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의 체형 및 체중조절 인식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Weight-Control or Functional Health Food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3, 2011년, pp.243 - 254  

이효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 ,  원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진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경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오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1)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6%, 여자 71.4%, 평균 연령 $34.2{\pm}5.9$세, 대졸 71.9%, 기혼 65.8%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88.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체중 및 비만 (BMI ${\geq}$ 23)이 64.6%, 정상범주 (BMI < 23.0)인 사람들이 35.4%를 차지하여, 비만하지 않은 사람들도 상업용 제품을 비교적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2) 체형인식은 73.4%가 '살찐 편'으로, 체형만족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BMI ${\geq}$ 23인 사람들은 '남자'또는 '만 35~44세' 또는 '기혼' 또는 '사무직 등' 또는 '주부'라는 특성을 갖으며, BMI < 23인 사람들은 '여자', 또는 '만 25~34세' 또는 '미혼'또는 직업은 '서비스직 등'와 '대학생 등'라는 특성을 나타냈다. 3) 체중조절인식 조사결과, 다이어트시 중점 사항은 '체중감량'이 가장 우선이며, 이를 일반특성에 따라 분석해 보면, 남자는 '체지방 감소'에, 여자는 '체중감량'에, 미혼은 '체지방 감소', '건강회복', '몸매개선'에, 기혼은 '체중감량', '체중증가 억제'에, 또한 BMI ${\geq}$ 23인 사람들은 '체중감량'과 '체지방 감소'에, BMI < 23인 사람들은 '건강회복'과 '몸매개선'에 더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이어트 동기로는 '정상체중 유지' (25.6%), '산후 체중조절' (7%), '건강관리'(9%) 등의 객관적인 동기는 42.1%, 보다 주관적인 동기인 '남의 시선 의식',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위해'등은 57.9%로 나타났다. 4) 두 제품유형을 섭취하는 사람들 간의 체형인식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정상체중 유지' (29.3%)와 '건강관리를 위해' (12.7%) 라는 동기가 우선이었고, '체지방감소', '체중증가 억제'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에서는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위해' (35.8%)라는 동기가 가장 높았고, '체중 감량'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shape, and perceptions of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functional health foods and weight-control fo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5 and June 17, 2010 among 199 (57 males and 142 females; age ra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식품관련법으로 관리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 유형인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식이 보충용)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식사 대용 형태)은 앞으로 더 과학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관리, 발전되어야 할 것이므로, 실제 소비자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의미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은 체중조절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구입 섭취하는 성인의 일반특성 및 제품유형에 따른 체형인식과 체중조절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무엇을 말하는가? 국내에서 2004년부터 시행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말한다.8) 여기서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현재 체중조절과 관련한 ‘체지방감소 기능성’ 건강기능식품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체중조절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체중조절의 방법으로는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약물요법의 방법4)이 있으며, 다이어트 관련 산업으로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다이어트약품, 단식원, 체형관리샵, 한의원, 헬스센터, 병원비만클리닉 이용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5,6) 체중감소를 위한 다이어트 식품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약품 보다는 접근이 용이하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7) 다이어트와 관련된 건강기능식품과 특수용도식품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및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자들의 전체적인 일반특성과 제품유형에 따른 일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일반특성에서 성별에 있어 누가 체중조절 제품을 더 많이 섭취하고 있었는가? 본 연구에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및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자들의 전체적인 일반특성과 제품유형에 따른 일반 특성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일반특성을 보면, 성별에 있어 여자 (71.4%)가 남자 (28.6%)가 체중조절 제품을 더 많이 섭취하고 있었고, 평균 연령은 34.2 ±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Kim CJ, Kim DJ, Chae S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processes of change for weight control scale i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8; 14(2): 262-272 

  2.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1997.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in obesity. Geneva: WHO; 1997 

  3. Oh JY. A study on the practice about diet, the present condition and expectation degree of commercial diet in female college students [MA thesis], Seoul: Dongduk Women's University; 2002 

  4. Kim WY, Cho MS, Jang YA, Won HS, Lee HS, Yang EJ. Clinical nutrition. Seoul: Shinkwang publishing; 2010. p.172 

  5. Kang JN. Survey on the diet habit and intake of diet foods by urban women in Thirties and forties [MA thesis]. Seoul: Chung- Ang University; 2003 

  6. Park KS. A study on the dieting style and satisfaction of obese women [MA thesis], Seongnam: Kyungwon University; 2008 

  7. Yim KS. A guide for selecting substitutional foods for obesity treat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8(3): 424-432 

  8. Korea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ealth functional food acts; 2010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ealth functional food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hfoodi.kfda.go.kr/material/mat2_list.jsp?cateIdx22 

  1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ealth industry white paper. Seoul; 2009. p.309 

  11. Food News. Total functional food sales in 2009. 2010 May 28 [cited 2010 Sep 13]. Available from: http://www.foodnews.co.kr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s (2010-58); 2010 

  1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production output of food and food additives (2006, 2007, 2008) 

  1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2006, 2007, 2008) 

  15. Yuh YJ. A monthly advertising review, May; 2002 

  16. Food News. 17% growth for the functional food market. 2010 Jun 29 [cited 2010 Sep 13]. Available from: http://www.foodnews.co.kr 

  17. Jeun YS, Lee JR, Park C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ight controlling health behavioral model in women.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6; 23(4): 125-153 

  18. Jeun YS, Jeun MS. The study on weight-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of women. J Korean Soc Cosmetol 2007; 13(3): 1293-1304 

  19. Park SJ, Yoo YS. A study of dietary behavior regarding weight control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98; 8(2): 147-154 

  20. Lee JH, Kim MS, O JH.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s of body image, body satisfaction, and dietary habits of beauty art major and non-major female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7; 17(4): 463-473 

  21. Kim MO, Sawano K.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obesity recognition and life sty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5): 699-708 

  22. Lee BG, Lee KR, Park MH. Short-term weight management using meal replacements (meal replacements trial in Korean obese women). J Korean Soc Study Obes 2002; 11(2): 131-141 

  23. Kim YO.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association with dietary int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2; 31(6): 1018-1025 

  24. Chin JH, Chang KJ.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10): 1559-1565 

  25. Nam HJ, Kim YS. Weight control history according to risk of eating disorder. Korean J Food Nutr 2006; 19(2): 111-125 

  26. Blanck HM, Serdula MK, Gillespie C, Galuska DA, Sharpe PA, Conway JM, Khan LK, Ainsworth BE. Use of nonprescription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is common among americans. J Am Diet Assoc 2007; 107(3): 441-447 

  27. Blanck HM, Khan LK, Serdula MK. Use of nonprescription weight loss products: results from a multistate survey. JAMA 2001; 286(8): 930-935 

  28. Pillitteri JL, Shiffman S, Rohay JM, Harkins AM, Burton SL, Wadden TA. Use of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Obesity (Silver Spring) 2008; 16(4): 790-796 

  29. BioFood Network. Consumer survey on health functional foods. Seoul: Dusol Cop.; 2009. p.3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2000 

  3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2010-7); 2010 

  32. Kruger J, Galuska DA, Serdula MK, Jones DA. Attempting to lose weight: specific practices among U.S. Adults. Am J Prev Med 2004; 26(5): 402-406 

  3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34. Lee SJ. A study on obesity and weight control for public health planning in Pohang city. J Korea Sport Res 2006; 17(4): 903-918 

  35. Lee EJ, Kim MH, Kim WY, Cho MS. A survey on weight control and eating behavior in reproductive women by BMI. Korean J Food Cult 2003; 18(2): 172-180 

  36. Seo YJ. A survey on body-type recognition and w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BMI of university student. J Korean Soc Study Phys Educ 2007; 12(1): 165-180 

  37. Kim MO, Eun JG, Chang UJ. Recognition of body weight and body part satisfac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09; 22(2): 205-214 

  38. Shin JY, Kim M. Weight-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of women. Korean J Growth Dev 1998; 6(1): 179-193 

  39. Kim SK, Jung IH, Kim KH, Byun HS, Lee HJ, Kim KU. Body image perception, eating behaviors and weight control attitude according to obesity level in adult women. Korean J Phys Educ 2005; 44(3): 215-223 

  40. Ryu HK, Yoon JS, Park DY.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weight control behavior In adolescent femal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9; 4(4): 561-567 

  41. Chi BS. A comparative survey on misconception and desire for physique of college students in Taegu.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999; 3(2): 267-274 

  42. Doo MA, Kim Y. Recognition of body weight los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Korean J Nutr 2007; 40(7): 658-666 

  43. Jung YK, Tae YS. Factors affecting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4; 16(4): 545-555 

  44. Hwang JK, Kim HK, Kong HS, Yoon HJ, Hwang YH, Lee KY, Jung YS, Lee SK, Park HY, Kim KW, Choi WC, Kang MH. The self-assessment of obesity in Korean Adults. J Korean Soc Study Obes 2002; 11(4): 349-355 

  45. Doo M, Kim Y. Study on the status in body weight loss practi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subjects with experiences of attempting to lose weight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 (5): 571-577 

  46. Kim M, Kim H. A study on diet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dieting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8; 18(1): 135-148 

  47. Kim MO, Chang UJ.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Korean J Food Nutr 2009; 22(1): 110-122 

  48. Levy AS, Heaton AW. Weight control practices of U.S. adults trying to lose weight. Ann Intern Med 1993; 119(7 Pt 2): 661-666 

  49. Park JW, Park HM, Ha NS. A study on the obesity and weight control method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4; 13(1): 5-13 

  50. Go HJ. A study on Information seeking and use for weight control [MA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2 

  51. Chang MK, Kim Y. Assessment of functional food consumption among the working women in Korea. Korean J Nutr 2008; 41(8): 832-838 

  52. Lee HS. Prepurchase Information seeking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diet products. J Korean Living Sci Assoc 1997; 6(2): 95-1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