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의 제품구매 및 취식 행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purchase and intake patterns of individuals consuming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or health/functional foods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6, 2012년, pp.541 - 551  

원혜숙 (동남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효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곽진숙 ((주)바이오푸드CRO) ,  김주희 ((주)바이오푸드CRO) ,  김미경 ((주)바이오푸드CRO) ,  권오란 ((주)바이오푸드CRO)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제품유형별 구매 및 취식행동과 제품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6%, 여자 71.4%, 평균연령 $34.2{\pm}5.9$세, 대졸 71.9%, 기혼 65.8%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88.1%로 높게 나타났다. 제품 구입 시 고려하는 요인으로 '제품의 기대효과/효능'을 우선하였고, 구입 장소는 '인터넷 쇼핑몰'이 가장 많았고, 제품의 제형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은 '알약형태',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은 '바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p < 0.001). 제품을 구입 시 건강기능식품군은 평균 $2.3{\pm}1.3$개월분,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1.7{\pm}0.8$개월분을 구입 (p < 0.001)하였고, 1일 평균취식빈도가 각 $1.7{\pm}0.7$회, $1.5{\pm}0.9$회 였다 (p < 0.05). 제품을 이용한 체중감량 목표기간은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2.1{\pm}1.1$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1.7{\pm}1.2$개월 (p < 0.05)였다. 제품만족도는 5점 기준으로 평균 $3.6{\pm}0.6$점으로 '만족하는 편'이였다. 향후 이용 체중감량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향후에도 '건강기능식품복용'이 44.5%,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품복용'이 47.2%로 현재 제품유형을 향후에도 사용하고자 하였다.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입 시 취식예정 평균 개월은 건강기능식품군이 $3.8{\pm}3.7$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 $3.0{\pm}2.4$개월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효능/효과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체지방 축적 억제에 도움을 줌'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몸매개선에 도움을 줌'이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가장 중요하게 관리/대처해야 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원산지/원료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속성으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몸에 좋은 효과가 입증된 성분/소재를 사용함'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기능성 원료 외에 함께 들어가 있는 원료가 좋아 보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 섭취군에 비해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좀 더 길게 설정을 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의 기능성과 소재 (원료)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중요하게 여기며 만족도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설정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며, 기능성원료 외에도 함께 첨가되는 원료를 중요하게 또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상업용 다이어트식품 시장 중 법적인 관리 하에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시장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산업체들의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ur previous work, we reported consumers' perceptions of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In an ongoing effort, we analyzed the purchasing behavior, intake patterns, future purchasing decisions,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individuals consuming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DF) or heath/f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들 시장에 대한 소비자 수용 요인을 조사하는 연구는 소비자 주도적 제품개발 및 연구에 필수적이며, 성공적인 시장 점유를 위한 성공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20) 따라서 본 연구진은 앞선 연구21)에서 체중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과 특수용도식품의 두 가지 식품 유형을 실제로 섭취하거나 구입한 대상자들을 구분하여 체형 및 체중조절 인식을 분석하여 보고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다이어트 식품의 구매 및 취식 행태, 향후 다이어트 식품의 구매 태도, 그리고 다이어트 식품에 대한 만족도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이들 제품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의 의견 수용은 성공적인 식품 개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조사는 제품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23)본 연구는 체중조절을 위해 실제로 체지방조절 건강기능식품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구입 또는 취식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구매 및 취식 행동을 조사하고 향후 이들 제품들의 선택 의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세부시장에 대한 소비자 주도적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제품유형별 구매 및 취식행동과 제품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이어트 식품이란 용어의 뜻은? 실제로 다이어트 식품이란 용어는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식품의 유형은 아니지만 이와 같은 체지방조절 기능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11)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실태와 관련 지식,12) 식행동, 및 다이어트식품 구매행태13)를 조사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다이어트 식품을 구분하지 않고 범위를 포괄적으로 정하여 조사하였으며, 대상자는 주로 여성과 비만인에 한정하였다.
상업용 다이어트식품이 관심받는 이유는? 1,2) 이와 더불어 상업용 다이어트식품이 체중조절의 하나의 방법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다이어트 식품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다.3-6) 즉 약물 사용보다 접근성이 용이하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을 이용한 체중감량에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7,8) 체중조절의 기능성을 표시하며 판매할 수 있는 식품의 유형으로는 건강기능식품과 특수용도식품이 있다.
최근에 체중감량이 많이 시도되는 이유는? 최근에는 건강의 증진 뿐 아니라 외형 가꾸기에 치우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체중감량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1,2) 이와 더불어 상업용 다이어트식품이 체중조절의 하나의 방법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다이어트 식품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vy AS, Heaton AW. Weight control practices of U.S. adults trying to lose weight. Ann Intern Med 1993; 119(7 Pt 2): 661-666 

  2. Park JW, Park HM, Ha NS. A study on the obesity and weight control method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4; 13(1): 5-13 

  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ealth industry white paper. Cheongwon; 2009. p.309 

  4. Food News. Total functional food sales in 2009. 2010 May 28 [cited 2010 Sep 13]. Available from: http://www.foodnews.co.kr 

  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production output of food and food additives. Cheongwon; 2006-2008 

  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Cheongwon; 2006-2008 

  7. Yim KS. A guide for selecting substitutional foods for obesity treat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3): 424-432 

  8. Chae MS, Kim MS, Jeong GY.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of diet health functional food brand using innovative new product development-the case of Amore Pacific's S'lite slimmer DX. Korea Bus Rev 2012; 16(2): 63-87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ealth functional food information. Cheongwon; 2008-2012. Available from: http://hfoodi. kfda.go.kr/material/mat2_list.jsp?cateIdx22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s in KFDA notification 2010-58; 2010 

  11. Yuh YJ. A monthly advertising review. Seoul; 2002 May 

  12. Kim MK, Lee GC. Weight reduction dieting survey and satisfaction degree and diet related knowledge among adult women by 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5): 572-582 

  13. Ha A, Yi SH, Kang NE. The patterns of purchasing diet/low-calorie food and obesity related eating behavior in normal and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Nutr 2009; 22(4): 650-661 

  14. Oh JY. A study on the practice about diet, the present condition and expectation degree of commercial diet in female college students [MA thesis]. Seoul: Dongduk Women's University; 2002 

  15. Kang JN. Survey on the diet habit and intake of diet foods by urban women in thirties and forties [MA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2 

  16. Park KS. A study on the dieting style and satisfaction of obese women [MA thesis]. Seongnam: Kyungwon University; 2008 

  17. Chang MK, Kim Y. Assessment of functional food consumption among the working women in Korea. Korean J Nutr 2008; 41(8): 832-838 

  18. Kim HJ. The study about the actual usage condition and purchasing habitus of health/functional foods in female residents of Seoul and Kyeonggi [MA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19. Seol YH. Consumer perception toward antiobesity functional foods by women employee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residing in capital region of Korea [MA thesis]. Seoul: Graduate School of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2011 

  20. Verbeke W. Consumer acceptance of functional foods: socio-demographic, cognitive and attitudinal determinants. Food Qual Prefer 2005; 16(1): 45-57 

  21. Lee HJ, Won HS, Kwak JS, Kim MK, Kwon O. Perceptions of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weight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s. Korean J Nutr 2011; 44(3): 243-254 

  22.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Mark 1977; 41(1): 77-79 

  23. van Trijp HC, van Kleef E. Newness, value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rends Food Sci Technol 2008; 19(11): 562-573 

  24. Choe E, Woo KJ, Chyun JH. Perception and knowledge on the diet among women living in Inchon. Korean J Diet Cult 1999; 14 (3): 225-231 

  25. Kim SK. The study on nutrition status and value evaluation of food with concern for weight control in housewives. J Soonchunhyang Univ 1992; 15(1): 183-194 

  26. Ohn J, Kim JH. Intake pattern and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web-contents on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of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26-37 

  27. Lee SJ. A study on obesity and weight control for public health planning in Pohang city. J Korea Sport Res 2006; 17(4): 903-9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