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iver otter habitat use pattern on Hongchun river in Gangwon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4 no.3, 2012년, pp.413 - 418  

박보현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환경 알아보기 위하여 수달의 배설물을 이용한 서식 환경 분석과 육안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일대의 홍천강 상류 수계인 내촌천과 군업천 두 하천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2010년 11월 총 8회의 조사기간 동안 총 478개의 수달의 서식흔적 (배설물, 분비물, 족흔 등)을 발견하였다. 수달의 서식흔적이 발견되는 지점의 하천환경은 대체로 하천의 깊이가 얕은 곳(0.5-1m)과 유속이 느린 곳(5m/sec)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위와 기반암에서 많은 서식흔적을 발견하였지만, 제방과 같은 인공구조물에서는 거의 서식흔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수달의 서식환경과 식이물 분석을 통한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both habitat use analysis by rumen contents of Eurasian river otter (Lutra lutra)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habitat environment and diet using their fecal samples. As the target sites, two streams (the Naechon-cheon and the Koonup-cheon) were selected in the 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이상돈과 조희선, 2005). 따라서 본 연구는 수달의 서식환경과 식이물 분석을 통해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 조사 대상이 된 홍천강 상류 내촌천과 군업천은 하천폭 30m 이하의 샛강으로 문헌에 의해 수달이 선호한다고 밝혀 낸 좁은 강의 부류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Durbin, 1998). 본 연구에서는 보다 세부적인 기준으로 수달의 선호하는 서식지를 분석해보았다. 수달은 하천의 깊이가 얕은 곳을 선호하고 유속이 느린 곳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바위와 바위 너덜지대를 주로 이용하고 제방과 같은 인공구조물은 이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2).
  •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일대의 홍천강 상류 수계를 중심으로 수달서식지의 체계적인 생태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홍천강 상류 수계의 일부는 2008년부터 시작된 홍천-인제 구간의 고속도로 공사(총 연장 71.
  • 67 km)로 인해 하천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종들의 서식지에 변화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이며, 수달의 서식환경에게 큰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수달의 서식 환경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알아내고 이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도로공사가 시행되는 홍천강 유역의 수달 종 보존 및 서식지이용변화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달의 특징은? 수달(Lutra lutra)은 식육목(Carnivora) 족제비과(Mustelidae)의 동물로서 하천과 강 등의 수환경의 먹이사슬에서 최고 정점에 자리 잡고있으며, 수환경의 조절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IUCN에 의하여 VU(vulnerable)급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또한 수달은 멸종위기에 놓인 종의 관한 조약인 CITES 협약에 의해 국제적으로 보호를 받고 있는 종이며, 수생생태계의 질서를 조절해주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 그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Foster-Turley et al.
수달의 서식흔적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일대의 홍천강 상류 수계인 내촌천과 군업천 두 하천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2010년 11월 총 8회의 조사기간 동안 총 478개의 수달의 서식흔적 (배설물, 분비물, 족흔 등)을 발견하였다. 수달의 서식흔적이 발견되는 지점의 하천환경은 대체로 하천의 깊이가 얕은 곳(0.
수심과 유속에 관련하여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 환경은 주로 어떠한 곳인가? 수심과 유속에서도 수달은 안전하고 편안한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수심은 0.5-1m(77%)와 0.5m미만(15%)의 하천 환경이 전체 92%를 차지하면서 수심이 얕은 공간일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속의 경우에도 5m/s 이하(55%), 5-30m/s(39%)의 조건이 전체 94%를 차지하면서 유속이 거의 없거나 유속이 느린 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손장익 (2000) 동강일대에 서식하는 수달의 분포 및 서식지 이용. 경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7. 

  2. 이상돈, 조희선 (2005)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수달의 서식지 이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4(6): 377-385. 

  3. 조희선, 이상돈 (2005) 우리나라 거제지역에 서식 하는 수달의 중금속 및 미량원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3(3): 315-321. 

  4. 정우진 (2003) 오대산 국립공원 일대에 서식하는 수달의 분포 및 서식지 이용. 경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5. 

  5. 이상돈, 조희선 (2005)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수달의 서식지 이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4(6):377-385. 

  6. 한국도로공사. 2008. 동홍천-양양간 고속도로 환경영향평가서. 

  7. 한성용 (1997) 한국 수달의 생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12. 

  8. Ando, M. (1995) Chronology of otter extinction in Japan. Asian section meeting, Otter specialist group, Bangkok. 

  9. Cho, H.S. K. Choi, S.D. Lee and Y.S. Park. (2009) Characterizing habitat preference of Eurasian river otter (Lutra lutra) in streams using a self-organizing map. Limnology 10: 203-213. 

  10. Foster-Turley, P., Macdonald, S. and Mason, C (Eds). (1990) Otters: An Action plan for their conservation. IUCN/SSC Otter Specialist Group. 

  11. Kruuk, H. (2006) Otters-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 Prigioni, C., Balestrieri, A. and Remonti, L. 2007. Decline and recovery in otter (Lutra lutra) populations in Italy. Mammal Review 37: 7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