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비암 환자의 생의 말기 단계별 신체적, 영적 간호요구도 -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중심으로 -
Physical and Psychospiritual Care Need by End-of-life Stages among Non-cancer Patient at Home: Based 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Care Need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2, 2012년, pp.127 - 133  

이종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순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needs at each end-of-life care stage and to analyz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care needs for home care nursing among non-cancer patients. Methods: We used a retrospective design. Total eligible patients were 117 at the ages of 40 and over, who continu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가 지각한 생의 말기 단계(도입기, 안정기, 임종기)에 따른 재가 비암 환자의 간호의 요구도, 중요도 및 난이도를 사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신체적, 심리영적 간호 요구도 전체영역 중 ‘일상생활 활동의 보조’, ‘영양관리’, ‘가족의 심리적 부담’에 대한 요구가전 단계에 걸쳐서 90.
  • 본 연구는 생의 말기 단계에 따라서 간호사가 지각한 재가 비암 환자의 신체적 및 심리영적 간호요구도, 중요도와 난이도를 사정하기 위해 실시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생의 말기단계별로 재가 비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중요도 및 난이도를 살펴봄으로써 단면적인 결과가 아닌 시간 흐름에 따른 요구도의 추이를 분석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자료수집상 전향적으로 자료수집을 할 수 없었고, 후향적 연구로써 가정전문간호사의 회상에 의존하여 자료가 수집되어 이에 따라 발생된 계통적 오차에 대해서 고려해야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말기 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가정간호에 대한 간호요구를 생의 말기 단계별로 파악하고, 단계별 간호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사정하여 효과적인 비암 환자 말기간호에 대한 간호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서비스 이용 현황 연구에서 의료기관 가정간호 급여청구의 주 진단명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7명) 등의 순이었다(Statistics Korea, 2010). 또한, 2009년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서비스 이용 현황 연구에서 의료기관 가정간호 급여청구 노인의 주 진단명은 뇌졸중을 비롯한 순환기계질환 41.3%, 당뇨 등 내분기계 질환 10.4%, 신생물 9.7% 순으로 나타나(Chin, 2009) 노인의 경우 가령에 따른 암 이외의 만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하는 환자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암 환자를 위한 적절한 말기 환자 간호가 필요하다 인식하게된 선행 연구의 내용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10). 예를 들어 Ostgathe 등(2010)의 암 환자와 비암 환자의 비교연구에서는 암 환자에 비하여 비암 환자가 간호문제, 심리적 문제, 사회적 문제 및 증상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완화 치료적 돌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일본의 연구에서도 병원이 아닌 집에서 사망하기를 희망하는 환자들의 간호 서비스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암 환자에 비하여 비암 환자가 간호기간이 더 길고 연령층이 높았으며 일상생활 기능장애와 인지기능 장애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Ikezaki & Ikegami, 2011), 재가 비암 환자의 간호요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암 환자의 경우에는 79.
2009년 우리나라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중 가장 높은 사망율을 보인 것은? 2009년 우리나라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살펴보면, 악성신생물(암)이 인구 10만 명당 140.5명으로 가장 높은 상태이지만, 그 다음으로 나타난 사망원인은 뇌혈관질환(5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n Natan, M., Garfinkel, D., & Shachar, I. (2010). End-of-life needs as perceived by terminally ill older adult patients, family and staff.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4 (4), 299-303. 

  2. Chin, Y. R. (2009). Hospital-based home care reinbursement and service use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2), 645-656. 

  3. Docherty, A., Owens, A., Asadi-Lari, M., Petchey, R., Williams, J., & Carter, Y. H. (2008).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s of informal caregivers in palliative care: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Palliative Medicine, 22 (2), 153-171. 

  4. Ernstmann, N., Neumann, M., Ommen, O., Galushko, M., Wirtz, M., Voltz, R., et al. (2009). Determinants and implications of cancer patients' psychosocial needs. Support Care Cancer, 17 (11), 1417-1423. 

  5. Ferris, F. D., Balfour, H. M., Bowen, K., Farley, J., Hardwick, M., Lamontagne, C., et al. (2002). A model to guide patient and family care: Based on nationally accepted principles and norms of practic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4 (2), 106-123. 

  6. Fitzsimons, D., Mullan, D., Wilson, J. S., Conway, B., Corcoran, B., Dempster, M., et al. (2007). The challenge of patients' unmet palliative care needs in the final stages of chronic illness. Palliative Medicine, 21 (4), 313-322. 

  7. Ikezaki, S., & Ikegami, N. (2011). Predictors of dying at home for patients receiving nursing services in Japan: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cancer and non-cancer deaths. Palliative Care, 10, 3 

  8. Jenkins, V., Fallowfield, L., & Saul, J. (2001). Information needs of patients with cancer: Results from a large study in UK cancer centres. British Journal of Cancer, 84 (1), 48-51. 

  9. Kamei, T., Shimanouchi, S., & Nakayama, Y. (1999). Preliminary study of change in the terminal care needs of cancer patients at home.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6 (2), 101-107. 

  10. Kwon, I. S., & Eun, Y. (1998). Nurse's perception in the homecare needs of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3), 602-615. 

  11. Kwon, I. S., & Eun, Y. (1999). The homecare needs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4), 743-754. 

  12. Lau, K. S., Tse, D. M., Tsan Chen, T. W., Lam, P. T., Lam, W. M., & Chan, K. S. (2010). Comparing noncancer and cancer deaths in hong kong: A retrospective review.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40 (5), 704-714. 

  13. Longman, A. J., Atwood, J. R., Sherman, J. B., Benedict, J., & Shang, T. C. (1992). Care need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Quantitative findings. Cancer Nursing, 15 (3), 182-190. 

  14. Luddington, L., Cox, S., Higginson, I., & Livesley, B. (2001). The need for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non-cancer diseases: A review of the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7 (5), 221-226. 

  15. Mcillmurray, M. B., Thomas, C., Francis, B., Morris, S., Soothill, K., & Al-Hamad, A. (2001). The psychosocial needs of cancer patients: Findings from an observational study.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0 (4), 261-269. 

  16. Morasso, G., Capelli, M., Viterbori, P., Di Leo, S., Alberisio, A., Costantini, M., et al. (1999). Psychological and symptom distress in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met and unmet need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7 (6), 402-409. 

  17. Ostgathe, C., Alt-Epping, B., Golla, H., Gaertner, J., Lindena, G., & Radbruch, L. (2010). Non-cancer patients in specialized palliative care in germany: What are the problems? Palliative Medicine, 25 (2), 148-152. 

  18. Sanders, S. L., Bantum, E. O., Owen, J. E., Thornton, A. A., & Stanton, A. L. (2010). Supportive care need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Psychooncolog, 19 (5), 480-489. 

  19. Shaughnessy, P. W., Crisler, K. S., Schlenker, R. E., & Arnold, A. G. (1997). Outcomes across the care continuum home health care. Medical Care, 35, 1225-1226. 

  20. Shimanouchi, S. (2007, November). Nursing strategies from the current situation of home care in Japan and research trend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1st Korea- Japan Joint Conference on Community Health Nursing. Seoul, Korea. 

  21. Shimanouchi, S., Tomoyasu, N., Kumiko, M., Kitazono, A., & Ohki, M. (2004). Evaluation of terminal home care services by bereaved familie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24th Academic Conference, Jap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Sapporo, Japan. 

  22. Statistics Korea. (2010).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09. Daejeon: Statistics Korea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