene-derived isotropic pitches' Carbon, 38, 995 (2000). 

  9. I. Mochida, C. Ku, and Y. Korai, 'Anodic performance and insertion mechanism of hard carbons prepared from synthetic isotropic pitches' Carbon, 39, 399 (2001). 

  10. G. T. K. Fey, D. C. Lee, Y. Y. Lin, and T.P . Kumar, 'High-capacity disordered carbons derived from peanut shells as lithium-intercalating anode materials' Synthetic Metals, 139, 71 (2003). 

  11. K. E. Swider-Lyons, C. T. Love, and D. R. Rolison, 'Improved lithium capacity of defective $V_2O_5 $ materials' Solid State Ionics, 152-153, 99 (2002). 

  12. C. Masquelier, A. K. Padhi, K. S. Nanjundaswamy, and J. B. Goodenough, 'New cath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ies: The 3-D framework structures $Li_{3}Fe_{2}(XO_{4})_{3}$ (X P,As)' J. Solid State Chem. 135, 228 (1998). 

  13. A. Tang, X. Wang, and S. Yang, 'A novel method to synthesize $Li_3V_2(PO_4)_3/C$ composite and its electrochemical Li intercalation performances' Mater. Lett., 62, 1646 (2008). 

  14. M. M. Ren, Z. Zhou, X.P . Gao, W. X. Peng, and J. P. Wei, 'Core-shell LiV(PO)@C composites as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J. Phys. Chem. C, 112, 5689 (2008). 

  15. C. Chang, J. Xiang, X. Shi, X. Han, L. Yuan, and J. Sun, 'Hydrothermal synthesis of carbon-coated lithium vanadium phosphate' Electrochim. Acta, 54, 623 (2008). 

  16. W. Xing, J. S. Xue, and J. R. Dahn, 'Optimizing pyrolysis of sugar carbons for use as anode materials in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43, 3.46 (1996). 

  17. A. V. Chadwick, S. L. P. Savin, S. Fiddy, r. Alcantara, D. F. Lisbona, P. Lavela, G. F. Ortiz, and J. L. Tirado, 'Formation and oxidation of nanosized metal particles by electrochemical reaction of Li and Na with $NiCo_2O_4$ : Xray absorption spectroscopic study' J. Phys. Chem. C, 111, 4636 (2007). 

  18. H. Fang, M. Liu, D. Wang, T. Sun, D. Guan, F. Li, J. Zhou, T. Sham, and H. Cheng, 'Comparison of the rate capability of nanostructured amorphous and anatase $TiO_{2}$ for lithium insertion using anodic $TiO_{2}$ nanotube arrays', Nanotechnology, 20, 22570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