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연하곤란 사정도구,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2, 2012년, pp.685 - 693  

김치영 (그랜드너싱홈) ,  이영미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하은호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노인 연하곤란 조기 발견 및 중재를 목적으로 연하곤란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사정도구를 중심으로 제작된 중재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정도구의 동시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9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명을 편의추출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 효과 검정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4곳의 입소자 5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하곤란 사정도구와 중재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체중은 증가하였으며(t=4.913, p=.000), 연하 총 시간은 감소하였다(t= -4.557, p=.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하곤란 사정도구와 중재프로그램을 노인요양시설에 적용한다면 노인의 삶의 질 증진과 흡인성 폐렴, 질식과 같은 응급 상황은 감소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a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o evaluate its effect.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consists of 20 items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 with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연하곤란 사정에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찾아 연하곤란 사정항목으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17-21],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18,22] 등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내용을 Tanaka의 연하곤란 사정도구[18]에 근거, 선행기 장애, 구강 준비기/구강기 장애, 인두기 장애, 식도기 장애 등 4개의 대분류로 구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노인 연하 곤란 조기 발견 및 중재를 목적으로 간호사가 병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연하곤란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사정도구를 중심으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하곤란 사정 문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13개의 국내외 문헌 고찰과 임상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예비항목을 설정하였다.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쳐 개발한 예비 사정도구를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연하곤란 노인에게 적용하여 신뢰도와 동시타당도를 검정한 후 사정도구를 개발하였다.
  • 연하곤란 중재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이 입소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 경력 5년 이상의 간호사 2명과 요양보호사 13인이 실시하고, 연구자는 간호사에게 실험의 전반적인 과정과 실험 대상자별 중재방법과 수행할 요양보호사를 지도, 감독하는 방법에 관하여 교육하였다. 식사보조가 주 업무인 요양보호사는 간호사의 감독 하에 중재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 흔히 발생하는 연하곤란과 관련된 이차 질환, 응급상황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연하곤란 조기 발견 및 중재를 목적으로 간호사가 병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연하곤란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사정도구를 중심으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하곤란 사정도구 및 중재 프로그램 등을 노인요양시설은 물론 노인관련 시설, 의료 기관 등에 적용한다면 연하곤란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및 연하곤란과 관련된 간호활동 소요시간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곤란의 특징은 무엇인가? 연하곤란은 종종 질식을 유발하여 시간을 다투는 응급 상황을 발생시키기도 하는데, 이때 노인은 먹는 것에 대한 기쁨보다 질식에 대한 불안과 공포 그리고 우울을 느끼게 된다[10]. 연하곤란이 장시간 지속되면 영양 및 수분결핍으로 이어지고 구강이나 인두, 식도에 음식덩이가 오랫동안 남게 되어 흡인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 발생으로 병원 입원일 수 증가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어 항상 유념해야할 문제다[11-13].
연하곤란이 장시간 지속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연하곤란은 종종 질식을 유발하여 시간을 다투는 응급 상황을 발생시키기도 하는데, 이때 노인은 먹는 것에 대한 기쁨보다 질식에 대한 불안과 공포 그리고 우울을 느끼게 된다[10]. 연하곤란이 장시간 지속되면 영양 및 수분결핍으로 이어지고 구강이나 인두, 식도에 음식덩이가 오랫동안 남게 되어 흡인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 발생으로 병원 입원일 수 증가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어 항상 유념해야할 문제다[11-13]. 특히 연하 첫 단계인 선행기는 음식 섭취를 위한 준비단계로 올바른 자세유지, 음식에 대한 인지 및 반응, 자발적 기침 등이 발현되어 구강기, 인구기, 식도기 순으로 자연스럽게 그 다음 단계 진입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1].
노인 인구의 증가가 가져온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노인인구 증가는 급격한 노인 의료비 상승 및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으로 인한 가정에서의 노인 부양 부담감, 요양보호기간 장기화로 인한 중산층의 유료 요양시설에 대한 비용 부담감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킨다[2]. 이에 우리나라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었고,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치매ㆍ뇌혈관성 질환 등과 같은 노인성 질병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장기요양등급 인정을 받은 노인은 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으면서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in 2010". Retrieved September 7, 2011, from http://www.kostat.go.kr, 2010, September 30. 

  2. Byun JK. "Elderly Long-term Care: Basic Frame Work and Policy Task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No. 51, pp. 5-11, 2001. 

  3. Han TR & Bang MS. "Rehabilitation medicine(3rd ed)". Seoul: Koonja publishing. 2008. 

  4. Long Term Care Insurance. "Long Term Care Insurance Law". Retrieved August 10, 2011, from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menuitem.07837af963d5c07596cb63e484b310a0/, 2010, April 1. 

  5. Shanley C & O'Loughlin G. "Dysphagia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an assessment and management protocol".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 26, No. 8, pp. 35-48, 2000. 

  6. Oh BM & Lee KJ. "Rehabilitation of Dysphagia (2nd ed)". Seoul: Pacific Publishing. 2007. 

  7. Kin HS, Jung YM & Lee HS. "Cognitive Impairment, Behavioral Problems, and Mental Health in Institutionalized Korean Elders-An Eligibility Issue for Care Setting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9, No. 5, pp. 741-750, 2009. 

  8. Song JA, Lim YM & Hong GR. "Wandering Behavior in Korean Elders with Dementia Residing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1, pp. 29-38, 2008. 

  9. Lin LC, Wu SC, Chen HS, Wang TG & Chen MY. "Prevalence of impaired swallowing in institutionalized older people in taiwa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50, No. 6, pp. 1118-1123, 2002. 

  10. Leonard R & Kendall K. "Dysphagia Assessment and Treatment Planing (2 nd)". Oxfordshire in United Kingdom: Plural Publishing, 2007. 

  11. Baek J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of Older Adults with Neurologic Disorde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5, No. 1, pp. 47-56, 2007. 

  12. Daniels SK, Ballo LA, Mahoney MC, & Foundas AL. "Clinical predictors of dysphagia and aspiration risk: outcome measures in acute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1, No. 8, pp. 1030-1033, 2000. 

  13. Wieseke A, Bantz D, Siktberg L & Dillard N. "Assessment and early diagnosis of dysphagia". Geriatric Nursing, Vol. 29, No. 6, pp. 376-383, 2008. 

  14. Kim DY, Koh ES, Kang BS, Han TR & Lee SU.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for Dysphagia Caused by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2, No. 1, pp. 9-14, 2008. 

  15. Park MK. "The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n the Swallowing Function Recovery of Stroke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aegu University, Taegu, 2009. 

  16. Park HJ & Kang HS. "Th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for Ingestion in Dysphagic Patients with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5, No. 1, pp. 38-48, 2002. 

  17. Paek EK, Moon KH, Kim HJ, Lee ES, Lee JH, Lee SH, et al.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Post-Stroke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3, No. 3, pp. 19-30, 2007. 

  18. Tanaka Y. "Feeding and dysphagia elderly management II".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Iwha womans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Seoul. August. 2007, 

  19. Perry L. "Screening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Part one: Identification, implementation and initial evaluation of a screening tool for use by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10, No. 4, pp. 463-473. 2001. 

  20. Nishiwaki K, Tsuji T, Liu M, Hase K, Tanaka N, & Fujiwara T. "Identification of a simple screening tool for dysphagia in patients with stroke using factor analysis of multiple dysphagia variable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7, No. 4, pp. 247-251, 2005. 

  21. Westergren A. "Detection of eating difficulties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 53, No. 2, pp. 143-149, 2006. 

  22. Miura H, Kariyasu M, Yamasaki K & Arai Y. "Evaluation of chewing and swallowing disorders among frail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Vol. 34, No. 6, pp. 422-427, 2007. 

  23. Han TR., Park NJ & Park JW.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Using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3, No. 6, pp. 1118-1126, 1999. 

  24. Logemann JA, Gensler G, Robbins J, Lindblad AS, Hind JA, Kosek S, et al. "A Randomized Study of Three Interventions for Aspiration of Thin Liquids in Patients With Dementia or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51, No. 1, pp. 173-183, 2008. 

  25. Kim KM-J, Kim KJ, Cha YN, Jang HS, Han HS, Jung JS, et al. "NANDA Nursing Diagnoses, Goals and Intervention". Seoul: Hyunmoon Publishing, 2006. 

  26. Kim SJ & Lee KJ "Comparison of the Hyoid Movement during the Pharyngolaryngeal Swallowing at the Healthy Young and Old Pers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0, No. 5, pp. 485-490, 2006. 

  27. Robbins J, Hamilton JW, Lof GL & Kempster GB. "Oropharyngeal swallowing in normal adults of different ages". Gastroenterology, Vol. 103, No. 3, pp. 823-829, 1992. 

  28. Woo JH, Jeong WM, Kim YG, Koo JW. " The relevant factors and effect of swallowing function on oropharyngeal stimulation program in stroke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4, pp. 1-1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