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성진전 유무에 따른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의 보툴리눔 독소-A 주입 후 음성 특성 변화 양상
The Aspect of Voice Characteristics Change after Botulinum Toxin-A Injection in Patient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ccording to Vocal Tremor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4, 2012년, pp.95 - 107  

고혜주 (명지대학교) ,  최홍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임성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최예린 (명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BTX-A, which has been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ADSD, is not effective in treating vocal tremors, voice assessment must be employed to perform differential diagnosis of SD and vocal tremor in an accurate fash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changes after botul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축성 발성장애는 무엇인가? 연축성 발성장애(spasmodic dysphonia, 이하 SD)는 후두에 국한적으로 발생하는 근긴장이상(focal dystonia)의 한 종류로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Ludlow et al., 2008).
후두에 국한적으로 발생하는 근긴장이상의 일본의 연구는? , 2008). SD의 정확한 유병률에 대한 보고는 조사되어 있지 않으나 일본의 경우 후두암의 환자 수와 비교했을 때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는 인구 10만명 당 0.29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Yamazaki, 2001). 일본의 유병률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인구를 4,800만명으로 계산 했을 때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약 1,600명 정도의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가 있으리라 추정된다.
SD의 종류는? SD는 크게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 이하 ADSD), 외전형 연축성 발성장애(abductor spasmodic dysphonia, 이하 ABSD), 내전형과 외전형이 혼합된 혼합형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쥐어짜는 듯한 소리(strained-strangled sounding), 음성단절(voice break), 거친 음성(hoarse voice), 음도 이탈(pitch break)등의 특징이 나타나는 ADSD는 전체 SD 환자의 80%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여성이 전체 환자의 60∼85%를 차지한다(Ludlow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onson, A. E., Brown, J. R., Litin, E. M. & Pearson, J. S. (1968). spastic dysphonia. Comparison with Eessential (voice) tremor and other neurologic and psychogenidystonias. J Speech Hear Disord, 33, 219-31. 

  2. Aronson, A. E., McCaffrey, T. V., Litchy, W. J. & Lipton, R. J. (1993). Botulinum toxin injection for adductor spastic dysphonia: patient self-ratings of voice and phonatory effort after three successive injections. Laryngoscope, 103(6), 683-92. 

  3. Barkmeier, J. M., Case, J. L. & Ludlow, C. L. (2001). Identification of symptoms for spasmodic dysphonia and vocal tremor : a comparison of expert and nonexpert judges. J Commun Disord. 34(1-2), 21-37. 

  4. Blitzer, A. & Brin, M. (1991). Laryngeal dystonia : A series with botulinum in therapy. Ann Otol Rhinol Laryngol, 100, 85-89. 

  5. Blitzer, A., Brin., M. F. & Stewart, C. F. (1998). Botulinum toxin management of spasmodic dysphonia: a 12-year experience in more than 900 patients. Laryngoscope, 108, 1435-441. 

  6. Brin, M. F., Fahn, S., Blitzer, A., Raming, L. O. & Stewart, C. (1992). Movement disorders of the larynx. In A. Blitzer, M. F., Brin, C. T., Sasaki, S. Fahn, K. S. & Harris. (Eds.). Neurologic disorders of the larynx. New York: Thieme. 

  7. Brown, J. R. & Simonson, J. (1963). Organic voice tremor : A tremor of phonation. Neurology, 13, 520-25. 

  8. Cantarella, G., Berlusconi, A., Maraschi, B., Ghio, A. & Barbieri, S. (2006). Botulinum toxin injection and airflow stability in spasmodic dysphoni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34(3), 419-23. 

  9. Choi, H. S., Lee, J. H., Kim I. S., Koh. Y. W., Oh, J. S., Bae, J. H., Yun, H. C. & Choi, S. H. (2000). The acoustic and aerodynamic aspects of patients with spasmodic dysphonia. J Korean Soc Logoped Phoniatr, 11(1), 98-103. (최홍식, 이주환, 김인섭, 고윤우, 오종석, 배정호, 윤현철, 최성희 (2000).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양상.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1(1), 98-103.) 

  10. Choi, J. N., Kim, H. H., Nam, J. M. & Choi, H. S. (2007). Characteristics of Glottal Area Waveform and Phonation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lsy or Sulcus Vocali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2(3), 487-507. (최재남, 김향희, 남정모, 최홍식 (2007). 일측성 성대마비와 성대구증의 성문면적파형과 발성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12(3), 487-507.) 

  11. Choi, S. H., Kim, H. H., Lee, W. Y. & Choi, H. S. (2005). Voice Tremor in Parkinsonism : A Preliminary Study for Differentail Diagnosis. J Korean Soc Speech Sci, 12(3), 19-33. (최성희, 김향희, 이원용, 최홍식 (2005). 파킨슨증의 음성 진전: 감별진단을 위한 예비연구. 음성과학, 12(3), 19-33.) 

  12. Crevier-Buchman, L. C., Laccourreye, O., Papon, J. F. & Nurit, D. (1997). Adductor spasmodic dysphonia(Case reports with acoustic analysis following botulinum toxin injection and acupuncture). J Voice, 11(2), 232-237. 

  13. Djarmati, A., Schneider, S. A., Lohmann, K., Winkler, S., Pawlack, H., Hagenah, J., Bruggemann, N., Zittel, S., Fuchs, T., Rakovi?, A., Schmidt, A., Jabusch. H. C., Wilcox, R., Kosti?, V. S., Siebner, H., Altenmuller, E., Munchau, A., Ozelius, L. J. & Klein, C. (2009). Mutations in THAP1 (DYT6) and generalised dystonia with prominent spasmodic dysphonia: a genetic screening study. Lancet Neurol. 28(5), 416-8. 

  14. Hwang, Y. S., Kim J. O. & Choi, H. S. (2009). Characteristics of connectes speech in ADSD. J Korean Soc Speech Sci. 1(1), 93-98.(황연신, 김재옥, 최홍식 (2009). ADSD의 연속 발화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1(1), 93-98.) 

  15. Jung, S. M. (2002). Spasmodic dysphonia, Etiology, Diagnosis. J Korean Soc Logoped Phoniatr. 13(1), 65-71. (정성민 (2002). 연축성 발성장애의 원인 및 진단.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3(1), 65-71.) 

  16. Kim, J. O., Lim, S. E., Park, S. Y., Choi, S. H., Choi, J. N. & Choi, H. S.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version of voice handicap index and voice related of quality of life. J Korean Soc. Speech Sci. 14(3), 111-125. (김재옥, 임성은, 박선영, 최성희, 최재남, 최홍식 (2007).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와 음성 관련 삶의 질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음성과학, 14(3), 111-125.) 

  17. Kim, J. O., Lim, S. E. & Choi, H. S. (2009).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ealthy Korean Voice Using Phonatory Analysis System. Oral. 12, 82-86. (김재옥, 임성은, 최홍식 (2009). 한국 정상 성인 음성의 Phonatory Analysis System을 이용한 공기역학적 특성 분석.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Oral. 12, 82-86.) 

  18. Kendall, K. A. & Leonard, R. J. (2011). Interarytenoid muscle botox injection for tretment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with vocal tremor. J Voice. 25(1), 114-9. 

  19. Kent, R. D., Kent, J. F. & Rosenbek, J. C. (1987). Maximum performance tests of speech production. Journal of Speech Hear Res, 52, 367-87. 

  20. Laura, J., Adam, M., Edie, R,. John, M., John, J., Hyder, A. & Michael, M. (2011). Coprevalence of tremor with Sapsmodic Dysphonia : A Case-Control Study. Laryngoscope, 121, 1752-55. 

  21. Ludlow, C., Bassich, C. & Connors, N. (1986). Phonatory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 tremor. Journal of phonetics, 14, 509-15. 

  22. Ludlow, C. L., Adler, C. H., Berke, G. S. Bielamowicz, S. A., Blitzer, A. & Bressman, S. B. (2008). Research priorities in spasmodic dysphonia. Otolaryngol Head Neck Surgery, 139(4), 495-505. 

  23. Ludlow, C. L. (2009). Treatment for spasmodic dysphonia: limitation of current approaches.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7(3), 160-5. 

  24. Nam, D. H., Choi, S. H., Choi, J. N. & Choi H. S. (2005). The Aerodynamic & Respiratory Muscle Pressure Aspects of Patient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J Korean Soc Speech Sci. 12(4), 203-213. (남도현, 최성희, 최재남, 최홍식 (2005). 내전형 경련성 발성 장애의 호흡압력과 공기역학적 특징. 음성과학, 12(4), 203- 213.) 

  25. Nam, D. H. & Choi, H. S. (2007). Respiration and vocalization. koonja publisher. Department of otorhinoaryngology, Institute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남도현, 최홍식 (2007). 호흡과 발성. 군자출판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음성언어의학연구소) 

  26. Paul, Warrick., Christopher, Dromey., Jonathan C., Irish., Lisa, Durkin., Anthony, Pakiam. & Anthony, Lang. (2000). Botulinumtoin for essential tremor of the voice with multiple anatomical sites of tremor : A crossover Design study of unilateral versus bilateral injection, Laryngoscope, 110(8), 1366-74. 

  27. Park, S. Y., Kim J. O., Lim S. E., Nam, D. H. & Choi, H. S. (2008). The perceptual evaluation and aerodynamic analysis of spasmodic dysphonia. J Korean Soc Logoped Phoniatr. 19(1), 38-42. (박선영, 김재옥, 임성은, 남도현, 최홍식 (2008). 연축성발성 장애의 청지각적 평가 및 공기역학적 특성.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9(1), 38-42.) 

  28. Pearson, E. J. & Sapienza, C. M. (2003). Historical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Adductor-Type Spasmodic dysphonia(ADSD): review and tutorial. Neuro Rehabilitation, 18(4), 325-38. 

  29. Peng, Y., Crumley, R. & Ringman, J. M. (2003). Spasmodic dysphonia in a patient with the A to G transition at nucleotide 8344 in mitochondrial DNA. Mov Disor, 18(6), 716-8. 

  30. Swashima, M. (1966). Measurements of the phonation time. Jap Journal of Logopedphoniatr, 7, 23-29. 

  31. Swenson, M. R., Zwirner, P., Murry, T. & Woodson, G. E. (1992). Medical evaluation of patients with spasmodic dysphonia. J Voice, 6(4), 320-4. 

  32. Tucker, H. M. (1992). Combination surgical therapy for spasmodic dysphonia. J voice, 6, 355-57. 

  33. Yang, Y. S. (2010). Spasmodic Dysphonia.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53(9), 519-26. (양윤수 (2010). 연축성 발성장애.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53(9), 519-26.) 

  34. Yamazaki, R. (2001).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n spasmodic dysphonia-Investigation by questionaire. Japan Journal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42, 343-47. 

  35. Yun, B. R., Kim H. H., Choi, Y. L. & Choi, H. S. (2011). Voice Characteristic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before and after Botulinum toxin-A inje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54(2), 148-53. (윤보람, 김향희, 최예린, 최홍식 (2011).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보툴리눔 독소-A 주입술 전.후의 음성 특성 비교.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54(2), 148-53.) 

  36. Zwirner, P., Murry, T., Swenson, M. & Woodson, G. E. (1991). Acoustic changes spasmodic dysphonia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s. J Voice, 5(1), 78-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