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학생의 식품 섭취 교육방향 탐색을 위한 가정 교과서 및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 섭취 변화 추이 분석
Analysis of Contents of Food Intake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and Food Intake Trend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Using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Exploring Education Direction of Food Intake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3, 2019년, pp.179 - 192  

김선효 (공주대학교 기술.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식품 섭취 내용을 분석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해 중학생의 식품 섭취 변화 추이를 파악하여 중학교의 식품 섭취 교육방향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2015 교육과정 적용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 보급률이 높은 3종을 대상으로 가정 부분에서 식품 섭취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고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만 13~15세 2,543명을 대상으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변화 추이와 이들 간의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Pearson 상관계수로 파악하였다. 중학교 가정 1, 2 교과서의 식품 섭취 관련 내용은 영양소별 급원 식품, 식품군명, 다양한 식품군 섭취의 필요성, 식사 구성안 관련 식품군별 섭취 횟수와 식사계획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식품 섭취 변화 관련 내용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식품군별 섭취량은 곡류 및 그제품 섭취량이 2007~2010년까지 증가하다 2011년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p=0.0012), 당류 및 그제품, 음료 및 주류, 어패류 섭취량이 증가하는 추세이었다(p<0.0001). 영양소별 섭취량은 탄수화물, 지질, 비타민 A, 티아민, 철 등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추세이었다(p=0.0052). 탄수화물(p=0.0009)에 의한 에너지 섭취 비율은 감소하고 지질(p<0.0001)에 의한 에너지 섭취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이었다. 영양소 섭취량의 영양소 섭취기준에 대한 비율은 연도와 관계없이 식이섬유는 19~27%, 칼슘은 46~56% 수준으로 매우 낮은 반면에, 나트륨은 221~289% 수준으로 높았다. 당류 및 그제품, 두류 및 그제품, 종실류 및 그제품, 해조류, 음료 및 주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식품군 섭취량과 에너지,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칼슘, 철 섭취량 간에 유의적인 양의 관계가 있었다(p=0.0375). 이상에서 2007~2015년 동안 중학생의 당류 및 그제품, 음료 및 주류, 어패류 섭취량 등이 증가하고, 식이섬유, 칼슘 섭취가 부족하고, 지질에 의한 에너지 섭취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로서 영양균형을 위협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학교 가정 교과서에 식품 섭취 관련 기본 내용과 함께 식품 섭취 변화 속에서 식생활 문제를 인식하고 균형 잡힌 식품 섭취를 유지해나감으로써 영양과 건강을 돕도록 하는 실생활 기반 내용을 포함시키고 지도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food intake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and the trends of foo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to figure out the education direction of food intake. The contents of food intake were analyzed in major three kinds of middle s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청소년 대상 관련 연구와 교육적 시도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식품 섭취 내용을 분석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중학생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변화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맞고 미래지향적인 식생활 관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중학교 식품 섭취 교육방향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식품군별 섭취량은 연령별로 나누지 않고 1세 이상의 전체 연령군에 대해 제시해왔으며 최근에 들어 연령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찰에서는 우리나라 사람의 연도별 식품군별 섭취량 변화 추이를 통해 식품 섭취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특정 생애주기에 대한 것보다 한국인 전체 연령군에 대한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43년동안(1975~2017년) 한국인의 식품 섭취 양상은 크게 변화해 1인 1일당 식품섭취량 중 동물성식품 비율은 평균 14.
  • 또한 중등학교 가정교과의 식생활교육에서 식품 섭취 관련 기본 내용과 함께 식품 섭취 변화에 따른 최근의 식생활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식품 섭취 다양성을 유지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하며, 이를 위해 가정 교과서에 관련 내용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일부 가정 교과서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식품 섭취 관련 내용을 파악하여 식생활 교육 방향을 탐색하였으므로 객관적인 자료 확보와 결과 도출에 미흡한 점이 있다. 그러나 주요 교과서와 다년간의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통합해 파악한 자료인만큼 중학교 가정교과의 식생활 교육방향 탐색을 위한 구체적인 근거가 되어, 향후 관련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가 되고 실생활 중심과 미래 지향적인 가정과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식품 섭취 내용을 분석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식품 섭취 변화 추이를 파악하여 중학교 식품 섭취 교육방향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2015 교육과정 적용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 보급율이 높은 3종을 선택해 가정 부분의 식품 섭취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고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만 13~15세 2,543명을 대상으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 변화 추이와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 식품 섭취 양상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이 달라지므로(Bae, 2012; Kim & Kim, 2005), 한국인의 식품 섭취가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영양소 섭취량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최근 43년동안(1975~2017년) 영양소 섭취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MOHW & KCDC, 20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75~2017년 동안 한국인에서 섭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식품군은 무엇인가? 1975~2017년 동안 한국인에서 섭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식품군은 육류와 우유류이다. 이 기간에 1인 1일당 평균 섭취량이 육류에서 105.
청소년기에 신체성장 및 발달을 위해 식품군을 골고루 그리고 적당량 섭취해야하는 이유는? 청소년기 전기에 속하는 중학생 시기에는 제2의 급성장기를 맞아 신장과 체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신체기관이 빠르게 발달하므로 영양요구량이 높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에너지와 함께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여 신체성장 및 발달을 지지해 주어야 한다(Lee et al,, 2017).
식품군은 어떻게 나뉘는가? 이를 위해 식품군을 골고루 그리고 적당량 섭취하는 영양균형식을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식품군은 함유하고 있는 주요 영양소를 기준으로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유지⋅당류의 6가지 군으로 나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Y., Park, Y. J., Park, S. J., Min, H., Kwak, H. K., Oh, K. S., & Park, C. (2007). Dietary patterns and prevalence odds ratio in middle-aged adults of rural and mid-size city in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Korean J Nutr, 40(3), 259-269. 

  2. Bae, Y. J. (2012).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related to obesity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dietary diversity scor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7(4), 419-428. 

  3. Bae, Y. J., & Yeon, J. Y. (2013).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according to beverage consump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08. J Nutr Health, 46(1), 34-49. 

  4. Jang, Y. M., & Kim, Y. K. (2018).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uni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focus on the national curriculums from 1st to 2009 revised.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4), 93-112. 

  5. Jung, J. (2016). Action plan for sugars reduction. Food Science and Industry, 49(3), 12-16. 

  6. Kang, Y. J., & Kim, H. S. (2008).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fiber intake of high school girls in Chungbuk area.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24(1), 121-131. 

  7. Kim, B. R., & Cho, Y. E. (200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oo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5), 986-992. 

  8. Kim, B. R., & Kim, Y. M. (2005). Evaluation of food intake and diet quality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3), 83-96. 

  9. Kim, G. R., & Kim, M. J. (2007). A survey on the food pre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chool food servic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4), 138-150. 

  10. Kim, H. J., & Kim, S. H. (2018). Study on the intake attitudes and educational needs of sugar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Gongju city of Chungnam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12), 1327-1337. 

  11. Kim, J. H. (2010). Studies inquiry on school dietary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89-203. 

  12. Kim, N. E. (2017).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field of home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veloped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2), 23-39. 

  13. Kim, S. H. (2017). Textbook analysis of middle school-Home Economics and survey on consumption statu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milk and dairy produ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ongju city,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4), 117-131. 

  14. Kim, S. H., Lee, K. A., Lee, H. S., Kim, M. H., Kim, J. M., & Lee, O. H. (2017). Eating and health (2nd ed). Paju: Powerbook.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2018 Report of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heongju, Korea: Author. 

  16. Lee, C. S., et al. (2018).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 2. Seoul: Chunjae. 

  17. Lee, K. A. (2015). Comparisons of the eating habit, preferences and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4), 93-107. 

  18. Lee, M. S., Kim, J. H., Lee, B. S., Lee, Y. N., Son, S. M., & Lee, J. W. (2016). Nutritional assessment (4th ed). Paju: Gyomoonsa. 

  19. Lee, S. J. (2011). The change and direction of improvements in dietary education based on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focusing o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1), 155-174. 

  20. Lee, Y. S., Lee, M. Y., & Lee, S. Y. (2014).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by dietary patterns of middle-aged adult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9(6), 527-536. 

  21. Lee, Y. S., Lim, H. S., Chang, N., Ahn, H. S., Kim, C., Kim, K. N., & Shin, D. M. (2017).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4th ed). Paju: Gyomoonsa. 

  22. Ministry of Education. (2015).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Computer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2015-74 [Separate Issue 10]. Sejong: Author. 

  23. Ministry of Education. (2016). Press release on sample analysis results of physical development, health examination and etc.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Press of Ministry of Education. 2016.2.25. Sejong: Author.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2016).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ju, Korea: Author.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Korea: Author.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Author. 

  27. Na, E. K. (2008). Food intake patterns of adolescents using 2001,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28. Park, I. Y., & Lee, S. Y. (2006). A comparis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of nutrition and eating behaviors before and after studying the unit of eating habi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4), 25-38. 

  29. Wang, S. S., et al. (2018).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 2. Ansan: Dongapublishing. 

  30. Yang, S. J., Chae, J. H., Yu, N. S., & Park, M. J. (2015).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1), 31-50. 

  31. Yoon, I. K., et al. (2018).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 2. Seoul: Mirae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