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긴장성 발성장애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의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in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4, 2013년, pp.63 - 70  

허정화 (대구대학교) ,  송기범 (대구대학교) ,  최양규 (대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to predict factors which will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objective examination standard to distinguish the two dysphonia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긴장성 발성장애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간 기류특성(최대연장발성시간, 평균 호기율, 호기 변화량) 및 발성효율(성문하압, 성문저항, 음성효율)에 대한 차이유무를 살펴보고, 이들 두 발성장애를 예측하는 공기역학적인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두 발성장애의 구별에 용이한 객관적인 기준마련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근긴장성 발성장애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두 발성장애를 구별하는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공기역학적 요인을 예측하여 객관적인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긴장성 발성장애란 무엇인가? 대표적인 음성장애로는 근긴장성 발성장애와 연축성 발성 장애가 해당된다. 근긴장성 발성장애는 음성의 오용과 남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음성장애이며, 해부학적이나 신경학적인후두 구조는 정상이지만 지나친 근긴장으로 병리적인 음성이 나타난다. 특히 상기도 감염이나 스트레스상황에서 음성을 잘못 사용하거나 남용할 경우에 발생한다.
음성장애의 원인은 무엇인가? 음성장애는 음성 메커니즘의 오용이나 신경학적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하며, 음성 메커니즘의 기질적 변화나 질병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1]. 음성장애 환자들은 잦은 발성통 (odynophonia)과 음성 피로감으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다양한 음성 증후로 인하여 심리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근긴장성 발성장애는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가? 근긴장성 발성장애는 음성의 오용과 남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음성장애이며, 해부학적이나 신경학적인후두 구조는 정상이지만 지나친 근긴장으로 병리적인 음성이 나타난다. 특히 상기도 감염이나 스트레스상황에서 음성을 잘못 사용하거나 남용할 경우에 발생한다. 환자들이 호소하는 음성 증후로는 기식성(breathiness), 쉰 목소리(hoarseness), 음성 피로(vocal fatigue), 과도한 발성 노력(excessive vocal effort), 좁아진 음역대(decreased pitch range), 발성통 (odynophonia) 등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oon, D. R., McFarlane, S. C. & Von Berg, S. L. (2007). The voice and voice therapy(7th ed.). Boston: Pearson. 

  2. Altman, K. W., Atkinson, C. & Lazarus, C. (2005). Current and emerging concepts in muscle tension dysphonia: A 30-month review. Journal of Voice, 19(2), 261-267. 

  3. Woodson, G., Hochstetler, H. & Murry, T. (2006). Botulinum toxin therapy for abductor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Voice, 20(1), 137-143. 

  4. Ludlow, C. L., Adler, C. H., Berke, G. S., Bielamowicz, S. A., Blitzer, A. & Bressman, S. B. (2008). Research priorities in spasmodic dysphonia. Otolaryngol Head Neck Surgery, 139(4), 495-505. 

  5. Murry, T. & Woodson, G. E. (1995). Combined-modality treatment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with botulinum toxin and voice therapy. Journal of Voice, 9(4), 460-465. 

  6. Nam, D. H., Choi, S. H., Choi, J. N. & Choi, H. S. (2005). The aerodynamic & respiratory muscle pressure aspects of patient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2(4), 203-213. (남도현, 최성희, 최재남, 최홍식 (2005). 내전형 경련성 발성 장애의 호흡압력과 공기역학적 특성. 음성과학, 12(4), 203-213.) 

  7. Choi, H. S., Lee, J. H., Kim, I. S., Koh, Y. W., Oh, J. S., Bae, J. H., Yun, H. C. & Choi, S. H. (2000). The acoustic and aerodynamic aspects of patients with spasmodic dysphonia. J Korean Soc Logoped Phoniatr, 11(1), 98-103. (최홍식, 이주환, 김인섭, 고윤우, 오종석, 배정호, 윤현철, 최 성희 (2000).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 적 양상.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1(1), 98-103.) 

  8. Rees, C. J., Blalock, P. D., Kemp, S. E., Halum, S. L. & Koufman, J. A. (2007). Differentiation of adductor-type spasmodic dysphonia from muscle tension dysphonia by spectral an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ery, 137, 576-581. 

  9. Roy, N., Whitchurch, M., Merrill, R. M., Houtz, D. & Smith, M. E. (2008). Differential diagnosi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using phonatory break analysis. Laryngoscope, 118(12), 2245-2253. 

  10. Sapienza, C. M., Walton, S. & Murry, T. (2000).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ular tension dysphonia: Acoustic analysis of sustained phonation and reading. Journal of Voice, 14(4), 502-520. 

  11. Patel, R. R., Liu, L., Galatsnos, N. & Bless, D. M. (2011). Differential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automatic on high-speed digital imaging. Annals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120(1), 21-32. 

  12. Higgins, M. B., Chait, D. H. & Schulte, L. (1999). Phonatory air flow characteristic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Research, 42, 101-111. 

  13. Yun, B. R., Kim, H. H., Choi, Y. L. & Choi, H. S. (2011). Voice characteristic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before and after botulinum toxin-A inje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54(2), 148-153. (윤보람, 김향희, 최예린, 최홍식 (2011). 내전형 연축성 발성 장애 환자의 보툴리눔 독소-A 주입술 전.후의 음성 특성 비교.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54(2), 148-153. 

  14. Zheng, Y. Q., Zhang. B. R., Su, W. Y., Gong, J., Yuan, M. Q., Ding, Y. L. & Rao, S. Q. (2012). Laryngeal aerodynamic analysis in assisting with the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Journal of Voice, 26(2), 177-181. 

  15. Nam, D. H. & Choi, H. S. (2007). Respiration and vocalization. Seoul: Koonja.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Institute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남도현, 최홍식 (2007). 호흡과 발성. 군자출판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음성언어의학연구소) 

  16. Plant, R. L. & Hillel, A. D. (1998). Direct measurement of subglottic pressure and laryngeal resistance in normal subjects and in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Voice, 12(3), 300-314. 

  17. Choi, H. S. (1998). Botulinum toxin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voice and speech disorders. Speech Sciences, 3,5-17. (최홍식 (1998). 보톨리눔독소 주입에 의한 음성장애 및 언어장애의 치료. 음성과학, 3, 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