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Designing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4, 2012년, pp.437 - 455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장소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로컬리티 기록화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x 등이 주창한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과 우리나라에서 최근 이루어진 관련 연구 등을 분석하여 로컬리티 기록화의 방향과 전략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로컬리티 기록화 패러다임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공간 기반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spanDoc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기록화의 원칙, 구조, 절차를 포함하며, 특히 로컬리티 기록화의 결과가 디지털 환경에서 축적되고 활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It begins with analysing the changes of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locality documentation through literature surveys. Based on the analysis, a new paradigm of locality documentation is suggested in digital environm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큐멘테이션 전략이 비판받은 이유는? 그간 도큐멘테이션 전략은 이론적, 방법론적 한계와 과도한 비용 및 시간 등을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능동적 기록의 수집과 생산을 추구하는 기본 철학은 현대에 들어 중요한 가치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기록문화가 척박한 우리의 기록관리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지방 영구기록관리기관이 부재한 우리의 현실에서, 지역의 기록을 파악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도큐멘테이션 전략은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설문원 2010).
기록화 전략이 재조명 받아 온 이유는? 목적과 관점에 따라 영역을 달리 설정할 수있지만 공간/장소와 같은 영역의 기록화 전략과 문화, 산업 정책 등과 같은 주제 영역별 기록화 전략은 달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선택된 영역에 맞는 모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기록화 전략은 방법론적인 약점에도 불구하고‘기록되지 않은 역사’를 복원한다는 관점에서 재조명을 받아 왔다(Malikimus 2008; Johnson 2008). 특히 기록된 과거와 경험한 과거의 불일치, 혹은 격차를 보일 때 기록화 전략은 일종의 기억 투쟁의 성격2)을 띠게 된다(Hedstrom 2010).
spanDoc 모형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공간 기반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spanDoc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기록화의 원칙, 구조, 절차를 포함하며, 특히 로컬리티 기록화의 결과가 디지털 환경에서 축적되고 활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한준. 2010. 문화콘텐츠와 정보기술의 결합. 제2회 SSK 로컬리티 기록화 연구단 컬로퀴엄 자료집(2010. 12. 16), 17-36. 

  2. 권순명. 2008.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 기록정보전문대학원, 기록관리트랙. 

  3.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 

  4. 김탁환. 2008. 디지털시대 전통 기록과 스토리텔링 연구. 국학연구, 12: 291-312. 

  5. 류정아. 2006.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이론과 실제. 인문콘텐츠, 8: 39-57. 인문콘텐츠학회. 

  6. 박경환. 2008. 기록유산을 활용한 전통문화콘텐츠 개발. 국학연구, 12: 313-341. 한국국학진흥원. 

  7. 송유림, 동정근. 2008. 기억을 통한 공공공간의 내러티브화에 관한 연구.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28(1)(계획계). 

  8.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9.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07-230. 

  10. 설문원. 2012a.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11. 설문원. 2012b. 로컬리티 기록콘텐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17-342. 

  12. 양홍숙. 2010. 부산 로컬리티 탐구: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제1회 SKK 로컬리티의 기록화 컬로퀴엄 자료집 (2010. 11. 19), 21-37. 

  13. 오명진. 2012. 동시대 역사적 사건의 기록화 전략: 2004년 대통령 탄핵사건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4. 유광흠 등. 2008.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구축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안양: 건축 도시공간연구소. 

  15. 이미영. 2009. 재해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한신 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1: 85-116. 

  16.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10. 아시아문화정보원 상세업무프로세스 및 매뉴얼 개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회의자료. 

  17.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권 기록자료 DB 및 역사체험 콘텐츠 구축' 보고서 

  18. Calisphere [online]. [cited 2012.11.8]. . 

  19. Cox, Richard J. 1996.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for American Archivists and Manuscript Curators. Lanham. Md., & London: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The Scarecrow Press. p. 67. 

  20. Hedstrom, Margaret. 2010.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More than a metaphor, less than an analogy.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Ch. 8(Terry Eastwood and Heather MacNeil, ed. Santa barbara : Libraries Unlimited): 163-180. 

  21. Johnson, Elizabeth Snowden. 2008. "Our Archives, our selves: documentation strategy and the re-appraisal of professional identity." American Archivist, 71: 190-202. 

  22. Malkimus, Doris J. 2008. "Documentation strategy: Mastodon or retro-success?" American Archivist, 71: 384-409. 

  23. Online Archive of California [online]. [cited 2012.11.8]. . 

  24. Tedd, Lucy A. 2011. "People's Collection Wales: Online access to the heritage of Wales from museums, archives and libraries."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45(3): 333-3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