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화 과정과 그 정당화에서 '이해'의 완전성에 대한 연구 - 산술, 기하, 조화평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leteness of 'the understanding' in the generalization process and justification - centered on the arithmetical, geometric and harmonic average -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1 no.4, 2012년, pp.377 - 393  

김창수 (경상대학교사범대학 부설중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derstanding demands the different degree of the understanding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situa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what is the foundation for the complete understanding for the generalization in the generalization-process and justification of some concepts or some theori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형식적 이해란 무엇인가? •형식적 이해 : 수학적 기호와 표기를 수학 아이디어와 적절히 연결하고 논리적 추론을 하여 국소적으로 연역하는 능력.
명제가 참이라는 것을 확신시키는 방식에 사용되는 용어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김정하(2010)는 수학적 정당화를 적당한 논리에 의해 추측이 참임을 자신 또는 다른 사람에게 확신 시키는 방법으로 정의하였다. 또 그는 여러 문헌을 검토한 후 명제가 참임을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을 확신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용어에는 증명(proof), 정당화(justification), 타당화(verification), 설명(explanation), 논증(argumentation) 등이 있다고 하였다. 이환철․하영화(2011)는 이 중 수학적 명제가 참임을 밝히는 가장 엄밀하고 형식적인 과정이 증명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명제가 참임을 설득시키는 과정을 증명의 한 분야로 포함한다면 증명의 포괄적인 의미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정당화’라고 하였다.
Brownell이 소개한 이해를 촉진 시키는 세 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첫째, 수학학습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그러므로 아동들에 의한 발견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므로 교수 속도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관계를 강조해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완.백석윤 (2007). 초등수학교육론, 파주: 동명사. 

  2. 김남희 (1997). 일반화의 의미와 구성에 대한 이해,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1), 445-458. 

  3. 김동근 (2011). 학교수학에서 일반화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정하 (2010).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류근행 (2004). 수학학습에서 이해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류근행 (2003). 수학교과에서 관계적 이해의 인식에 대한 실태 분석 및 수학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6(1), 135-161. 

  7. 송상헌.허지연.임재훈 (2006). 도형의 최대 분할 과제에서 초등학교 수학 영재들이 보여주는 정당화의 유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79-94. 

  8. 이상덕.김화수.김성숙 (2003). 소수의 관계적 이해를 위한 스키마식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논문집, 16, 165-173. 

  9. 이환철.하영화 (2011).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정당화 방안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25-337. 

  10. 정인철 (2003). 수학 교육에서 이해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2(1), 11-18. 

  11. 정은실 (1997).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개연적 추리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1), 69-86. 

  12. 최남광 (2008). 중등수학영재아들이 공간기하과제 해결과정에서 보여주는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 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최지영 (2007). 算術.幾何.調和平均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한명희 (1980). 일반화의 성격과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 개발원, 한국교육, 7(1), 53-66. 

  15. 한인기 (2006). 수학교육학의 기초와 실제, 진주: 경상대학교출판부. 

  16. 허경조 (2008). 교육목표와 문항의 분류학, 대전: 도서출판 근화. 

  17. Byers, V. & Herscovics, N. (1977). Understanding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ing, 81, pp.24-27. 

  18. Harel, G., & Sowder, L. (2007). Toward Comprehensive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proof,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 Haylock, D. W. (1982).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 Making connections. Mathematics Teaching, 98, 54-56. 

  20. Hiebert, J. (1986).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 The case of mathematics. Hillsdale,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 Hiebert, J. & Carpenter, T. P. (1992). Learning and teaching with understanding.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65-97, New york : Macmillan. 

  22. N. Palaniappan(2005). Fuzzy Topology Second Edition, Harrow : Alpha Science International Ltd. 

  23. Polya, G. (1973). Mathematics and Plausible Reasoning 1.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Sowder, L., & Harel, G. (1998). Types of student's justifications. The Mathematics Teacher, 91(8), pp.670-675. 

  25. Skemp, R. R. (1976). Relational understanding and instrumental understanding. Mathematics Teaching 77, 20-26. 

  26. Skemp, R. R. (1987).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Wiggins, G. P. (1993). Assesing students performance : Exploring the purpose and limits of testing, San Francisco: Jossey-Ba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