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 후 기능적 평가 및 보행 분석의 유용성
Utility of Gait Analysis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Bone Tumor around the Knee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18 no.2, 2012년, pp.51 - 58  

이진호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설영준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정성택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의 결과와 보행 분석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골종양에 대하여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 받은 30명 중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능적 결과 및 보행 분석 검사를 평가하였다. 결과: SF-36 점수는 신체적, 정신적 역할제한 항목에서 각각 100% (100점)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일반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정도, 활력, 사회적 기능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MSTS 평가의 종합 평균 점수는 88.1% (23.8점[17-27])였다. 보행 분석 검사상 평균 보행속도 97.2 m/s, 평균 분속수 105.6 step/min, 평균 활보장 111.3 m, 평균 보장 61.5 cm, 유각기 39.8%cycle, 입각기 60.1%cycle, 평균 단하지 지지기 37.1%cycle, 평균 양하지 지지기 13.0%cycle, 평균 발 들림시기 60.7%cycle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 종양에 대한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은 좋은 기능적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보행 분석 검사는 술후 환자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보행 모습 및 기능을 객관화 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사료되며 기능적 평가 방법과 함께 치료 및 술 후 재활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know functional results and gait analysis usefulness in patients with bone tumor around knee joint tumors who underwent prosthesis knee joint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7 patients out of 30 patients who underwent pro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술 후 환자의 평가에 있어서 이학적 검사 및 동통의 유무 등의 평가는 검사자와 피험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저자들은 환자의 술 후 상태를 보행분석을 통해 객관화하고 이를 기능적 분류 척도(MSTS)14-16) 및 SF-3617,18)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종합적 기능적 평가와 함께 보행분석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슬관절 주위의 종양에 대하여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MSTS 평가 및 SF-36평가를 통한 기능적 평가와 보행 분석을 시행 하였으며, MSTS 평가와 SF-36 평가에서 신체적 건강에 비해 정신적 건강 부분에서 의의있는 상관 관계를 통해 환자의 만족도를 추정해 볼 수 있겠다.
  • 특히 Otis 등19), McClenhaghan 등22), Harris 등23)은 보행 분석을 이용한 객관적 평가를 보고하였으며 Kawai 등5)은 대퇴골 원위부의 악성종양에 대하여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슬관절 재건술을 시행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순 에너지 비용(net energy cos)과 비대칭적인 단하지 지지기가 MSTS평가 방법으로 얻어진 기능적 총점과 유의하게 반비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MSTS 평가 항목 중 보행 형태 항목이 보행 분석의 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MSTS총점과 단하지 지지기와의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지 구제술이란? 최근 근골골계 악성 종양의 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지 구제술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치료는 사지 악성종양 환자의 약 70-80%까지 보고되고 있다.1-5) 더욱이 술 전 진단 검사 의학의 발달과 수술 술기, 항암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치료 요법의 비약적인 발전은 사지 구제술 후 환자들의 생존률을 크게 향상시켰다.
ISOLS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의 기능적 분류 척도 항목은? 환자의 외래 방문 시 보행 분석과 함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방법으로 Enneking 등이 ISOLS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에서 발표한 통증(pain), 기능(function), 정서적 만족(emotional acceptance), 보조기(support), 보행능력(walking ability), 보행(gait)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능적 분류 척도(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classification scale, MSTS)와 함께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를 평가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는 SF-36 (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점수를 이용하였다. 각각 주어진 항목에 대해 점수를 평가한 후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한 후, 결과는 최대 총점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사지 구제술 후 기능적 평가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11-13) 이로 인해 술 후 기능적 평가를 위한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calssification scale, MSTS)14-16) 및 SF-36 (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17,18) 등의 방법들이 소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술 후 환자의 평가에 있어서 이학적 검사 및 동통의 유무 등의 평가는 검사자와 피험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저자들은 환자의 술 후 상태를 보행분석을 통해 객관화하고 이를 기능적 분류 척도(MSTS)14-16) 및 SF-3617,18)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종합적 기능적 평가와 함께 보행분석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ebe K, Song KJ, Ross E, Tuy B, Patterson F, Benevenia J. Functional outcomes after limb-salvage surgery and endoprosthetic reconstruction with an expandable prosthesis: a report of 4 case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1039-47. 

  2. Rompen JC, Ham SJ, Halbertsma JP, van Horn JR. Gait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a femoral endoprosthesis after tumor resection: 18 patients evaluated 12 years after surgery. Acta Orthop Scand. 2002;73:439-46. 

  3. Campanacci M, Costa P. Total resection of distal femur or proximal tibia for bone tumours. Autogenous bone grafts and arthrodesis in twenty-six cases. J Bone Joint Surg Br. 1979;61-B:455-63. 

  4. Enneking WF, Shirley PD. Resection-arthrodesis for malignant and potentially malignant lesions about the knee using an intramedullary rod and local bone grafts. J Bone Joint Surg Am. 1977;59:223-36. 

  5. Kawai A, Backus SI, Otis JC, Healey JH. Interrelationships of clinical outcome, length of resection, and energy cost of walking after prosthetic knee replacement following resection of a malignant tumor of the distal aspect of the femur. J Bone Joint Surg Am. 1998;80:822-31. 

  6. Schindler OS, Cannon SR, Briggs TW, Blunn GW, Grimer RJ, Walker PS. Use of extendable total femoral replacements in children with malignant bone tumors. Clin Orthop Relat Res. 1998;(357):157-70. 

  7. Ward WG, Dorey F, Eckardt JJ. Total femoral endoprosthetic reconstruction. Clin Orthop Relat Res. 1995;(316):195-206. 

  8. Gosheger G, Hillmann A, Lindner N, Rodl R, Hoffmann C, Burger H, Winkelmann W. Soft tissue reconstruction of megaprostheses using a trevira tube. Clin Orthop Relat Res. 2001;(393):264-71. 

  9. Bielack SS, Kempf-Bielack B, Delling G, et al. Prognostic factors in high-grade osteosarcoma of the extremities or trunk: an analysis of 1,702 patients treated on neoadjuvant cooperative osteosarcoma study group protocols. J Clin Oncol. 2002;20:776-90. 

  10. Ruggieri P, Bosco G, Pala E, Errani C, Mercuri M. Local recurrence, survival and function after total femur resection and megaprosthetic reconstruction for bone sarcomas. Clin Orthop Relat Res. 2010;468:2860-6. 

  11. Skaliczki G, Antal I, Kiss J, Szalay K, Skaliczki J, Szendroi M. Functional outcome and life quality after endoprosthetic reconstruction following malignant tumours around the knee. Int Orthop. 2005;29:174-8. 

  12. Donati D, Colangeli M, Colangeli S, Di Bella C, Mercuri M. Allograft-prosthetic composite in the proximal tibia after bone tumor resection. Clin Orthop Relat Res. 2008;466:459-65. 

  13. Jeon DG, Kawai A, Boland P, Healey JH. Algorithm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lesions of the proximal tibia. Clin Orthop Relat Res. 1999;(358):15-26. 

  14. Davis AM, Wright JG, Williams JI, Bombardier C, Griffin A, Bell R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physical function for patients with bone and soft tissue sarcoma. Qual Life Res. 1996;5:508-16. 

  15. Enneking WF. Modification of the system for funtional evaluation of surgical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tumors. In: Enneking WF, ed. Limb Salvage in Musculoskeletal Oncology.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87. 626-39. 

  16. Enneking WF, Dunham W, Gebhardt MC, Malawar M, Pritchard DJ. A system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reconstructive procedure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tumor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Clin Orthop Relat Res. 1993;(286):241-6. 

  17. Brazier JE, Harper R, Jones NM, et al. Validating the SF-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 new outcome measure for primary care. BMJ. 1992;305:160-4. 

  18. McHorney CA, Ware JE Jr, Lu JF,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II. Tests of data quality, scaling assumptions, and reliability across diverse patient groups. Med Care. 1994;32:40-66. 

  19. Otis JC, Lane JM, Kroll MA. Energy cost during gait in osteosarcoma patients after resection and knee replacement and after above-the-knee amputation. J Bone Joint Surg Am. 1985;67:606-11. 

  20. Schutte LM, Narayanan U, Stout JL, Selber P, Gage JR, Schwartz MH. An index for quantifying deviations from normal gait. Gait Posture. 2000;11:25-31. 

  21. Enneking WF, Spanier SS, Goodman MA. A system for the surgical staging of musculoskeletal sarcoma. Clin Orthop Relat Res. 1980;(153):106-20. 

  22. McClenaghan BA, Krajbich JI, Pirone AM, Koheil R, Longmuir P. Comparative assessment of gait after limb-salvage procedures. J Bone Joint Surg Am. 1989;71:1178-82. 

  23. Harris IE, Leff AR, Gitelis S, Simon MA. Function after amputation, arthrodesis, or arthroplasty for tumors about the knee. J Bone Joint Surg Am. 1990;72:1477-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