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6 no.4, 2012년, pp.363 - 381  

한혜숙 (단국대학교) ,  최계현 (풍무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천에 있어서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수학 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정의적 특성의 중요도 및 수업 실태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교사 집단이 남교사 집단에 비해 수업의 계획, 학생평가, 반성의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서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가치인식 요소의 경우 수업의 모든 단계에서 여교사 집단의 평균이 남교사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27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in Gyeonggi-do by survey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female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성차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생들의 성취도와 관련된 연구들이고, 교사들의 성차 또한 학생들의 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성차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교사들의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향후 의지 등에서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중등 수학교사들의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경기도 지역의 수학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1)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 인식에 관해서 남교사와 여교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 2) 정의적 특성을 고려한 수업 실태에 관해서 남교사와 여교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 3)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향후 수업 계획 및 의지에 관해서 남교사와 여교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자기효능감이란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동 과정을 조직하고 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특정한 시간에 주어진 특정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p. 40)이다.
흥미란? 흥미란 “교과나 학습주제 등에 대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선호도 및 학습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즉각적인 재미”(p. 40)이다.
남녀 학생의 수학 성취도 차이는 어떤 변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가? 남녀 학생의 수학 성취도 차이는 여러 가지 변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김선희(2007)는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은 인지적 영역의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 아니라, 그 자체가 학교 교육의 결과라는 측면에서 성차와 관련된 중요한 변인 중 하나라고 주장하였다. Bloom(1976)은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명력으로 인지적 변인이 50%, 정의적 특성 변인이 25%, 수업의 질이 25%라고 주장하였다. Hattie(2003)은 5만 건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서 학생요인이 50%, 교사요인이 약 30%, 가정과 학교가 5∼10%, 동료의 영향이 5∼10%임을 밝혀낸바 있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아주 중요한 변인 중 하나가 교사변인이라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다(강상진 외, 2005; 김부미, 1996; 백순근, 2003; 성기선, 1997; van Driel, Beijaard & Verloop, 2001; Sanders, 1998).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남녀 학생 간의 학업 성취도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변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더불어 교사의 성별 역시 남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상진.장원섭.김주아.장지현.남명호.김양분 외(2005). 고교 평준화 정책 효과의 실증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5-2. 

  2. 고정화.도종훈.송미영 (2008). 수학과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8(2), 179-200. 

  3. 고호경.고상숙 (2008). 중학교 함수의 수학화 과정에서의 성차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7(3), 273-290. 

  4. 권오남.박경미(1995). 수학성취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여성학, 11, 202-232. 

  5. 권오남.백한미(1997). 수학문제해결 전략 선택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2), 255-267. 

  6. 권오남.박경미.임 형.허라금 (1999). 고등학교 남녀 학생의 수학 능력에 대한 담론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D , 9(1), 351-367. 

  7. 권오남.박경미.임 형.허라금 (2001).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 선택에 대한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5(2), 109-124. 

  8. 권오남(2002a). 공간시각화 능력에서의 웹기반 프로그램과 지필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성별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0(4), 71-83. 

  9. 권오남(2002b). 컴퓨터와 수학에 대한 태도와 성별차이, 교육사회학연구, 12(2), 19-40. 

  10. 김경희.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 외 (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7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3. 

  11. 김경희.김수진.김미영.김선희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2008-3-3. 

  12. 김경희.시기자.김미경.옥현진.임해미.김선희 외 (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0-4-2. 

  13. 김부미 (1996). 교사변인과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선희 (2007). 남녀 학생의 수학 기초 학력과 배경 변인의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1), 33-52. 

  15. 김성국 (2001). 토의식 수업을 적용한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이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1), 91-101. 

  16. 김진영 (2008). TIMSS 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학교별 차이와 그 원인, 한국재정학회, 1(3), 53-77. 

  17. 노태희.최용남 (1996). 남녀 혼성반 학생들이 과학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01.-509. 

  18. 문희철 (2008).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분석,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경미.최승현 (2002).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에 나타난 수학적 소양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1(3), 319-328. 

  20. 박경미 (2004). 수학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업 방식의 차이 비교?분석연구, 한국여성학 20(2), 215-263. 

  21. 박선화.김명화.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9. 

  22. 박윤주 (2010). 수학에 대한 도구적 동기 유발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 정.곽영순.김경희.정은영.이미경.최석진 외(2004). 남여학생의 성취도 차이 해소 방안: TIMSS와 PISA 2003 결과를 반영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10. 

  24. 박 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1), 19-31. 

  25. 박준규.이상민.최보영(2009). 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습부진아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 6(3), 249-263. 

  26. 백순근 (2003). 중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제적 발전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학회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27. 성기선 (1997). 인문계 고등학교 학교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성기선 (2006). 우리나라 중학교의 학교효과에 관한 연구: Creemers의 학교효과이론 모델의 검증,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논문집, 한국교육개발원. 

  29. 신양재.홍정숙 (1999). 성별간 감성지수와 수학학습 성취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이론과 실천, 9, 173-183. 

  30. 오정윤.노영순 (2007). 남녀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오류 및 해결력에 대한 비교 분석:중학교 3학년 대상으 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53-367. 

  31. 이대식.김수민 (2003). 수학학습에서의 성차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인식 조사, 초등교육연구, 16(1), 297-315. 

  32. 이미경.최미숙.나귀수.곽영순.민경석(2004). PISA 2003 결과 분석 및 논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4-26, 69-128. 

  33. 이미경.손원숙.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34. 이양락.김선희.고정화.조영미 (2005).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5-1-4. 

  35. 이은정.이경화 (2011). PISA수학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차 추이의 배경 요인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 21(4), 313-326. 

  36. 이종희.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2(2), 219-237. 

  37. 이종희.김선희.김수진.김기연.김부미.윤수철 외.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2), 247-261. 

  38. 이주연 (2005). 수준별 문제학습지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국 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이향란 (1991). 남녀 간의 수학적 능력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해영 (2009).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성별 차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원교육, 25(4), 34-53. 

  41. 이희숙.정제영 (2011). 교사 특성이 학생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MSS 2007의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243-266. 

  42. 정성현 (1998). 중학교 남.녀 학생의 수학문장제 해결능력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조아미 (1995). 학년과 성별에 따른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불안의 차이, 인간발달연구, 23(1), 95-111. 

  44. 최승현.이대현 (2005). 수학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성별 인식 차이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8(1), 177-196. 

  45. 한혜숙.최계현 (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4(4), 491-518. 

  46. Armstrong, J. M. (1985). A National Assessment of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of Women in Mathematics, S. F. Chipman, L. R. Brush, & D. M. Wilson (Eds.), Women and Mathematics: Balancing the Equation. 

  47.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Allyn and Bacon, Lnc. 

  48. Fennema, E. (1974). Mathematics Learning and the Sexes: a Review,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5(3), 126-139. 

  49. Hattie, J. (2003). Teachers make a difference: What is the research evidence? Paper presented at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Annual Conference on Building Teacher Quality, Melbourne. 

  50. Leung, F. K. S., Yung, B. H. W., Tso, A. S. F. (2002). Secondary Analysis of the TIMSS-R Data for Hong Kong, Hong Kong: Hong Kong IEA Center. 

  51. Linn, M. C. (1986). Meta-analysis of Studies of Gender Differences: Implications and Future Differences. I. S. Hyde & M. C. Linn (Eds.), The Psychology of Gender: Advances Through Meta-analysi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2. Linn, M. C. & Hyde, J. S. (1989). Gender,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al Researchers, 18(8), 17-27. 

  53. Mills, M. & Keddie, A. (2010). Gender justice and education : constructions of boys within discourses of resentment, noe-liberalism and security. Educational Review, 62(4), 407-420. 

  54. Sanders, W. L. (1998). Value-Added Assessment, The School Administrator 55(11), 24-32. 

  55. Skelton, C. (2010). Gender and achievement: are girls the "success stories" of restructured education systems? Educational Review, 62(2), 131-142. 

  56. Vale, C. (2010). Gender mainstreaming: Maintaining attention on gender equality. In H. J. Forgasz, J. Rossi-Becker, K. H. Lee & O. B. Steinthorsdottir (Eds.)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Gender and Mathematics Education (pp.111-143).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57.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