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화천군 수달(Lutra lutra) 서식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in Otter (Lutra lutra) Home Range of Hwacheon, Gangwon-do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special issue, 2014년, pp.66 - 73  

서형수 (국립환경과학원) ,  신영섭 (엔탑엔지니어링) ,  이경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윤미 (국립환경과학원) ,  전미나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남택우 (국립환경과학원) ,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 ,  정연숙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달 서식지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이 수달의 서식지 선택 요인 중의 하나인지를 구명하고자 연구하였다. 강원도 화천군의 북한강 본류와 지류 지천에서 수달흔적 발견지와 미발견지를 조사하였다. 수계의 식생형은 세 유형(단경초지형, 장경초지형, 관목지형)으로 구분되었다. 단경초지는 연수위변동이 큰 파로호와 북한강 상류에 분포하며,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하늘지기 (Fimbristylis dichotoma), 좀명아주 (Chenopodium ficifolium) 같은 일년생식물이 매우 우점한다. 관목지는 지촌천의 하류와 파로호 하부의 북한강 본류에 분포하며, 버드나무 (Salix koreensis)가 절대 우점하였다. 장경초지는 지류 하천에서 흔하며 거의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순군락이다. 세 유형의 식생에서 수달의 흔적은 모두 발견되었으나 수달 미발견지는 모두 장경초지이었으며, 수달 발견지와 미발견지 간에 장경초지 식생의 상관이나 종조성은 유사하였다. 그러므로 수달이 서식지 선택 시 특정한 식생형을 선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수달 흔적이 발견되지 않은 장경초지는 지류의 상류로써 어류풍부도가 낮은 점이 공통적이다. 수달의 서식지 선택에 먹이인 어류의 풍부성이 가장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 풍부도가 높고 사람의 영향이 적은 평화의 댐 지역이 화천군의 수달분포에 최적지인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vegetation would be one of the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otter home range, vegetation structure and other potential factors were studied in Hwacheon, Korea. Thirteen sites, otter's activity found and not found, were investigated in North Han River and connected tri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달 서식지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이 수달의 서식지 선택 요인 중의 하나인지를 구명하고자 연구하였다. 강원도 화천군의 북한강 본류와 지류 지천에서 수달 흔적 발견지와 미발견지를 조사하였다.
  • 화천군의 수계 식생은 북한강의 상류 식생으로 단경초지, 장경초지 및 관목지 세 유형이 분포하는데 식생의 높이와 규모 등 상관 측면이나 종 조성 측면에서 매우 뚜렷하게 대비된다. 화천군에서 수달의 분포지가 배설물의 흔적 조사로 밝혀져 있으므로(Nam, 2004), 수달이 선택하는 서식지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여러 입지 요인 중 식생이 수달의 서식지 선택 조건 중의 하나인지를 구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달의 행동특성은 어떠합니까? 그러므로 수달은 다른 동물과 달리 서식지가 육상과 수중의두 곳이다. 또한, 같은 과의 다른 종들과 달리 스스로 보금자리를 마련하지 않으며 물가의 나무뿌리나 계곡의 바위틈처럼 자연 은폐물을 은신처로 이용하며 여러 은신처를 옮겨 다니는 특징이 있다(Turley et al., 1990; Kruuk, 1995). 외부의 간섭에 매우 민감하며 조심성이 많아 사람의 흔적이 없는 지역의 서식지를 선호하며 휴식처나 은신처로 사용할 수 있는 바위나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을 선호한다(Han, 1997).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수달은 어떠한 종 입니까? 수달은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반수생동물로 세계적으로 총 13종이 분포하며(Turley et al., 1990), 그 중 Eurasian Otter (Lutra lutra) 한 종만이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대부분 하천에 수달이 많이 서식하였으나 수질오염과 난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먹이 감소, 모피를 위한 과도한 수렵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다(Won, 1967; Won, 1968).
수달의 서식지가 육상과 수중의두 곳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수달은 물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열 손실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커서 육상 서식지로써는 안전한 굴같이 젖은 털을 말릴 수 있는 장소를 필요로 한다. 하천 가운데의 섬이나, 갈대 같이 키가 큰 풀밭이 있으면 겨울에도 물 밖으로 나와서 털을 말리고 휴식을 취한다 (Association of Korea Otter Conservation, 2005). 그러므로 수달은 다른 동물과 달리 서식지가 육상과 수중의두 곳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ssociation of Korea Otter Conservation. 2005. Study on the habitat rehabilitation for otters in Hwacheon. Hwacheon-gun. 

  2. Choi, J. 2005.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Chuncheon Reservo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3: 173-183. 

  3. Choi, J. 2006. Study on the aquatic ecosystems of the North Han River. Hwacheon County. 

  4. Choi, J., K. Lee, Y. Jang, E. Choi and J. Seo. 2005.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Peace Dam.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8: 297-303. 

  5. Choi, J., Y. Jang, K. Lee, J.G. Kim and O.K. Kwon. 2004.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Lake Par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 111-119. 

  6. Defrene, M. and P. Legendre.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ys 67: 345-366. 

  7. Han, C.W. 2012. The ecological studies on Eurasian otters (Lutra lutra) inhabiting around the Busan New Port. Ph. D. Thesis. Kyungsung University, Jinju. 

  8. Han, S.Y. 1997. The ecological studie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South Korea. Ph. D.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9. Hwacheon-gun. 2003. http://www.ihc.go.kr/home/main/index.asp. 

  10. Jeong, J.C. and Y.S. Jo. 2004. Analysis about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L. by using GIS in the River Ungok of North-Kyongsang Province.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2: 29-42. 

  11. Jo, Y.S. 2003. The prey habit and habitat preference of the Eurasian otter Lutra along the Ungok River in Gyeongsangbuk-do, Korea.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2. Jo, Y.S., C.M. Won and J.P. Kim. 2006. Distribution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4: 89-94. 

  13. Joo, W. 2002. Eurasian otter (Lutra lutra)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using GIS: A case study on Soraksan Nation Park.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rruk, H. 1995. Wild otters: Predation and Popul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5. Krruk, H., D.N. Carss, J.W.H. Conroy and L. Durbin. 1993. Otter (Lutra lutra) numbers and fish productivity in rivers in N.E. Scotland. Symposia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65: 171-191. 

  16. Lee, T.B. 1996.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17. Mason, C.F. and S.M. Macdonald. 1986. Otters: ecology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8. McCune, B. and J.B. Grace.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 USA. 

  19. Min, H.K. 2007. Studies on the behavior ecology and habitat environmen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by radio-tracking. Ph. 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0. Min, H.K., S.G. Lee, K.C. Oh, J.K. Kim, S.L. Yun and E.H. Park. 2004. Study on environment of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38: 1-9. 

  21. Nam, T.W. 2004. Winter season food habits and habitat managemen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Hwacheon-gun.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22. Prenda, J. and C. Granado-Lorencio. 1996. The relative influence of riparian habitat structure and fish availability on otter Lutra lutra L. sprainting activity in a small Mediterranean catchment. Biological Conservation 76: 9-15. 

  23. Turley, P.F., S.M. Macdonald and C.F. Mason. 1990. Otters; An action plan for their conservation. IUCN/SSC Otter Specialist Group. 

  24. White, P.C.L., C.J. McClean and G.L. Woodroffe. 2003.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an otter (Lutra lutra) reinforcement programme, as identified by post-translocation monitoring. Biological Conservation 112: 363-371. 

  25. Won, B.H. 1967.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7 animals (mammal). Mungyobu. 

  26. Won, C.M. 1996. Mammal of Korea: Current Status and Zoogeography. Ph. D. Thesis. The University of Arkansas, USA. 

  27. Won, C.M. and K.G. Smith. 1999.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mammal of the Korean Penisula. Mammal Review 29: 3-33. 

  28. Won, H.G. 1968. Large animals in Joseon Dynasty. Gwahagwon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