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역량의 구성 영역 - 서울시 임대아파트 임차인 대표회 사례 -
Dimensions of Community Capacity: A Case of a Resident Committee in a Public Residence Lease Apartment Complex in Seoul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5, 2012년, pp.77 - 88  

곽민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윤난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장사랑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병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community capacity in a public residence lease apartment complex in Seoul as a case study, and discusses their application to community health promotion. Methods: The research team performe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 brief survey with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Goodman et al.(1998)의 각 역량 영역별 하부 영역들과 구성원들의 인터뷰 내용을 비교하고, 지역사회 역량의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터뷰에 이어진 과정 2에서 참여자들은 Goodman et al.
  • (1998)의 지역사회 역량을 구성하는 10개의 영역에 대해 우선순위 매기기를 하였다. 과정 1에서 도출된 영역들에 대해 지역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경험을 기준으로 해당 영역의 중요성과 긴급성을 순위에 따라 나열함으로써 지역사회가 우선시 하는 역량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조직 내에서의 위치가 리더인지 아닌지에 따라 동일 역량 영역에 대한 인식과 방향성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고(Lempa, Goodman, Rice, & Becker, 2008), 이는 같은 지역사회 내에서도 역량을 보는 다양한 시각과 관점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역량 파악에 직접 개입이 적었던 지역사회 구성원 당사자의 관점에서 그들의 지역사회가 가진 특성을 반영한 관점에서 파악한 역량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이는 지역 지역사회보건의 효율과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보건기관은 외부 전문가 의존도가 크고 지역사회는 본인의 요구보다 외부의 필요에 의한 보건사업에 동원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전과는 다른 관점에서 인적자본에 대한 전제에서 자유롭고, 지역사회의 자산에 기반을 둔 역량을 파악하면서 기존의 지역사회 역량 연구에서 언급한 지역사회 역량의 영역이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의 자산에 기반을 두고 지역사회 구성원이 인식하는 역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외의 지역사회 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한 지역사회 역량의 영역이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지역사회가 가진 강점과 자산의 측면에서 지역사회가 스스로 인식하고 판단하는 지역사회의 역량을 파악하고자 한 시도라는 점에서 기존의 국내 선행 연구들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구성원 개인과 조직의 특성을 인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역량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지역사회 역량에는 참여 이외에도 다른 여러 영역들이 있음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역량 영역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향후 지역사회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함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대한 하나의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 생각된다.
  • 이를 통해 국외의 지역사회 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한 지역사회 역량의 영역이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지역사회 안에서도 소속감이 서로 다른 집단들이 공존하고 그들 간 역학관계가 다양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확인된 역량의 영역들은 역량의 발달 단계가 각기 상이하고, 하나의 영역 안에서도 방향이 각기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서울시 A구에 위치한 B 영구 임대아파트(이하, B 아파트) 임차인을 대상으로 한 ‘아파트 주민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적용방안’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Cho, Yoo, Kwak, Yoon, & Jang, 2012). 이 과제는 2012년 서울시 인구의 절반(44.1%)이 생활하는 서울시민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주거지(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인 아파트와 입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참여형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B 아파트는 이 지역 재개발 지역 세입자가 전체 임차인의 47.
  •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의 자산에 기반을 두고 지역사회 구성원이 인식하는 역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외의 지역사회 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한 지역사회 역량의 영역이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지역사회 안에서도 소속감이 서로 다른 집단들이 공존하고 그들 간 역학관계가 다양함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 역량 개념을 적용할 떄 전제가 되는 것은? Chaskin (2001)의 지역사회 역량 관점에서는 지역사회의 개인, 조직, 네트워크가 각각의 기능을 하면서 역량이 형성되고, 이후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라 그 역량이 확대된다고 본다. 이 역량개념을 적용하려면 동기, 지식, 기술을 가진 인적자본이 전제되어야 하고, 개인, 조직, 네트워크가 각자 제 역할을 할 때 역량을 이야기할 수 있다. Jung et al.
지역사회기반조직 간의 파트너십의 한계는? (2009)은 지역사회기반 조직의 수, 조직 간 연대의 분화, 파트너십 발달 정도를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 지역사회 역량을 파악하였다. 지역사회기반조직 간의 파트너십은 보건사업기획의 주요 전략으로 이용되나, 조직들 간 파트너십이 지역사회 역량의 전부를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지역사회 역량 전반에 대한 적절한 대리지표로 보기 어렵다. 한편, Lee (2009)는 지리학 분야 연구에서 개인역량, 물리적 시설 역량, 지역경제역량, 지역의 민간조직 역량, 공공서비스 제공 역량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강화된 상태를 지역사회 역량(Kretzmann & McKnight, 2005)으로 보고, 이 중 개인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요인인 참여에 관심을 두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 역량의 정의·개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분야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 역량의 정의·개념에 대한 연구는 도시학, 간호학, 보건학 등의 분야에서 진행되었다(Ahn, 2007; Jung, Gil, & Cho, 2009; Kim & Gu, 2011; Lee, 2009; Shim, 2004). Ahn (2007)은 지역사회 보건간호에서 ‘지역사회 역량’이 종종 언급되나 이에 대한 이해는 부재하다 지적하고, 선행 연구 상의 종합적인 정의로 Chaskin (2001)의 지역사회 역량 개념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he Aspen Institute. (1996). Measuring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 workbook-in-progress for rural communities.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 Ahn, Y. H. (2007).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1), 102-109. 

  3. Bopp, M., GermAnn, K., Bopp, J., Littlejohns, L. B., & Smith, N. (2000). Assessing community capacity for change. Alberta, Canada: David Thompson Health Region and Four Worlds Centre for Development Learning. 

  4. Chaskin, R. J. (200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 definitional framework and case studies from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Urban Affairs Review, 36, 291-323. 

  5. Cho, B. H., Yoo, S., Kwak, M. S., Yoon, N., & Jang S. (2012). A study o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pplication for apartment housing dwellers.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6. Easterling, D., Gallagher, K., Drisko, J., & Johnson, T. (1998). Promoting health by building community capacity: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grant makers. Denver, CO: The Colorado Trust. 

  7. Goodman, R. M., Speers, M. A., McLeroy, K., Fawcett, S., Kegler, M., Parker, E., . . . Wallerstein, N. (1998). Identifying and defining the dimensions of community capacity to provide a basis for measurement.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25(3), 258-278. 

  8. Jung, M., Gil, J., & Cho, B. H. (2009). The measurement of community capacity using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la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3), 35-48. 

  9. Ki, H. J. (2012). Public residence lease apartment complex and maeul community. Retrieved from http://blog.naver.com/swf1004?RedirectLog&logNo130149157796 

  10. Kim, H. S. & Gu, M. O. (2011). Effects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 for garlic cultivating farmers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and community capacity building frame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80-91. 

  11. Kim, J. M., & Koh, K. W. (2009). Assessment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capacity for healthy cit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2), 119-133. 

  12. Kim, J., & Choi, M. (2010).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s and drinking behavior by gender differences in residents of an apartment complex in Seou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1(1), 105-115. 

  13. Kretzmann, J. P., & McKnight, J. L. (2005). Discovering community power: A guide to mobilizing local assets and your organization's capacity. Evanston, IL: ABCD Institute. 

  14. Laverack, G. (2001). An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community empowerment.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6(2), 134-145. 

  15. Lee, Y. A. (2009). Exploring key fac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for local capacity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5(2), 261-272. 

  16. Lempa, M., Goodman, R. M., Rice, J. R., & Becker, A. B. (2008). Development of scales measuring the capacity of community-based initiatives. Health Education & Behavior, 35(3), 298-315 

  17. Liberato, S. C., Brimblecombe, J., Ritchie, J., Ferguson, M., & Coveney, J. (2011). Measuring capacity building in communit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BMC Public Health, 11, 850. doi: 10.1186/1471-2458-11-850 

  18. MacLellan-Wright, M. F., Anderson, D., Barber, S. Smith, N., Cantin, B., Felix, R., & Raine, K. (2007). The development of measures of community capacity for community-based funding programs in Canada.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2(4), 299-306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The 5th Community Health Plan guideline. Seoul, Korea: Author. 

  20. Prestby, J. & Wandersman, A. (1985). An empirical exploration of a framework of organizational viability.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21(3):287-305. 

  21. Saldana, J. (2009).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London, UK: SAGE. 

  2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Seoul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October 11, 2012 from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actVIEW&boardId14207 

  23. Shim, J. M. (2004). A study on the community empowerment through village action planning: a case of local regeneration in Chulahm.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4. Shim, J. (2008). Understanding NIMBY Conflicts. The Korea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22(4), 73-97. 

  25. Simmons, A., Reynolds, R. C., & Swinburn, B. (2011). Defining community capacity building: is it possible? Preventive Medicine, 52(3-4), 193-199. 

  26. Smith, N., Littlejohns, L. B., & Roy, D. (2003). Measuring community capacity: state of the field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Coronation, Canada: David Thompson Health Region. 

  27. Smith, N., Littlejohns, L. B., & Thompson, D. (2001). Shaking out the cowebs: insights into community capacity and its relation to health outcomes.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26, 30-41. 

  28.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Albany, NY: SUNY press. 

  29. Yoo, S. (2009).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CBPR) for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141-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