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기지역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및 급식만족도 -미국계 외국인 학교를 중심으로-
Dietary Habits and Foodservice Attitudes of Students Attending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6, 2012년, pp.744 - 757  

김옥선 (장안대학교 건강과학부 식품영양과) ,  이영은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원광식품산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설립자 국적이 미국인으로 영어권 학교이면서 인가를 받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외국인 학교로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 중 고등학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으며, 급식소를 위탁운영하고 있는 3개교의 5학년에서 12학년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급식 메뉴 및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A학교의 학생은 129명, B학교의 학생은 136명, C학교의 학생은 137명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130명(32.3%), 여학생은 272명(67.7%)로 나타나 여학생의 응답비율이 높았다. 학년에서는 우리나라의 중학교 1~3학년에 해당하는 7~9학년이 191명(47.5%)으로 가장 많았다. 2.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는 평균 3번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평균 3.39번, 여학생이 2.95번으로 나타나 여성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가 남학생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0~12학년의 하루 식사횟수가 3.13회로 가장 많았으며, 7~9학년이 3.08회로 적었다. 한 끼 식사를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대략 23~30분으로 조사되었으며, 식사할 때 행동은 학교, 성별, 학년 모두 가족과 대화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하루 중 가장 과식하는 식사는 학교, 성별, 학년에서 모두 저녁으로 조사되었다. 아침식사 빈도에 대한 질문에서 학교에 따라서는 평균 5.10회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평균 5.35회, 남학생은 4.59회로 조사되어 남학생의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결식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외식에 대한 빈도는 일주일에 평균 1.78회로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은 평균 2.15회로 여학생 1.60회보다 외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5~6학년이 1.87회로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외식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을 하는 이유는 학교, 성별, 학년 모두 과자를 먹고 싶어서라고 응답하였으며, 간식을 하는 시간은 점심과 저녁시간 사이라고 하였으며, 간식 아이템으로는 쿠키와 칩이 많았다. 편식을 하는 이유는 학교, 성별, 학년 모두에서 입맛에 맞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으며, 편식을 하는 식품은 모두 생선이라고 응답하였다. 3. 외국인 학교별 급식 메뉴 만족도 모든 항목에서 세 학교 중 외국인 학생 비율이 많은 A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급식 메뉴 만족도 항목에서 온도의 적절성, 맛, 메뉴의 다양성, 음식 재료의 신선도 순으로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급식 메뉴 만족도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음식재료의 신선도가 여학생의 경우는 메뉴의 다양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급식 메뉴 만족도에서 5~6학년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온도의 적절성, 맛, 메뉴의 다양성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급식 메뉴 만족도는 전 항목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외국인 학교별 급식서비스 만족도 결과에서 A학교의 만족도가 B와 C학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학교의 경우 급식종사원이 고객에게 항상 친절하다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 분석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식당의 위생 및 청결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과 트레이가 청결하다 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불평처리가 신속하다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도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nd the expansion of food exports through contract foodservices. A survey of dietary habits and attitudes toward school foodservices was given to students in three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s served by a domestic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설립자가 미국인으로 영어권 학교이면서 인가를 받은 서울·경기지역 소재 초ㆍ중ㆍ고등학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는 외국인 학교 3곳의 5학년에서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급식 메뉴 및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하여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및 급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급식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고 향후 한국 음식 문화를 통한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무엇이 형성되는 시기인가? 13세에서 20세 전까지의 청소년기는 제 2의 성장기이며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로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를 통하여 신체적 성장과 정신적 건강을 함께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Lee & Yoo 1997, 이 등 2008, Kim et al 2009). 그러나 청소년들은 영양의 불균형, 잦은 결식, 빈약한 아침식사, 식사시간의 불규칙 및 입시에 대한 중압감과 사춘기의 심리적 불안정 상태 등에 의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적절한 식사 행동을 유지하기 어렵고,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무분별한 체중 감소 및 편식으로 인하여 잘못된 식습관이 형성될 수 있다(Yoo et al 2000, Jeong & Kim 2009).
설립자 국적이 미국인으로 영어권 학교이면서 인가를 받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외국인 학교로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 중 고등학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으며, 급식소를 위탁운영하고 있는 3개교의 5학년에서 12학년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급식 메뉴 및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 한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설립자 국적이 미국인으로 영어권 학교이면서 인가를 받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외국인 학교로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 중 고등학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으며, 급식소를 위탁운영하고 있는 3개교의 5학년에서 12학년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급식 메뉴 및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A학교의 학생은 129명, B학교의 학생은 136명, C학교의 학생은 137명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130명(32.3%), 여학생은 272명(67.7%)로 나타나 여학생의 응답비율이 높았다. 학년에서는 우리나라의 중학교 1~3학년에 해당하는 7~9학년이 191명(47.5%)으로 가장 많았다. 2.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는 평균 3번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평균 3.39번, 여학생이 2.95번으로 나타나 여성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가 남학생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0~12학년의 하루 식사횟수가 3.13회로 가장 많았으며, 7~9학년이 3.08회로 적었다. 한 끼 식사를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대략 23~30분으로 조사되었으며, 식사할 때 행동은 학교, 성별, 학년 모두 가족과 대화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하루 중 가장 과식하는 식사는 학교, 성별, 학년에서 모두 저녁으로 조사되었다. 아침식사 빈도에 대한 질문에서 학교에 따라서는 평균 5.10회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평균 5.35회, 남학생은 4.59회로 조사되어 남학생의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결식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외식에 대한 빈도는 일주일에 평균 1.78회로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은 평균 2.15회로 여학생 1.60회보다 외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5~6학년이 1.87회로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외식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을 하는 이유는 학교, 성별, 학년 모두 과자를 먹고 싶어서라고 응답하였으며, 간식을 하는 시간은 점심과 저녁시간 사이라고 하였으며, 간식 아이템으로는 쿠키와 칩이 많았다. 편식을 하는 이유는 학교, 성별, 학년 모두에서 입맛에 맞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으며, 편식을 하는 식품은 모두 생선이라고 응답하였다. 3. 외국인 학교별 급식 메뉴 만족도 모든 항목에서 세 학교 중 외국인 학생 비율이 많은 A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급식 메뉴 만족도 항목에서 온도의 적절성, 맛, 메뉴의 다양성, 음식 재료의 신선도 순으로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급식 메뉴 만족도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음식재료의 신선도가 여학생의 경우는 메뉴의 다양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급식 메뉴 만족도에서 5~6학년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온도의 적절성, 맛, 메뉴의 다양성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급식 메뉴 만족도는 전 항목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외국인 학교별 급식서비스 만족도 결과에서 A학교의 만족도가 B와 C학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학교의 경우 급식종사원이 고객에게 항상 친절하다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 분석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식당의 위생 및 청결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과 트레이가 청결하다 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불평처리가 신속하다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도 '테이블과 트레이가 청결하다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급식서비스 모든 항목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외국인 학교별 식습관 비교를 통하여 하루 식사 횟수와 아침식사의 빈도가 높을수록 외식과 간식의 빈도가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식사의 횟수가 부족할 경우 비만 및 과체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1일 3끼의 규칙적인 식사의 중요성 인지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기호와 관능적요소를 만족시키는 메뉴 개발로 식사의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간식의 경우 학교 매점 등에 비치되어 있는 식품의 구성을 제 2의 성장기인 청소년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건강한 식품으로 바꾼다면 올바른 간식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점심식사 한 끼를 제공하는 학교급식은 정상적 발육을 위한 충분한 영양공급을 해야 하나 영양적인 급식이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학생들이 제공된 음식을 다 섭취하지 않는다면 의도하는 영양소 섭취와 음식을 접할 기회 및 경험, 급식을 통한 교육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감수성이 예민한 식습관 형성 시기에 있음을 고려하여 이들의 정확한 식습관 파악과 식단 작성 시 메뉴 및 서비스 품질 속성을 명확히 규명하고, 의사소통의 도구를 개발하여 전반적인 만족도 상승을 위해 급식업체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009년 기준 미국을 비롯한 대만·영국·독일·일본 등의 외국인 학교가 전국에 몇개가 있는가? kr 2010). 우리나라에는 2009년 12월 기준으로 미국을 비롯한 대만·영국·독일·일본 등의 외국인 학교가 전국에 45개교 있으며(www.isi.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은경, 남혜원, 박영심, 명춘옥, 이기완 (2008) 생애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서울. pp 184-208. 

  2. 보건복지부 (2011) 2010 국민건강통계. pp 46-47. 

  3. 양일선 (2007) 2007 학교 급식 만족도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p 4. 

  4. 이연숙, 임현숙, 안홍석, 장남수 (2008) 생애주기 영양학. 교문사, 서울. pp 275-273. 

  5. Birch I (1987) The role of experience in children's food acceptance patterns. J Am Diet Assoc 98: 536-540. 

  6. Byun GI, Jung BH (2006)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n the menu of school lunch servi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ju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481-490. 

  7. Cha YS, Kwak TK, Hong WS (2004) The analysis of customers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0: 309-321. 

  8. Chang HS, Park HS (2009) A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 and their dietary behavior in Gunsan cit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 477-489. 

  9.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 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19-533. 

  10. Choi MK, Bae YJ, Kim MH, In SJ (2010) A study of the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u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6: 133-145. 

  11. Han MJ, Yoon YJ, Kim NY, Yoo YH (2004) Satisfaction of meal and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foodservice institu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545-551. 

  12. Hong YJ (1999) A study on the relation of eating behavior and food intake to obesity index of adolescents. Korean J Nutr 14: 535-554. 

  13. Hur HK, Park SM, Kim GY, Ahn JS, Song HY, Kim KK (2003) A cross-sectional study of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 among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Wonju city. J Korean Soc for Health Edu and Promo 20: 159-171. 

  14. Hwang GH, Jung LH, Yoo MJ (2001) The eating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hamatological status of the low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in Gwangju. Korean J Food & Nutr 14: 293-299. 

  15. Jang HR, Kim HY (2005) Survey on the satisfaction degree for school lunch program of elimentary school students in Yongin. Korean J Food & Nutr 18: 155-160. 

  16.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 55-66. 

  17. Jung KA (2012)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of 5th & 6th grade students and the dietary life education by teachers: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s in Chuncheon a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 266-285. 

  18. Karen JM, Mary EZ, Gary LS (1986)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s of U.S. children and adolescents. Nutrition Research 6: 635-646. 

  19. Kim ES (2004) A study on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 of school food service in middle school students-Focused on Kunsan area Chonbuk province.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pp 48-58. 

  20. Kim KA, Kim SJ, Jung LH, Jeon ER (2002)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school foodservice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Chonnam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79-585. 

  21. Kim K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ut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180-190. 

  22. Kim MH, Bae YJ, Kim YH, Choi MK (2009) The study of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unch program for 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Food & Nutr 22: 598-605. 

  23.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 215-224. 

  24. Kim SH, Cha MH, Kim YK (2006)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and food intake on menu items offered by school food service in Daeg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45-954. 

  25. Kim SH, Lee KA, Ryu CH, Song YS, Kim WK, Yoon HR, Kim JH, Lee JS, Kim MK (2003) Comparison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s in middle and high schools by food service managements types. Korean J Nutr 36: 211-222. 

  26. Kim YH, Cho YB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foodservi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nd Kyungnam a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 338-347. 

  27. Lee HS, Jang MH (2005) Survey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food-service programs in Gangwon province. Korean J Food & Nutr 18: 175-191. 

  28. Lee KH, Park ES (2010) School food service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Iksan, Cheonbuk).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108-123. 

  29. Lee II, Yoo Y (1997) The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status of the youth in rural areas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294-304. 

  30. Lee SY, Lee YS, Park JS, Bai YH, Kim YO, Park YS (2004) Developing breakfast menus for most easily breakfastskipping group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 315-325. 

  31. Lee Y, Kim G, Chang K (2000)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6: 86-96. 

  32. Lee YJ (2006) Importance & satisfaction of students on service quality of high school foodservice: Focused on Kyungjoo city. Korean J Food Culture 21: 154-160. 

  33. Mo MS, Choi HM, Lim HY, Park YJ (1993) Community nutri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pp 42-50. 

  34. Oh YM, Kim MH, Sung CJ (2006) The study of satisfaction, meal preference and improvement on school lunch program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n Jeonju. J Korean Diet Assoc 12: 358-368. 

  35. Park HO, Kim EK, Chi KA, Kwak TK (2000) Comparison of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lifestyle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586-597. 

  36. Park KJ, Jang MR (2008) Survey on satisfaction of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Won-ju. J Korean Diet Assoc 14: 13-22. 

  37. Yeoh YJ, Yoon Jh, Shim JE (2009)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diet quality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 1-11. 

  38. Yi NY, Kwak TK, Lee KE (2006)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473-480. 

  39. Yon MY, Han YH, Hyun TS (2008)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307-322. 

  40. Yoo YJ, Hong WS, Choi YS (2000) The assess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ood servic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ype of food service manage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16: 112-120. 

  41. You JS, Kim SM, Chang KJ (2009)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 Nutr 42: 256-267. 

  42. http://www.fns.usda.gov. Accessed October 15, 2012. 

  43. http://www.isi.go.kr Accessed August 06, 2012. 

  44. http://www.mest.go.kr. Accessed January 1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