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투자기업 조기 IPO에 미치는 영향
Venture Capital and Its Impact on an Early IPO in the Venture-Backed Companies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0 no.10, 2012년, pp.19 - 29  

이희우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정희석 (성결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투자기업의 조기 IPO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벤처캐피탈이 주로 투자하는 고성장기업이면서 미래에 양호한 현금흐름을 가지고 있는 수익성 높은 기업일수록 이익조정 가능성이 높으며, 결과적으로 투자기업을 조기에 IPO 시키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규모가 크고 임원의 수가 많을수록 조기 IPO 경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배주주와 소유주주의 지분괴리가 작은 기업지배구조는 조기 IPO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상기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벤처캐피탈의 투자는 투자기업으로 하여금 조기에 IPO하도록 유도하며, 이런 현상은 벤처캐피탈이 단독으로 투자했을 경우보다 공동으로 투자했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벤처캐피탈은 일반적으로 미래의 영업현금이 양호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에 주로 투자를 하게 되는데, 투자금을 조기에 회수하기 위하여 투자기업이 이익을 조정하게 부추기며 결과적으로 기업 투명성에 부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벤처캐피탈은 기술기반 혁신기업에 투자하여 이사회에도 참가하고 그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경영지원 등을 통해 기업의 투명성을 제고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는 벤처캐피탈이 이런 순기능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오히려 투자금 조기회수를 위해 기업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벤처캐피탈 투자의 역설(Paradox)이며 우리나라 벤처캐피탈의 현주소임을 부인할 수 없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ade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early IPO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s in Korean IPO market. First, we found that it was likely to shorten the period to IPO in companies which were fast growing with a good operating cash flow, but these companies had a higher possibility of the earning man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는 Bushman et al.(2004)의 연구에서와 같이 기업 투명성을 회계 투명성과 지배구조의 투명성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15].
  • 따라서, 기존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의 차별성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7년간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조기 IPO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세부적으로 규명한 연구라는 점이다. 더욱이 벤처캐피탈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하였던 재무변수, 주가변수, 기업지배관련 변수, 기업 투명성 변수 등을 추가하여 조기업적과시효과에 대한 총체적 원인분석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만약 조기 IPO에 수반되는 다른 문제가 있다면 그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와 조기업적과시효과의 원인분석을 시도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더욱이, 조기업적과시효과에 기업 투명성 개념을 접목하여 그 원인을 비교적 상세하게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이런 의미 있는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한 기업의 상장 직전년도 재무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한계를 갖고 있다.
  • , 2009)[22].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기업 투명성 관련 주요 변수로 삽입하기 때문에 기업지배구조는 지배주주의 지배권과 소유권의 괴리 수준에 한정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Fan and Wong(2001)의 연구는 지배주주가 가시적인 소유권보다 직·간접적 실질 지배권이 높은 경우(지배소유지분괴리가 클 경우) 이익조정 가능성이 지배소유지분괴리 정도가 작은 기업보다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17].
  •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와 조기업적과시효과의 원인분석을 시도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더욱이, 조기업적과시효과에 기업 투명성 개념을 접목하여 그 원인을 비교적 상세하게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1.1 벤처캐피탈의 투자여부에 따라 설립일부터 상장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1.2 벤처캐피탈 투자자형태가 단독투자된 기업과 공동투자(Syndication)된 기업의 경우 상장까지 소요기간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1.3 기업 투명성이 높은 기업과 낮은 기업의 벤처 캐피탈 투자규모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1 벤처캐피탈의 투자는 상장까지 소요기간을 단축시킬 것이다.
  • 가설2.2 고성장 기업일수록 상장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짧을 것이다.
  • 가설2.3 발생액(이익조정가능성)이 큰 기업일수록 상장까지 소요기간은 짧을 것이다.
  • 가설2.4 지배소유지분괴리가 낮은 우량한 기업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일수록 상장까지 소요기간은 짧을 것이다.
  • 가설2.5 영업현금흐름이 좋은 기업일수록 상장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길 것이다.
  • 가설2.6 기업규모가 클수록 상장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